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오행지색체표(五行之色體表) | |||||||
오행(五行) 구분(區分)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
군화(君火) | 상화(相火) | ||||||
1. 육장(六臟) | 간(肝) | 심(心) | 심포(心包) | 비(脾) | 폐(肺) | 신(腎) | |
2. 육부(六腑) | 담(膽) | 소장(小腸) | 삼초(三焦) | 위(胃) | 대장(大腸) | 방광(膀胱) | |
3. 오체(五體) | 근(筋) | 혈(血) | 육(肉) | 피(皮) | 골(骨) | ||
4. 오규(五窺) | 눈(眼) | 혀(舌) | 입(口) | 코(鼻) | 귀(耳) | ||
5. 오지(五志) | 노(怒) | 희(喜) | 사(思) | 우(憂) | 공(恐) | ||
6. 오미(五味) | 신맛(酸) | 쓴맛(苦) | 단맛(甘) | 매운맛(辛) | 짠맛(鹹) | ||
7. 오영(五榮) | 손톱(爪) | 색(色) | 입술(脣) | 솜털(毛) | 머리털(髮) | ||
8. 오색(五色) | 청(靑) | 적(赤) | 황(黃) | 백(白) | 흑(黑) | ||
9. 오성(五聲) | 울부짖음(乎) | 웃음(笑) | 노래(歌) | 울음(哭) | 신음(呻) | ||
10. 오음(五音) | 각(角) | 치(徵) | 궁(宮) | 상(商) | 우(羽) | ||
11. 오기(五氣) | 풍(風) | 열(熱) | 습(濕) | 조(燥) | 한(寒) | ||
12. 오시(五時) | 춘(春) | 하(夏) | 장하(長夏) | 추(秋) | 동(冬) | ||
13. 병재(病在) | 근(筋) | 오장(五臟) | 혓바닥(舌本) | 어깨(肩) | 뼈사이(谿) | ||
14. 오축(五畜) | 닭(鷄) | 양(羊) | 소(牛) | 말(馬) | 돼지(豚) | ||
15. 오곡(五穀) | 보리(麥) | 조(黍) | 기장(稷) | 벼(稻) | 콩(豆) | ||
16. 오수(五數) | 삼(三), 팔(八) | 이(二), 칠(七) | 오(五), 십(十) | 사(四), 구(九) | 일(一), 육(六) | ||
17. 오취(五臭) | 누린내(臊) | 탄내(焦) | 향내(香) | 비린내(腥) | 썩은내(腐) | ||
18. 오액(五液) | 눈물(泣) | 땀(汗) | 맑은 침(涎) | 콧물(涕) | 뱉는 침(唾) | ||
19 변동(變動) | 손에 쥠(握) | 근심(憂) | 구토(얼) | 기침(咳) | 떪(慄) | ||
20. 천간(天干) | 갑을(甲乙) | 병정(丙丁) | 무기(戊己) | 경신(庚辛) | 임계(壬癸) | ||
21. 지지(地支) | 인묘(寅卯) | 사오(巳午) | 진술축미(辰戌丑未) | 신유(辛酉) | 해자(亥子) | ||
22. 방향(方向) | 동(東) | 남(南) | 중앙(中央) | 서(西) | 북(北) | ||
23. 오상(五常) | 인(仁) | 예(禮) | 신(信) | 의(義) | 지(智) | ||
24. 오정(五精) | 혼(魂) | 신(神) | 의지(意智) | 백(魄) | 정지(精志) | ||
25. 오역(五役) | 색(色) | 취(臭) | 미(味) | 성(聲) | 액(液) | ||
26. 오과(五果) | 오얏(李) | 은행(杏) | 대추(棗) | 복숭아(桃) | 밤(栗) | ||
27. 오채(五彩) | 부추(구(韮)) | 염교(해(薤)) | 아욱(규(葵)) | 파(총(葱)) | 콩잎(곽(籗)) | ||
1. 육장 : 心包를 포함하여 6장이라고 한다. 2. 육부 : 三焦를 포함하여 6부라고 한다. 3. 오체 : 人體에 배당된 부분 筋 : 힘줄. 血 : 혈액. 肌肉 : 살, 비계. 皮 : 피부. 骨 : 뼈 간 : 근 - 간허: 근이완(筋弛緩), 경련 간실: 근급(筋急), 땅기는 증세, 굳어지는 증상 심 : 혈 - 심허: 어혈, 출혈 심실: 충혈, 상기 비 : 육 - 비허: 기육수(肌肉搜) 비실:폐 : 피 - 폐허: 피부 건조, 창(瘡), 가려움증 폐실: 알레르기 반응 신 : 골 - 신허: 골경(체중 감소의 한 원인), 기허 신실: 골근통(骨筋痛) 4. 五竅(오규): 오관을 말한다. ※ 참고 간 : 目 - 간실 : 누(淚) 또는 건조, 시력 감퇴, 충혈, 다래끼. 간허 : 난시, 근시, 원시, 백내장, 색맹. 심 : 舌 - 심허 : 언어 장해, 구내염, 설염, 설병. 비 : 口 - 비허 : 입술이 얇다. 청,흑색, 입술이 마르고 부르튼다. 떨린다. 비실 : 입술이 두텁다. 충혈, 적색. 폐 : 鼻 - 폐허 : 코가 막힌다. 냄새를 못 맡는다. 폐실 : 축농증, 알레르기성 비염, 콧물 감기 등. 신 : 耳 - 신허 : 소리를 잘 못 듣는다, 난청 신실 : 이명, 중이염, 난청, 귀머거리 5. 五精 오정 : 오장이 품는 뜻을 말한다. 노(怒) : 화내는 것, 노하는 것. 희(喜) : 기뻐하고 좋아하는 것. 사(思) : 깊이 생각하는 것. 애(愛) : 근심,걱정하는 것. 공(恐) : 두려워하고, 불안해하는 것. 간 : 노(怒) - 간은 혼(魂)을 간직한다. 간실 : 분노를 잘 한다. 간허 : 노하지 않는다. 정기(精氣)가 간에 합병이되면 걱정하고 심 : 희(喜) - 심은 신(神)을 간직한다. 심실 : 잘 웃는다. 심허 : 잘 웃지 않는다. 정기(精氣)가 심에 합병이 되면 즐겁고 비 : 사(思) - 비는 생각(思)을 간직한다. 비실 : 깊은 생각을 별로 하지 않는다. 비허 : 깊은 생각을 한다. 고민을 많이 한다. 정기(精氣)가 비에 합병이되면 두렵고 폐 : 비(悲) - 폐는 백(魄)을 간직한다. 폐실 : 근심. 걱정, 슬픔이 많다. 감정이 예민하다. 폐허 : 감정이 둔하다. 정기(精氣)가 폐에 합병이되면 슬프고 신 : 공(恐) - 신은 뜻(意)을 간직한다. 신실 : 두려움, 공포, 불안, 초조하다. 신허 : 안정성을 잃는다. 정기(精氣)가 신에 합병이되면 무섭다. * 주(註) : 정기(精氣)란 것은 화의 정기인데 폐가 허하여 심정(心精)이 함께하면 기쁨이 되는 것이니 다른 장도 같이 적용한다. 6. 五味 : 五臟에 들어가는 다섯 가지 맛을 말한다. 산(酸) : 신맛. 고(苦) : 쓴맛. 감(甘) : 단맛. 신(辛) : 매운맛. 함(鹹) : 짠맛. ※ 참고 간 : 산(酸) - 신 맛은 간에 들어가고, 신맛은 근(筋)으로 달아나니 근병(筋病)에는 많이 먹지말것. 간실 : 신맛을 싫어한다. 간허 : 신맛을 좋아한다. 심 : 고(苦) - 쓴맛은 심에 들어가고, 쓴맛은 골(骨)로 달아나니 골병(骨病)에는 많이 먹지 말것. 심실 : 쓴맛을 싫어한다. 심허 : 쓴맛을 좋아한다. 비 : 감(甘) - 단맛은 비에 들어가고, 단맛은 살(肉)로 달아나니 육병(肉病)에는 많이 먹지 말것 비실 : 단맛을 싫어한다. 비허 : 단맛을 좋아한다. 폐 : 신(辛) - 매운 것은 폐에 들어가고, 매운 것은 기(氣)로 달아나니 기병(氣病)에는 많이 먹지 말것. 폐실 : 매운맛을 싫어한다. 폐허 : 매운맛을 좋아한다. 신 : 함(鹹) - 짠맛은 신에 들어가고, 짠맛은 피(血)로 달아나니 혈병(血病)에는 많이 먹지 말것. 신실 : 짠맛을 싫어한다. 신허 : 짠맛을 좋아한다. 7. 五榮: 오장이 기르는 부위 조(爪) : 손톱, 발톱. 색(色) : 빛깔. 순(脣) : 입술. 모(毛) : 솜털. 발(髮) : 머리털. ※ 참고 간 : 조(爪) - 간실: 손톱에 잔줄이 생기고 굳어지며 거칠다. 청색, 적색, 암적색 등이 있다. 간허: 손톱이 얇아진다. 심 : 색(色) - 심실: 혈색이 좋고 충혈 색이다. 심허: 혈색이 부족하다. 비 : 순(脣) - 비실: 입술 포진, 습진, 붉힘 등이 나타난다. 위실: 입술 건조, 갈라짐 등이 나타난다. 폐 : 모(毛) - 폐실: 솜털, 피부 털이 좋다. 폐허: 털이 초췌해진다. 신 : 발(髮) - 신실: 신이 충실하면 머리털이 윤기가 있고, 빠지지 않는다. 신허: 윤기가 없고 자꾸 빠진다. 8. 五色: 오장에서 풍기는 색깔. 청(靑) : 푸른색. 적(赤) : 붉은 색. 황(黃) : 누런 색, 누런 색. 백(白) : 흰색. 흑(黑) : 검은 색. ※ 참고 간 : 청(靑) - 간실 : 청색 심 : 적(赤) - 심실 : 적색. 심허 : 허열 비 : 황(黃) - 비허 : 황색 폐 : 백(白) - 폐허 : 백색 신 : 흑(黑) - 신실 : 흑색 ※ 단, 오색에서 윤기가 있으면 충실한 색이다. 9. 五聲 : 오장에서 나타내는 말의 억양 호(呼) : 부르짖는 소리. 소(笑) : 웃는 소리. 가(歌) : 노래하는 소리. 곡(哭) : 슬피 우는소리. 신(呻) : 신음하는 소리. ※ 참고 간 : 호(呼) - 간실 : 호성 심 : 소(笑) - 심실 : 소성 비 : 가(歌) - 비실 : 가성 폐 : 곡(哭) - 폐실 : 곡성 신 : 신(呻) - 신실 : 신성 10. 오음(五音): 오장에서 나타내는 말의 빛깔 각(角) : 나무 두들기는 소리. 치(치) : 불타는 소리. 궁(宮) : 울리는 소리. 상(商) : 쇠 두들기는 소리. 우(羽) : 물 흐르는 소리. 11. 五氣: 오장에서 나타나는 기운 풍(風) : 바람, 기후 혈행불순과 열성병. - 모든 풍병은 간이 주관한다(어지러운 병). 간은 풍을 싫어하고 열(熟) : 체온이 높은 것. - 모든 열병은 심이 주관한다(통증, 가려움증, 부스럼). 심은 열을 싫어하고 습(濕) : 수분을 말한다. - 모든 습병은 비가 주관한다[종창(腫脹), 그득한 것, 마비증]. 비는 습을 싫어하고 조(燥) : 마른 것, 건조. 폐는 조을 싫어하고 - 모든 조병은 폐가 주관한다(답답하고, 절름거리고, 건조한 것). 한(寒) : 찬 기운 - 모든 한병은 신이 주관한다(수족이 땅기는 것). 신은 한을 싫어한다. 12. 오시(五時) : 오장이 주장하는 계절 간 : 춘(春) - 목기가 왕성한 절기이다. 심 : 하(夏) - 화기가 왕성한 절기이다. 비 : 장하(長夏) - 토기가 왕성한 절기이다. 폐 : 추(秋) - 금기가 왕성한 절기이다. 신 : 동(冬) - 수기가 왕성한 절기이다. 13. 병증 : 오장이 주로 병을 일으키는 부위 목 - 근 : 힘줄의 병. 화 - 오장 : 내장의 병. 토 - 설본 : 혀끝의 감각. 금 - 견(肩) : 어깨 병. 수 - 계(谿) : 뼈마디, 뼈 사이의 병. 14. 오축(五畜): 오장에 속한 가축 계(鷄) : 닭.양(羊) : 양우(牛) : 소.마(馬) : 말.돈(豚) : 돼지. ※ 참 고 간 : 계(鷄) - 간허에 좋다. 심 : 양(羊) - 심허에 좋다. 비 : 우(牛) - 비허에 좋다. 폐 : 마(馬) - 페허에 좋다. 신 : 돈(豚) - 신허에 좋다. 15. 오곡(五穀) : 오장에서 받아들이는 주곡. 맥(麥) : 보리. 서(黍) : 기장(수수). 직(稷) : 피, 메기장. 도(稻) : 벼. 두(豆) : 콩. 간 : 보리 - 간허에 좋다. 심 : 수수 - 심허에 좋다. 비 : 피 - 비허에 좋다. 폐 : 벼 - 폐허에 좋다. 신 : 콩 - 신허에 좋다. 16. 오수(五數) : 오장육부에 속한 숫자 간(肝) : 3, 8 심(心) : 2, 7 비(脾) : 5, 10 폐(肺) : 4, 9 신(腎) : 1. 6 17. 오취 : 오장에서 풍기며 좋아하는 냄새 간 : 조(燥) - 누린내 - 간실자는 싫어하고 조취(爸臭)를 풍긴다. 간허자는 좋아한다. 심 : 초(焦) - 불냄새 - 심실자는 싫어하고 초취(焦臭)를 풍긴다. 심허자는 좋아한다. 비 : 향(香) - 향기 - 비실자는 싫어하고 향취(香臭)를 풍긴다. 비허자는 좋아한다. 폐 : 성(腥) - 비린내 - 폐실자는 싫어하고 성취(腥臭)를 풍긴다. 폐허자는 좋아한다. 신 : 부(腐) - 썩는 냄새 - 신실자는 싫어하고 부취(腐臭). 풍긴다 신허자는 좋아한다. 18. 오액(五液) : 오장에서 주관하는 액체 간 : 읍(泣) - 눈물 : 간실 심 : 한(汗) - 땀 : 심허 비 : 연(涎) - 침 : 비실 폐 : 체(涕) - 콧물 : 폐실 신 : 타(唾) - 침 : 신허(침뱉는 것) 19. 변동: 오장의 부조(不調)로 나타나는 증상. 간 : 악(握)(웅크리는 것) - 간병은 근수축(筋收縮)이 된다. 심 : 우(憂)(근심) - 심병은 근심을 한다, 비 : 홰(홰)(재채기, 구토) - 비병은 구역질을 한다. 폐 : 해(해)(기침) - 폐병은 기침을 한다. 신 : 율(慄)(떤다) - 신병은 추워서 떨리는 상태이다. 20. 천간(天干) 갑(甲): 담, 을(乙) : 간, 병(丙)(소장), 정(丁)(심장), 무(戊)(위), 기(己)(비), 경(庚)(대장), 신(辛)(폐), 임(壬)(방광), 계(癸)(신). 21. 지지(地支) 목(木) : 인묘(寅卯), 화(火) : 사오(巳午), 토(土) : 축진미(丑辰未), 금(金) : 신유(申酉), 수(水) : 해자(亥子). 22. 방향(方向) 간 : 동방은 간목이 왕성한 방향이다. 심 : 남방은 심화가 왕성한 방향이다. 비 : 서남방은 비토가 왕성한 방향이다. 폐 : 서방은 폐금이 왕성한 방향이다. 신 : 북방은 신수가 왕성한 방향이다. 23. 오상(五常) : 오장에서 풍기는 성품. 간 - 인(仁) : 어질은 것, 잘 알아주는 것. 심 - 예(禮) : 상하를 알고 받들어 주는 것. 비 - 신(信) : 맡은 일을 착실히 완수하는 것. 폐 - 의(義) : 상(常)과 벌(罰)을 가려주는 것, 옳은 일을 관철시키는 것. 신 - 지(智) : 어떤 일에 뜻을 갖는 것, 의리가 있는 것. |
첫댓글 오머나!
동의보감 총론을 써 놨네요.
외워야하나?
이런 글 보믄
달달 외우라고 올려 놓으신것 같아서리...
외우면 살과 피가
서방의 얼굴과 연봉이 달라지고
마누라의 얼굴이 달라진다.
머
그런 풍조가 있었지요.
근뒤
또 시집 장가 갈 것도 아닌데
안 외울란다.
나도 바쁜 뇨자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