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 밥 한그릇의 시원 始原>(최수연/마고북스) 에서
한편, 논밭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시골 사람들이 흔히 몇 마지기라고 표현할 때의 마지기가 대표적인 것이다.
그 위에 배미, 헥타르, 단보, 섬지기 등이 있다.
한자로 두락(斗落)이라고도 하는 마지기는 볍씨 한 말을 뿌릴 만한 논의 넓이를 말한다.
보통 논은 200평, 밭은 300평을 기준으로 한 마지기라고 한다.
그러나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 경기도는 150평, 충청도는 200평,
강원도는 300평, 경상도는 200평 등으로 저마다 다르다.
또 쌀 한 섬이 생산되는 면적을 말하기도 하는데 한 섬은 한 말의 열 배로 약 180킬로그램에 해당된다.
그러니까 한 마지기가 현재 공식 도량형 단위로 쓰이는 몇 제곱미터라고 잘라 말할 수는 없다.
논을 나타내는 다른 표현으로 섬지기라는 말이 있다.
이것은 볍씨 한 섬의 모 또는 씨앗을 심을 만한 넓이를 나타낸다.
즉, 한 섬지기는 한 마지기의 열 배인 약 2~3천 평의 논을 가리킨다.
섬지기는 또한 논에서 벼가 생산되는 양을 기준으로 쓰이기도 한다.
두 섬지기 논이라고 하면 쌀 두 섬이 생산되는 논을 말한다.
하지만 논에서 생산되는 쌀의 양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생산량을 가지고 일률적으로 넓이를 말할 수는 없다.
같은 양의 볍씨를 뿌려도 좋은 땅은 생산량이 많고 나쁜 논은 적게 나오는 게 보통이기 때문이다.
단보는 논뿐만 아니라 밭의 넓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1단보는 300평을 말한다.
단보와 더불어 흔히 쓰이는 1정보는 10단보 즉, 3천 평을 가리킨다.
단보는 일제강점기 때 사용하던 단위로,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논의 넓이를 나타내는 공식 단위인 헥타르는 미터법에 의한 국제적인 도량형의 단위다.
아르(a)의 백배인 헥타르(ha)는 약 1정보(3,000평)에 해단한다.
우리나라는 1963년부터 미터법을 공식 도량형 단위로 채택하고 있고
최근 들어 미터법 표기 의무를 강화하고 있지만 아직도 농촌에서는 마지기나 평이라는 단위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배미는 두렁으로 둘러싸인 논 하나를 일컫는다.
면적과 관계없이 논의 구획을 일컫는 말로 보통 논의 숫자를 셀 때 사용한다.
따라서 논 한배미라고 해도 넓이를 짐작하기는 어렵다.
200평이 한 배미일 수도 있고 1,000평이 한 배미일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통은 작은 규모의 논을 가리켜 배미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배미는 또 접미사가 되어 논의 모양이나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로도 쓰인다.
(p.5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