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평생교육원
숲해설가과정 25기 신원영선생님께서
수집하신 내용을
27기 박래현이 정리한 자료입니다>
※ 나비목중 나비
☆ 나비에 대하여
_ 나비의 생존
나비는 100~100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이 살아남을 확룰은 2%다
즉, 100개의 알중 약 2개만 살아 남는다.
대부분의 알이 사마귀, 잠자리,
쌍살벌, 거미, 새 등이 먹잇감이 된다.
_ 나비의 명칭
'나불나불 거리며 날다'에서
나온 것으로,
'낣이(날비)'를
어원으로 하여 이름 붙여졌다.
_ 나비 몸의 생김새
_ 나비의 한살이
_ (성충)나비의 먹이
물, 꿀, 꽃가루, 나무진, 풀즙,
소의 배설물, 시체, 새의 배설물 등
_ 나비의 알
대체로 둥그런 모양이나
뾰족한 모양의 나비도 있음
(배추흰나비, 기생나비,
노랑나비 등의 알이 뾰족하다)
_ 나비의 우화(羽化, emergence)
우화란 날개가 돋는 것을 말하며
'사람이 날개가 돋아 하늘로 올라가
신선이 된다.’는 우화등선(羽化登仙)에서
따온 말이라고 한다.
생물학에서 우화란
‘곤충의 번데기가 날개가 있는 벌레로
변하는 것’ 또는 ‘곤충이 탈피를 거쳐
유충에서 성충이 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곤충의 우화 중에서
가장 극적인 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나비의 우화이다.
_ 호랑나비의 우화
* 나비의 입
_ 나비의 날개
_ 나비의 눈
_ 나비의 길
_ 나비의 봄형, 여름형
_ 나비의 텃세권
나비의 수컷은
대부분 자기가 사는 지역의
일정 범위를 영역으로 삼아
그 안으로 들어온 수컷을 내쫓고,
암컷은 붙잡아 짝짓기한다.
나비는 낮동안 활동시간에
텃세권을 알리는 비행한다.
이 수컷을 잡아버리면
다른 수컷이 나타나서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한다.
_ 나비 애벌레의 은신처
o 왕오색 나비 : 잎 위에서 쉰다.
o 먹그는 나비 : 잎 뒤에서 쉰다
o 금강산 녹색부전나비 :
굵은 나무가지 갈라진 곳에서 쉰다.
o 애벌레의 쉼터에는
모두 실을 토해 발판을 만들고,
먹이를 먹을때만 나간다.
o 상제나비, 눈나비 : 실을 토해 주머니
모양의 짐속에서 집단생활
o 큰 멋쟁이 나비 : 식물의 잎으로
집을 만들고, 끝에서부터 먹어들어가다
다 먹으면 새로운 잎으로 옮김
o 왕세줄나비 : 겨울을 날때만 집을
만들어 그 속에서 겨울잠을 잔다.
☆ 곤충과 식물의 꽃
꽃의 향기, 빛깔, 모양, 크기를
진화시켜 곤충을 끌어들임.
1. 네발나비
계곡 주변, 강가에서
4월~10월 볼수있음
_ 여름형
날개 뒷면에 황갈색 검은점,
아래 면 갈색 줄무늬,
(나무집에 모여듬)
_ 가을형
윗면이 붉은색
아랫면은 짙은 적갈색
(구절초,산국의 꽃의 꿀을 빨고
떨어진 감의 과즙 먹음)
_ 여름가을형
뒷날개 뒷면에 C자형 무늬가 있다.
네발나비의 우화과정<알,애벌레,번데기,성충(어른벌레)>
2. 뿔나비
아래 입술수염이 서로 붙어 긴 주둥이
모양의 뿔처럼 보여서 뿔나비이다.
길가 습지에 떼지어 물을 먹고
일광욕을 한다.
썩은 과일, 동물사체에 잘 모이며
꽂의 꿀도 빤다.
3. 왕오색 나비. (네발나비과)
_ 마을에 인접한 잡목림에 서식
_ 숫나비는 청색, 암나비는 노란색
_ 상수리, 느릅나무 수액에 모이고,
_ 애벌레는 풍게 나무 잎을 먹는다.
_ 어른벌레는 윤이 난다.
_ 왕오색나비의 숫나비와 암나비
_ 우화과정
4. 모시나비
날개가 반투명의 모시와 같아서
모시나비라 한다.
○ 붉은점모시나비
_ 날개편길이 65~75mm 이다
_ 양지바른 풀밭과 경작지에 산다
_ 짝짓기 끝난 암컷의
배끝에는 수태남이 붙는다.
_ 엉컹퀴, 기린초 등의 꽃의 꿀을
빨아 먹는다.
_ 기린초, 돌나물 주변의 죽은 가지나
마른 잎에 알을 낳고
애벌레는 그 잎을 먹는다.
○ 모시 나비
_ 날개비늘가루가 적고 흰색으로
반투명하다.
_ 5~6월에 짝짓기후 수태남이 붙는다.
_ 엉컹퀴, 자운영, 토끼풀, 기린초,
나무딸기 꽃의 꿀을 빤다
5. 줄나비
나비의 무늬중 줄이 있는 것에 따라
굵은줄나비, 어리세줄나비
(시공 싸리나무가지로 병아리 가두는
어리와 비슷한 줄), 별박이세줄나비,
왕세줄나비, 왕줄나비, 제이줄나비,
황세줄나비 (담황색??)
6. 표범나비
작은은점선표범나비,
큰은점표범나비 (해발 600m 이상),
금빛 머리 표범나비
(금빛띠에 검은 점들),
백두산 클범나비
(등황색 바탕에 흑갈색무늬검은점),
봄어리표범나비, 산은줄표범나비, 암끝검은표범나비
(암컷-검정날개)
(수컷 -황갈색에 검은 점)
작은 표범나비, 은점표범나비,
7. 알락나비 (네발나비과)
_ 홍점알락나비, 흑백알락나비
_ 알락나비는 참나무의 진, 썩은 과일,
짐승의 배설물에 모이며,
_ 애벌레는 팽나무, 풍게 나무잎을 먹는다.
(5~8월에 보임)
_ 참나무가 많은 숲에서 서식한다.
8. 배추흰나비
_ 배추잎을 갉아 먹는 애벌레는 해충
(주로 십자화과의 잎을 먹는다
_ 배추, 무우 등)
_ 꽃가루를 옮겨주는 성충은 익충임
(암컷 성충의 날개가 연한 노란색)
9.부전나비
날개를 편 길이가 2~4cm밖에
안 되는 작은 나비로 날개를 접은 상태로 조그맣게 앉아 있는 모습이 마치 조개와 같다고 하여 조개 모양의 바늘집을
가리키는 부전을 따서 ‘부전나비’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추측된다.
10. 왕나비(왕나비과)
날개편길이100mm정도
남부지방 저지대 5~9월
11. 팔랑나비과
○ 독수리 팔랑나비
_ 오후 늦게 활발히 날아다님
_ 피나무, 개망초등의 꿀을 빤다
○ 돈무늬 팔랑나비
_ 톡톡 튀듯 날아다니며
_ 개망초, 조뱅이꽃의 꿀을 빤다
_ 수컷이 작다
○ 왕자팔랑나비
_ 수풀, 마을주변에서 볼 수 있다
_ 암컷이 크다
_ 마 종류 잎에 한개씩 산관한다
○ 줄꼬마찰랑나비
_알을 낳은 후 자신의 배에 난
털로 덮는 습성이 있다
_ 평지~산지에 서식한다.
○ 줄점 팔랑나비
_ 마을, 논밭, 하천주변에 산다
_ 국화, 엉겅퀴, 메밀, 고마리 꽃의
꿀을 빤다
_ 애벌레는 갈대, 강아지풀,
왕바랭이 풀잎을 먹는다.
○ 지리산 팔랑나비
_성충은 엉겅퀴, 큰까치수염 꽃의
꿀을 빼고
_ 애벌레는 억새류를 먹고 자란다.
○ 푸른큰수리팔랑나비
_날개편길이가 45~55cm이다
_남부지방에 주로 보인다
_ 5~8월에 볼 수 있다
_ 아카시나무, 엉겅퀴 등의 꽃의 꿀과
소나 새의 배설물을 먹는다
12. 호랑나비과
○ 꼬리명주나비
_ 암컷 : 흑갈색
수컷 : 흰 노랑바탕 검정색이 있다
_ 날개꼬리가 길고 가늘다.
꼬리명주나무의 짝짓기, 알날기, 알, 애벌레, 번데기, 우화과정 등
# 익충과 해충
_ 익충 : 사람에게 이로움을 주는 곤충
(무당벌레 , 꿀벌, 누에나방 등)
_ 해충 : 사람에게 해를 입히는 곤충
(진딧물, 송충이, 하늘소,
벼메뚜기, 모기, 파리 등등)
# 곤충의 식사
<일반적 식사 특징>
_ 아무것이나 닥치는데로 먹는 곤충
_ 한 가지만 먹는 곤충
_ 몸속의 독소를 분해 할 수 있는 물질이 있어
다른 곤충이 못 먹는 것을 잘 먹는 곤충
_ 먹이가 한정된 세상에서
먹이를 두고 싸우기도 하며
_ 심지어 서로 잡아먹기도 한다.
<곤충별 식사>
_ 나비 -
꿀, 꽃가루, 나무진액, 동물사체를 빨아먹는다.
_ 쇠똥구리
쇠똥으로 작은 공모양을 만들어
모래 땅에 파놓은 구멍에 넣고
그 구멍에서 식용 똥을 파먹는다.
_ 송장벌레
죽은 동물의 몸을 파먹거나
땅속에 묻었다가 먹기도 한다.
_ 딱정벌레
곤충이나 지렁이를 먹는다.
특히 긴 목을 달팽이 껍질 속에 넣고
달팽이 살을 녹여가며 먹는다
_ 무당벌레
진딧물을 주로 먹기 때문에 익충
애벌레 시기에는 서로 잡아먹기도 한다.
알에서 먼저 나온 애벌레가
알을 모두 먹기도 한다.
<자연의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투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