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꼭 지켜 주세요. 질문양식 ※
>> 다른 회사나 다른 강사분의 교재나 모고 질문은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제 콘텐츠 외의 내용 중, 출처(출제 기관과 연도)를 밝히지 않으신 질문은 답변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 미리 양해 부탁드립니다.
>> 게시글에 제 콘텐츠를 사진으로 찍어 올리지 마시고 질문이 발생한 교재와 페이지를 밝혀 주시면 됩니다. 자신의 필기를 바탕으로 질문하고 싶으셔서 사진을 첨부하시는 경우 사진은 비댓으로 넣어 주세요!
1.인강 내용 질문일 때
⊙ 수강 중인 강좌 이름 - 몇 강 관련 질문인지 예시) 독해알고리즘 - 6강 전개방식 질문입니다.
2. 교재 내용 질문일 때
⊙ 교재 이름 - 몇 페이지인지 예시) 문학알고리즘 - 24쪽 ○○ 질문입니다.
3. 인강이나 교재 내용 밖의 질문일 때
⊙ 제목에 질문의 출처와 키워드를 넣어주세요. 예시) 2017년 법원직 기출 품사 통용 질문입니다.
4. 모고 질문일 때
⊙ 모고명 - 시즌 - 회차 - 번호 예시) 백일기도 시즌 1 20회 18번 질문입니다.
이유진 쿼터 홈트 시즌 2-2 2p -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2" - 04) - (2) & 독해 알고리즘 코어 39p 필요, 충분조건 설명
1. 해당 문제를 풀 때 벤다이어그램의 좌충우필(좌:악보 읽기, 우:악기 연주)로 생각했고, 악보를 읽는 게 조건 구분의 기준으로 생각해서 필요조건으로 구분하고 맞았습니다. 그런데 해설지의 "원인을 갖추었다고 해서 결과가 반드시 발생하는 경우가 아니므로 필요조건의 예시이다" 설명이 코어교재의 설명(원인이 없을 때 결과도 없는 관계)과 달라서 어느 설명이 맞는 건지 궁금합니다.
(같이 있는(1), (3)은 확실히 이해했습니다.)
2. 동일 장의 3번문제처럼 "~는 ~기 위한 @@조건이다" 문제는 어떻게 풀지 알겠는데, 이렇게 글 하나를 주고 필요, 충분, 필요충분을 구분하는 문제는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첫댓글 1. 문장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넣으실 때 뒤집어 넣으셨네요. 악보를 읽을 수 있어도 악기 연주를 잘 못할 수 있다는 말을 생각해 보시면 작은 원에 악기 연주가 들어가야 한다는 생각이 드실 거예요^^
좌가 악기 연주, 우가 악보 읽기입니다.
악기 연주 → 악보 읽기
2. 제시된 명제들에서 조건들을 직접 구하여 3번문제처럼 만드신 뒤 푸셔야 하는 거예요^^
아, 죄송합니다. 분명 글을 쓰고 퇴고를 했는데, 못 봤습니다. 선생님 말씀(좌충우필)대로 괄호 안의 좌를 악기 연주, 우를 악보읽기로 해서 풀었고 맞았습니다.
이해가 잘 안 가는 게, 해설지의 "원인을 갖추었다고 해서 결과가 반드시 발생하는 경우가 아니므로 필요조건의 예시이다" 부분이
"악보를 읽어도 악기 연주를 잘 할지 못 할지는 모르지만, 악보를 못 읽으면 악기 연주를 잘 하는 건 불가능하다"여서
코어의"원인이 없을 때 결과도 없는 관계"와 동일한 설명이어서 필요조건의 예시인가요?
네.
악보를 읽을 수 있어도(원인을 갖추었다고 해도) 악기 연주를 잘 못할 수 있다.(결과가 반드시 발생하는 것은 아님)
그래서 이때 원인인 '악보 읽기'는 필요 조건인 것입니다.
악보를 못 읽으면 연주를 잘할 리 없으니 '원인이 없을 때 결과도 없는 관계'이고요.
답변 감사합니다. 주말 잘 보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