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역대 대통령 연표; 수정 2014. 6월
大韓民國 歷代 大統領 年表
화일첨부
순서 연대 대통령 (정당)
01대 1948, 7~1952, 8 이승만
02대 1952, 8~1956, 8 이승만 (자유당)
03대 1956, 8~1960, 4 이승만 (")
1960, 4~1960, 8, 허정 (과도내각)
04대 1960, 8~1963,12 윤보선 (민주당)
05대 1963,12~1967, 6 박정희 (민주공화당)
06대 1967, 6~1971, 6 박정희
07대 1971, 6~1972,12 박정희
08대 1972,12~1978,12 박정희
09대 1978,12~1979,10 박정희
10대 1979,12~1980, 8 최규하 ( )
11대 1980, 8~1981, 2 전두환 (통일주체국민회의)
12대 1981, 2~1988, 2 전두환 (민주정의당)
13대 1988, 2~1993, 2 노태우 (민정당->민주자유당)
14대 1993, 2~1998, 2,24 김영삼 (민자당->신한국당)
15대 1998, 2~2003 김대중 (국민회의)
16대 2003, 2-2008 노무현 (열린우리당)
17대 2008, 2-2012 이명박 (한나라당)
18대 2012, 2~2017 박근혜 (새누리당)
===============
===============
* 1대~3대 1948~1960 이승만
1948년
5월 10일 : 제헌 국회의원 선거
5월 31일 : 제헌 국회 제1회 국회 개회식, 국회 의장에 이승만, 부의장에 신익희, 김동원 선출
7월 17일 : 대한민국 헌법 및 정부 조직법 공포
7월 20일 : 대통령, 부통령 선거.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시영 선출
7월 24일 : 대통령 및 부통령 취임식
8월 15일 : 대한민국 정부수립 선포식 거행
1949년
1월 1일 : 미국, 대한민국을 정식 승인
6월 21일 : 농지 개혁법 공포
1950년
1월 26일 :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조인
5월 30일 : 제2대 국회의원 총선거
6월 25일 : 북한, 38선 전역에서 불법 남침
7월 12일 : 한미대전 협정 체결 (주한 미군의 관할권에 관한 협정)
7월 14일 : 이대통령,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에게 한국군 작전 지휘권을 위임하는 서신 발송
10월 30일 : 이대통령, 평양시민 환영대회 참석
1951년 1월 4일 : 1·4 후퇴
1952년
1월 18일 : 이대통령, 평화선 선포
7월 4일 : 발췌 개헌안 통과
8월 5일 : 2대 정,부통령 선거 실시. 대통령에 이승만(자유당),부통령 함태영(무소속) 당선
1953년
6월 18일 : 이대통령, 북한 반공 포로 27,312명 석방
7월 27일 : 정전협정
10월 1일 :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 정식 조인
1954년
5월 20일 : 제3대 민의원 총선(자유당 114, 무소속 68, 민국당 15)
5월 22일 : 제네바 회의에서 변영태 한국대표 통한 방안(15개항) 제시
11월 29일 : 국회, 개헌안(초대 대통령 중임제한 철폐 등) 부결을 번복, 4사5입 통과 선언(재적 203명 중 찬성 135, 반대 60, 기권 7, 결석 1), 당일로 공포(4사5입 개헌)
1956년 5월 15일 : 제3대 정,부통령 선거(투표 결과 이승만 5,046,437표, 조봉암 2,163,808표), 부통령 장면
1958년 1월 13일 : 진보당 위원장 조봉암 등 국가보안법 혐의로 구속
1960년
3월 15일 : 정,부통령 선거 실시(3·15 부정 선거: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기붕), 마산 의거 발생
4월 19일 : 4.19 혁명, 2만명 이상의 학생 시위, 사망 142명
4월 26일 : 이승만 대통령 하야 성명
-----------
* 4대 1960~1962윤보선
1960년
7월 29일 : 제5대 민의원, 초대 참의원 총선 실시(219석 중 민주당 172석 확보)
8월 12일 : 민의원, 참의원 합동 회의, 2공화국 대통령에 윤보선 선출
8월 13일 : 윤보선, 제4대 대통령에 취임
8월 19일 : 민의원, 국무총리에 장면 의원 인준, 장면내각 성립
12월 1일 : 광복 후 처음으로 한,일 정기 해상 항로(부산~하까다) 개설
1961년
5월 16일 : 군사정변 발생, 군사혁명위원회 설치(의장 장도영, 부의장 박정희)
5월 19일 : 윤보선 대통령, 하야 성명 발표. 5·20 하야 결정을 번복
5월 20일 : 혁명 내각 구성(수반 장도영 중장)
1962년
1월 13일 : 제1차 경제 5개년 계획 실시
2월 3일 : 울산 공업지구 건설 기공식
3월 22일 : 윤보선 대통령 사임
--------------
* 5대~9대 1963~1979 박정희
1962년 3월 24일 : 박정희 최고회의의장, 대통령 권한 대행
1963년 8월 30일 : 박정희 육군대장 전역식
1963년 12월 17일 : 제3 공화국 출범
1964년 2월 1일 : 정기 국회에서 '4대의혹사건' 정치 쟁점화
1964년 6월 3일 : 한일회담 반대 시위
1965년 1월 8일 : 베트남 전쟁에 파병 결정
1965년 6월 22일 : 한·일협정 조인
1966년 4월 9일 : 인천제철공장 기공식, 한·미 행정협정 조인
1967년 5월 3일 : 제6대 대통령 당선
1967년 6월 8일 : 제7대 총선 실시, 신민당 6개월간 등원 거부
1968년 1월 21일 : 서울에 무장공비 31명 침입
1968년 4월 1일 : 향토예비군 창설
1969년 9월 14일 : 3선 개헌안 변칙 처리
1970년
1월 9일 : 새마을 운동 시작
7월 7일 : 경부고속국도 개통
8월 15일 : 남북간 선의의 경쟁을 제창하는 '8.15 선언' 발표
11월 13일 : 근로기준법 준수를 요구하며 전태일 분신 항거
1971년
4월 15일 : 언론자유수호운동 본격화
4월 27일 : 박정희, 제7대 대통령 당선
7월 28일 : 사법 파동
9월 20일 : 남북 이산가족찾기 적십자간 첫 예비회담 개막
1972년
7월 4일 : 남북공동성명 발표
10월 17일 : 유신체제 선포, 비상계엄령 선포
12월 23일 : 제8대 대통령 당선
12월 27일 : 유신헌법 공포
1973년 6월 23일 : 남북한 동시 유엔가입 제창
1973년 11월 14일 : 호남고속도로 개통
1974년 6월 23일 :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 대통령 저격사건 발생, 육영수여사 피살
1975년 2월 12일 : 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
1978년 5월 13일 : 유신헌법 비방 금지 대통령 긴급조치 제9호 공포
1976년 3월 1일 : '3.1 민주구국 선언' 발표
1977년 12월 22일 : 수출 목표 1백억 달러 달성 기념식
1978년
12월 6일 : 미국 하원 윤리위원회, 코리아게이트 파문 최종 보고서 채택
12월 10일 : 국민 1인당 GNP 1,117달러 달성
12월 27일 : 제9대 대통령 취임
1979년
4월 10일 : 정부 과천청사 준공
7월 1일 : 전국민 의료보험제 전면 실시
8월 11일 : YH 노동조합 농성 진압
10월 15일 : 부산, 마산 민주화 운동 시작
10월 26일 : 박정희 대통령 서거
--------------------------
* 10대 1979~1980최규하
1979년
10월 26일 : 국무총리 최규하, 대통령 권한 대행 취임
12월 6일 : 통일주체국민회의, 최규하 후보 제10대 대통령으로 선출
12월 12일 : 전두환 보안사령관, 정승화 계엄사령관을 체포('12·12사태' 발생)
12월 21일 : 최규하 제10대 대통령 취임
1980년 5월 18일 : 5·18 민주화운동 시작
1980년 8월 16일 : 최규하 대통령 사임
----------------
* 11대~12대 1980~1988 전두환
1980년
8월 27일 : 통일주체국민회의, 전두환 후보를 제11대 대통령으로 선출
9월 1일 : 전두환, 제11대 대통령으로 취임
11월 15일 : 언론 통폐합과 언론인 강제 해직
12월 30일 : 입법회의, 반공법을 폐지하고 그 내용을 국가보안법에 흡수
1981년 2월 25일 : 대통령 선거인단선거를 통해 선출된 전두환 후보, 제12대 대통령 취임
1982년 3월 18일 :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 발생
1983년
9월 1일 : 대한 항공 여객기 소련 영공에서 격추(269명 전원 사망)
10월 9일 : 미얀마 아웅산 묘소 폭발 사건으로 서석준 부총리등 17명 사망
1984년 11월 15일 : 제1차 남북경제회담 시작. 경의선철도 연결, 남북경제협력협의회 설치 등 합의
1985년 9월 20일 : 남북 고향방문과 예술 공연단 각151명 서울과 평양 교환 방문
1986년
5월 3일 : 직선제 개헌 요구 '5·3 인천 시위'
7월 3일 : 부천서 성고문 사건 발생
9월 20일 : 서울 아시아 경기대회 개최(~10.5)
1987년
6월 10일 : 전국 18개 도시에서 가두 시위 발생, '6월 민주항쟁' 본격화
6월 29일 : 노태우 민정당 대표위원, 직선제 개헌. 김대중 사면 등 시국 수습을 위한 특별 선언 발표
12월 16일 : 제13대 대통령 선거 실시, 노태우 후보 당선
----------------
* 13대 1988~1993 노태우
1988년
2월 25일 : 노태우 대통령 당선자, 제13대 대통령에 취임
3월 1일 : 노태우 대통령, 북방외교 추진을 천명
3월 11일 : 3단계 해외 여행 자유화 방안 마련
4월 1일 : 정부, '광주 사태'의 성격을 민주화 노력의 일환으로 규정
4월 26일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실시
8월 15일 : 노태우 대통령, 김일성에게 남북한 최고책임자회담 제의
9월 17일 : 제24회 서울 하계 올림픽대회 개막
1989년
3월 25일 : 한국은행, 1988년도 1인당 GNP가 4,040 달러라고 발표
8월 15일 : 노태우 대통령, 자주.평화.민주 방식의 통일 3대 원칙 제시
9월 11일 : 노태우 대통령,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제시
※ 동구권 국가들과 수교
1990년
1월 22일 : 민정당·민주당·공화당, 3당통합을 선언
3월 9일 : 제1차 남북체육회담 개최
9월 4일 : 서울에서 남북한 첫 총리회담 개최
12월 13일 : 노태우 대통령, 소련을 방문하고 모스크바선언을 발표
1991년
4월 19일 : 고르바쵸프 소련대통령, 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
※ 소련과 국교 수립
8월 29일 : 주변 7개국이 참가한 두만강개발국제회의 개막
9월 18일 : 제46차 유엔총회에서 남북한 유엔 회원국으로 동시 가입
12월 13일 :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서명
1992년
3월 24일 : 제14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12월 18일 : 제14대 대통령선거 실시, 김영삼 당선
12월 22일 : 베트남과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 중국과 국교 수립
------------------------
* 14 대 1993~1998 김영삼
1993년
2월 25일 : 김영삼, 제14대 대통령에 취임
3월 16일 : 김영삼 대통령, 북한의 NPT 탈퇴 철회를 촉구
5월 13일 : 김영삼 대통령, 역사바로세우기 관련 특별담화 발표
5월 24일 : 김영삼 대통령, 정부의 외교구상인 '신외교'를 선언
6월 29일 : 육군 상록수 부대를 소말리아 평화유지군(PKO)으로 파견
8월 6일 : 대전 엑스포93 개막, 108개국 참가
8월 11일 : 공직윤리법에 따른 공직자의 재산등록 마감
8월 12일 : 금융실명제 실시
1994년
7월 8일 : 김일성 사망
12월 5일 : 개인의 외환 보유를 완전 자유화하는 외환개혁안 발표
12월 16일 : 국회, WTO 가입인준동의안 통과
1995년
1월 5일 : 한국 경제개발협력기구 금융시장위원회에 옵서버로 가입
1월 21일 : 세계화추진위원회 출범, 세계화 12대 과제를 추진
6월 25일 : 북한에 대한 식량 지원 선박 청진항에 도착
6월 27일 : 지방자치단체 선거 실시
8월 15일 : 조선총독부 건물의 중앙돔 상부첨탑 철거
12월 19일 : 국회, 12.12 및 5.18 관련자 처벌을 위한 '5.18 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안' 의결
1996년
5월 31일 : FIFA. 2002년 월드컵 한일 공동 개최 결정
1997년
1월 7일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우리 나라 1996년 교역 규모는 2,800억 달러로 세계 12위라고 발표
1월 27일 : 한국은행, 한보철강 부도에 따른 자금경색을 해소하기 위해 2조원의 자금을 긴급 지원 발표
11월 27일 : 재정경제원장관, 국제통화기금의 긴급자금지원 관련 실무협상 타결 발표
---------------
* 15대 1998~2003 김대중
1998. 2. 25 : 제15대 대통령 김대중 취임
1998. 6. 4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8. 6. 16 : 현대 정주영 명예회장 소떼 5백마리와 함께 북한 방문
1998. 10. 20 : 일본 대중 문화 개방 선언
1998. 11. 18: 금강산 관광선 첫 출항
1999. 4 : 국민연금 적용대상이 전국민으로 확대
1999. 6. 15 : 남-북 서해 교전
1999. 10. 6 : 인천지하철 개통
1999. 12. 7 : ‘약사법 개정법률안’이 국회 통과로 의약분업 시행
2000. 4. 13 : 제16대 국회의원선거
2000. 6. 15 :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정상회담(김대중 대통령, 김정일 국장위원장) 개최
2000. 9. 7 : 김대중 대통령 UN총회 연설
2000. 9. 15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남북한 선수단 동시 입장
2000. 9. 18 : 경의선 철도 및 도로 연결 기공식
2000. 9. 25~26 남북국방장관회담 개최
2000. 10. 1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시행
2000. 10. 20 : ASEM 서울 2000개막
2000. 12. 10 : 김대중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
2001. 1. 29 : 여성부 신설
2001. 5. 23 : 국가인권위원회법 공포
2001. 8. 23 : IMF 지원자금 195억불을 전액 상환
2002. 5. 31~6. 30 2002년 한·일월드컵 개최
2002. 9. 29~10.14 부산아시아경기대회 개최
2002. 10. 26~11. 1 제8회 부산 아시아·태평양 장애인 경기대회 개최
2002. 12. 19 :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노무현 당선
------------------------
* 16대 2003-2008노무현
2003. 2월 25일 노무현 대통령 취임, 참여정부 출범
2004. 2월 19일 한국 영화 <실미도> 국내 최초 1천만 관객 돌파
2004. 3월 12일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국회를 통과
2004. 4월 1일 KTX가 개통
2004. 4월 22일 룡천 열차폭발 사고가 일어남
2004. 5월 14일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가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을 기각
2004. 10월 21일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가 신행정수도법 위헌 확인 결정|행정수도 이전법을 위헌이라고 확인
2005. 2월 3일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가 호주제에 대해 헌법 불합치 선고를 내림
2006. 12월 5일 수출 3000억 달러 돌파
2007. 1월 23일 인민혁명당 사건에 대해 대한민국의 대법원이 무죄를 선고
2007. 10월 2일~10월 4일 제2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 발표
* 17대 2008-2012 이명박
2008. 2월 25일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명박 정부 출범
2008. 5월 미국 광우병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
2010. 3월 26일 천안함 침몰
2010. 11월 23일 연평도 北방사포 공격으로 민간인 2명, 군인 2명 사망
2011. 12월 17일 김정일 사망
* 18대 2013-201? 박근혜 ; 국정원 댓글
2013년 2월 25일 박근혜 대통령 취임, 박근혜 정부 출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