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비누 질문과 답변
Q, MP비누와 CP 비누의 차이점은 어떻게 다른가요?
MP비누는 이미 가공되어 있는 용해용 비누소지인 비누베이스를 가온시켜서 녹여 붓기 방법으
로 만들고 CP비누는 기름인 오일을 수산화나트륨과 반응시켜서 직접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MP비누는 가온시키면 열에 의해서 녹지만 CP비누는 가온시켜도 녹지 않습니다.
Q, 비누베이스와 MP비누 그리고 HP비누 제조방법은 같은 고온에서 만들어 지는데 차이점
이 어떻게 다른가요?
비누베이스는 MP비누를 만드는 2차 가공자가 이를 용해 시켜서 필요한 첨가제 등을 넣고,
간편히 비누를 만들 수 있게 만들어진 MP비누의 주원료입니다
MP비누는 비누베이스를 녹여서 첨가제 등을 넣고 실온에서 경화시켜서 만든 비누입니다
HP비누는 제조자가 직접 오일과 수산화나트륨을 반응시켜서 제조되는 방법이며, 고온으로 가
온 시켜도 녹지 않습니다.
Q, 비누 표면에 하얀 가루 같은 게 나와 있어요.
비누베이스를 제조할 때 가성소다를 사용하게 됩니다.
비누속에 있는 가성소다의 성분이 대기가 습할 때 수분과 이산화탄소를 만나서 탄산나트륨
으로 석출된 것입니다.
탄산나트륨은 섭취하지 않으면 해롭지 않은 물질입니다.
Q, 비누표면에 물방울이 맺혀 있어요.
비누베이스를 제조할 때 지방산과 다량의 투명용제와 습윤제 등을 첨가하여 가공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비누를 만들 때 CP비누의 경우 비누화가 이루어진 후에 5%이내의 첨가물을 사
용 하는데 비해, 비누베이스는 비누화가 이루어진 후에 100%이상 다량의 용제들을 첨가하여
만들어 지게 됩니다.
비누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원인은 베이스 제조과정에서 글리세린 등 용제의 과다 첨가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물방울이 맺히는 베이스로 비누를 만드셨을 경우는 습한 곳을 피하고 비누 가공 후 바로
비닐이나 랩 등으로 밀봉해 주어야 합니다.
Q, MP비누 만들 때 보습을 위해서 글리세린을 첨가해야 하나요?
비누베이스를 제조할 때 제조자의 레시피에 따라서 다르지만 글리세린은 투명과 보습 그리고
용해성을 위해서 상당한 양을 첨가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MP비누를 제조 할 때 글리세린은 첨가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글리세린은 독성과 피부자극이 없고 수분 유지능력이 우수하여 의약품이나, 화장품원료에 잘
섞이는 장점이 있어서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강한 흡습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기가 습하면 보습에 매우 좋으나 대기가 건조하면 피부의 습을 대기로 빼앗기게 되는 원인
이 되기도 합니다.
글리세린은 주변의 습을 끌어당기는 힘이 매우 강하며, 일예로 글리세린을 담은 용기에 담아
서 대기 중에 오랫동안 노출 시키게 되면 용기안의 글리세린의 성분은 없어지고 물로 변화 되
어 있는 현상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우기 철 등 습이 많을 때 비누표면에 물방울이 맺혀있는 현상을 볼 수 있게 되는데 이는 MP
비누에 글리세린 성분이 많고 적음에 따라서 물방울도 많게 또는 적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화장품문화가 발달하기 전에는 글리세린 등이 보습제로 많이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캐리어오일
등 좋은 보습제가 많이 있습니다.
Q, 기포가 많이 생겨서 비누표면이 매끄럽지 못 합니다.
비누베이스는 70~80℃정도의 온도에서 녹여야 합니다.
온도가 너무 높으면 비누화된 지방산의 변화로 기포가 많이 생기게 됩니다.
비누몰드에 비누제조물을 붓고 발생된 기포를 제거시키려면 에탄올을 비누제조물이 식기 전에
뿌려 주어야 합니다.
그래도 기포가 가라앉지 않으면 일회용 가스가 장착되어 있는 기구(가스토치)를 사용하여 열
을 가해 주면 발생된 기포가 녹아서 비누표면이 매끄럽게 됩니다
Q, 비누에서 쉰 냄새가 납니다.
반복해서 베이스를 녹였거나 또는 고열에 베이스를 녹이면 특유의 쉰 냄새가 납니다.
아로마 향 또는 기타 향을 조금 첨가하면 됩니다
Q, 드라이 허브잎을 비누속에 넣고 싶은데 가벼워서 비누제조물 위로 뜹니다.
드라이 허브잎 등은 가벼우므로 부력에 의해서 MP비누를 제조 할 때 첨가하게 되면 제조물
위로 뜨게 됩니다.
투명한 긴 몰드나 긴관 등을 사용하여 비누제조물에 허브잎을 넣고 비누제조물의 온도가 내려
가면 비누제조물이 흘러나오지 않게 긴관의 양쪽을 막고 수회 반복해서 몰드나 관속을 관찰하
며 뒤집어 주기를 반복하면 됩니다.
작은 양을 만들 때는 비누베이스 녹인 제조물의 온도를 50~60℃에 맞춰서 작업하면 비누베이
스를 녹인 제조물이 점도가 생겨서 부력의 힘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Q, MP비누를 만들 때 투명한 비누베이스가 좋은가요?
베이스가 투명할수록 지방산이나 오일류 보다 투명용제가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투명도를 나타내기 위한 공예품 등의 MP비누가 아니면 반투명 베이스나 불투명 베이스를 선
택하는 게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투명한 MP비누의 경우에는 비누의 생명인 순비누분이 30~40%에 불과합니다
순비누분은 비누가 가지고 있는 유지 함량입니다
귀하게 여기는 금도 18K와 24K가 있으며 금의 함유농도에 따라서 가치가 서로 다르듯이 비누
도 순비누분이 많아야 좋은 비누라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투명비누베이스는 순비누분이 30~40% 에 불과 합니다
바람직하게는 순비누분이 60% 이상은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거품도 잘 일어나고 보습도 있고 비누도 단단 해 집니다
비누베이스에 순비누분이 많을수록 투명도는 떨어지게 됩니다
Q, 비누의 유리알칼리가 무엇인가요?
비누속에 잔존 해 있는 가성소다 성분을 유리알칼리라 합니다
제거시키는 방법은 MP비누를 만들 때 피마자오일을 비누베이스 총량에 2% 첨가하면 됩니다
피마자오일(castor oil)은 아주까리오일 또는 캐스터오일 이라고 하며 약90%정도 리시놀산(ricinoleic acid)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피마자오일은 불건성유(nondrying oil)이고 풍부한 거품을 오래 유지시켜주며 노폐물이나 독소에 작용하여 불필요한 물질을 제거시키는 해독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의 천연비누는 MP비누이고 합성비누는 가수분해 시킨 비천연비누입니다
한국산업표준협회 화장비누 적용범위
천연비누 합성비누
수분 및 휘발성물질 20%이하 16%이하 (비누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함량)
순비누분 93%이하 93%이상 (유지와 가성소다의 반응으로 얻어진 순수비누)
석유에테르 가용분 3% 이하 3%이상 (향료, 지용성오일 및 기름에 녹는 물질)
유리알칼리 0,1%이하 0,1%이하 (비누속에 잔존 해 있는 가성소다 성분)
좋은 비누베이스 기본 10가지
1. PH가 8이하 이거나 중성
2. 유리알칼리 0%
3. 순비누분 50%이상
4. 수분 및 휘발성 물질 25%이하, 석유 에테르 가용분 3%이하
5. 수은, 납, 비소, 카드뮴, 크롬 등의 유해물질 무 검출
6. 석유계의 거품제, 경화제 및 황산, 방부제 등 무 첨가
7. 거품, 세정, 보습, 단단함이 있어야 할 것
8. Ca이온과 Mg이온이 녹아 있는 센물(hard water)이나 찬물에서도 거품이 잘 일어나야 할 것
9. 대기 중에 물방울 맺힘이 적어야 할 것
10. 글리세린 최소량 함유.
좋은 비누베이스 판매처
www.soap007.com 다아라솝
투명 비누베이스 및 천연비누 인터넷 강의
솝엔터테인먼트
www.soapet.com
첫댓글 귀한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정보 감사함니다~
감사합니다^^
비누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 즐거워 지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비누에 묻은 가루가 탄산나트륨 걱정없이 사용할 랍니다
^^
글리세린no..피마자 오일 2%첨가 숙지합니다~~
^^
좋은 정보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