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파일을 클릭하면 관련 논문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무아無我와 윤회輪廻에 대한 유식학적唯識學的 관점
The approach of Yogācāra school to the problem of no-self (anātman) and samsara the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saṃsāra)
한국불교학
2015, vol., no.73, pp. 105-136 (32 pages)
UCI : G704-001245.2015..73.011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 종교학
조인숙 동국대학교
목차
Ⅰ. 서론
Ⅱ. 현대 한국불교학계의 무아無我와 윤회輪廻 논쟁
Ⅲ. 초기불교初期佛敎의 무아無我와 윤회輪廻
Ⅳ.유식불교 唯識佛敎의 무아無我와 윤회輪廻 문제
Ⅴ. 결론
초록
無我說은 다른 여타의 종교와 차별되는 불교의 근본 교설이며, 인도의 전통적인 輪廻觀 또한 불교 자신의 교설로 삼고 있다. 여기서 무아이면서 윤회한다는 것은 모순된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는데, 이는 ‘윤회의 주체는 누구인가’하는 질문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붓다의 대답은 ‘윤회의 주체는 없다’는 것이다. 우리가 ‘나’ 혹은 ‘자아’라고 여기는 것의 실상은 五蘊으로, 이는 인연에 따라 모여졌다 흩어지는 무상한 존재일 뿐이다. 그러나, 중생들은 無明으로 인해 이 무상한 오온의 배후에 영속하는 자아가 있다고 집착하여 끊임없는 생사의 윤회에 빠지게 된다. 곧 윤회는 무아의 실상을 깨닫지 못한데서 비롯된다. 이러한 붓다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윤회의 주체 문제는 불교 역사상 끊임없는 논쟁을 불러일으켜 왔고, 불교의 각 부파는 이에 대한 보다 정합적인 이론을 모색하였다. 특히, 현대 한국불교계에서는 몇 년에 걸쳐 이 주제로 큰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唯識불교에서는 초기불교의 무아윤회를 계승하고 阿賴耶識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아뢰야식은 業의 결과이자 다음 生의 업의 원인이 되는 種子를 보관한 저장식이자 근본식으로, 끊임없이 생멸변화하는 무상한 假立된 존재이다. 아뢰야식은 저장된 業力에 따라 다음 生을 받음으로써 윤회의 주체 기능을 담당할 뿐 아니라 그 종자로부터 다음 생의 모든 현상을 일으킬 개체가 존재하는 근거가 된다. 유식설에 따르면, 중생의 존재뿐만 아니라 중생을 둘러싼 이 세계는 인식 활동의 소산으로[唯識無境], 아뢰야식에 저장된 종자가 발현하여 현재의 인식을 성립시키고[種子生現行], 현재의 인식은 다시 아뢰야식에 인식 활동의 결과인 종자를 남기고[現行熏種子], 다시 전 인식의 결과가 더해진 종자로부터 다음 인식이 발현한다[種子生現行]. 이러한 아뢰야식의 끊임없는 인식활동이 곧 중생의 삶의 모습이며, 찰나찰나 변화하는 가립된 존재인 아뢰야식은 十二緣起의 형식을 따라 윤회 속에서 삶과 죽음의 현상을 일으킨다. 이와 같이 유식불교는 아뢰야식 이론을 통해서 본질적으로 무아인 존재가 我見과 我執으로 인해 끊임없이 생사 윤회하는 실상을 보다 상세하고 정합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키워드 ; 무아 윤회 아뢰야식 유식 종자 십이연기
no-self (anātman), the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saṃsāra), Yogācāra school, (ālaya-vijñāna (the Eighth Consciousness, 阿賴耶識), the seed (bīja, 種子), dependent arising (pratītyasamutpāda)
피인용 횟수 ; KCI5회
참고문헌(46)
* 2024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1. [기타자료] - / / 雜阿含 2권, 28(大正藏 2권)
2. [기타자료] - / / 阿毘達磨俱舍論 16권(大正藏 29권)
3. [기타자료] - / / 大毘婆沙論 145권(大正藏 27권)
4. [기타자료] - / / 攝大乘論本 상권(大正藏 31권)
5. [기타자료] - / / 攝大乘論釋(大正藏 31권)
6. [기타자료] - / / 解深密經 1권(大正藏 16권)
7. [기타자료] - / / 成唯識論(大正藏 31권)
8. [기타자료] - / / 成唯識論述記 1권(大正 藏 43권)
9. [기타자료] - / / 成唯識論掌中樞要 상권(大正藏 43권)
10. [단행본] - 김동화 / 2001 / 유식철학 / 뇌허불교학술원
11. [단행본] - 김묘주 / 1997 / 유식사상(唯識思想) / 경서원
12. [학위논문] - 金明實 / 1993 / 唯識學의 心識構造에서 본 兒童 性格心理의 논리적 고찰 : S.Freud와 C.G.Jung의 性格理論과 관련하여 / 박사 / 東國大學校 大學院
13. [단행본] - 김묘주 / 1998 / 대학원연구논문집 / 동국대학교 대학원
14. [학술지(정기간행물)] - 김종욱 / 2003 / 이원성과 비이원성의 구조에서 본 자아의 문제 / 오늘의 동양사상 (8)
15. [학술지(정기간행물)] - 김진 / 1999 / 무아설과 윤회설의 문제 / 철학논총 (19)
16. [단행본] - 김진 / 2000 / 칸트와 불교 / 철학과 현실사
17. [학술지(정기간행물)] - 김진 / 2001 / 칸트주의적 불교해석의 의미 지평 / 철학비평 (6)
18. [학술지(정기간행물)] - 김진 / 2005 / 한국불교의 무아윤회 논쟁 / 철학 (83) : 35~59
19. [학술지(정기간행물)] - 안성두 / 2002 / 『瑜伽師地論』의 緣起說: 識支를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5)
20. [학술지(정기간행물)] - 안성두 / 2004 / ‘唯識性’(vijñaptimātratā) 개념의 유래에 대한 최근의 논의의 검토 / 佛敎硏究 20
21. [학술지(정기간행물)] - 안성두 / 2011 / 원측의 『해심밀경소』에 나타난 알라야식의 해석과 그 특색 / 불교연구 35 (35) : 43~78
22. [학위논문] - 吳亨根 / 1987 / 初期 唯識思想의 淵遠과 阿賴耶識成立에 대한 연구-心意識思想과 八識成立을 중심으로- / 박사 / 동국대학교
23. [단행본] - 오형근 / 1992 / 唯識學入門 / 불광출판부
24. [단행본] - 윤호진 / 1996 / 無我⋅輪廻문제의 硏究 / 민족사
25. [학술지(정기간행물)] - 이덕진 / 2003 / 무아와 윤회 논쟁에 대해서 / 오늘의 동양사상 (8)
26. [학술지(정기간행물)] - 조성택 / 2003 / 불교에 있어 이론과 실천수행: 초기불교의 무아설을 중심으로 / 오늘의 동양사상 (8)
27. [단행본] - 조수동 / 1998 / 무아와 연기 / 문창사
28. [단행본] - 정승석 / 1981 / 佛典解說事典 / 민족사
29. [단행본] - 정승석 / 1999 / 윤회의 자아와 무아 / 장경각
30. [단행본] - 정세근 / 2008 / 윤회와 반윤회 / 도서출판 개신
31. [학술지(정기간행물)] - 최인숙 / 2003 / 무아-윤회 양립설에 대한 해석 / 오늘의 동양사상 (8)
32. [단행본] - 한자경 / 2000 / 유식무경 / 예문서원
33. [학술지(정기간행물)] - 한자경 / 2001 / 불교의 자아관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의 한계 / 오늘의 동양사상 (4)
34. [학술지(정기간행물)] - 한자경 / 2002 / 무아와 윤회 그리고 해탈: 김진 교수의 반론에 답하며 / 오늘의 동양사상 (7)
35. [단행본] - 한자경 / 2006 / 불교의 무아론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36. [학위논문] - 황순일 / 1994 / 경량부(輕量部) 세친(世親)의 Ȁlayavijñāna 연구 / 박사 / 동국대학교
37. [단행본] - 橫山紘一 / 1997 / 唯識哲學 / 경서원
38. [단행본] - 竹村牧男 / 1989 / 유식의 구조 / 민족사
39. [단행본] - 中村元 / 1981 / 原始佛敎の思想 / 春秋社
40. [단행본] - C. Rhys Davis / 1978 / The Birth of Indian Psychology and its Development in Buddhism / Oriental Books Reprint Corp
41. [보고서] - Etienne Lamotte / 1988 / History of Indian Buddhism
42. [단행본] - Lambert Schmithausen / 1987 / Āayavijñāna /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43. [단행본] - Sir M. Monicer Williams / 1979 / SANSKRIT-ENGLISH DICTIONARY
44. [학술지(정기간행물)] - Richard King / 1998 / Vijnaptimatrata and the Abhidharma context of early Yogacara / Asian Philosophy 8 (1)
45. [기타자료] - Robert Kritzer / 1999 / Rebirth and Causation in the Yogācāra Abhidharma; Wiener Studien zur Tibetologie und Buddhismuskunde Heft 44 / Arbeitskreis für Tibetische und Buddhisticsche Studien Univerität Wien
46. [단행본] - Walpola Sri rahula / 1972 / What the Buddha Thaught / Gordon Fraser London and Bedf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