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 語花 : 趙好淑
1.天地玄黃(천지현황)
천지가 문을 열어 나 여기 태어났다
지축이 흔들리니 세상이 놀랐었고
현재도 임의 은총 한없이 받고 있어
황금빛 햇살 아래 황홀을 만끽하네
20101102작.(천자행시방)에서
2.宇宙洪荒(우주홍황)
우산을 받쳐주던 그 사람 어디 가고
주야로 외로움에 나 홀로 떨게 하나
홍시도 따 받치며 공주로 모시더니
황량한 가슴 속은 스산한 가을바람
3.日月盈昃(일월영측)
일심을 다 하여서 천자문 행시 짓자
월나라 왕, 구천도 응원을 해주겠지
영원히 중단없는 전진은 아름다워
측량치 못할 시심 광활한 우주 같네
4.辰宿列張(진숙렬장)
진실로 아름다운 사람이 모인 곳은
숙련된 시인 묵객 영혼이 불타는 곳
열 번을 생각해도 변할 수 없음이여
장소는 한행문학 한삼동 아니런가!
20101103작.(천자행시방)에서
5.寒來署往(한래서왕)
한기가 느껴지니 겨울이 왔나 보다
내일은 따스하면 얼마나 좋을까만
서산의 지는 노을 내일도 춥다 하니
왕이면 이런 걱정 않아서 좋으련만
6.秋收冬藏(추수동장)
추악한 악마들이 세상에 득실득실
수확한 가을걷이 번번이 털어가고
동그란 농심 속엔 앙금만 쌓여가니
장미꽃 피던 계절 유월은 멀었는가?
7.閏餘成歲(윤여성세)
윤기가 흐르도록 피부가 탱탱하면
여자는 기분 좋아 활력이 넘치지요
성비를 불문하고 요즘은 남자들도
세상의 변화 속에 유유히 흘러가죠
8.律呂調陽(률려조양)
율법은 지키라고 있으니 지켜야지
여생을 보람차게 황혼이 아름답게
조그만 일이라도 가벼이 보지 말고
양심을 해 아래에 내놔도 떳떳하게
9.雲騰致雨(운등치우)
운전이 하고 싶어 면허증 취득했지
등하교 아이들을 태우는 꿈을 꾸며
치약을 하나 사도 차 타고 갈 희망은
우리 집 장롱에서 십수 년 잠만 자네
10.露結爲霜(로결위상)
로즈메리 향기나는 우리 집은 행복한 곳
결혼해서 아이 낳고 사랑으로 가꿔가니
위하는 맘 절로 나고 웃음꽃이 피어나며
상부상조 하는 마음 아름다운 보금자리
11.金生麗水(금생려수)
금수강산 선물 주신 우리 주님 감사해요
생각하면 눈물 나서 주체할 수 없습니다
려린 가슴 부여잡고 두 손 모아 기도하며
수금 비파 동원해서 감사찬양 올립니다.
12.玉出崑岡(옥출곤강)
옥동자 낳았더니 집안의 웃음소리
출타한 낭군님도 걸음이 늦을세라
곤드레 나물 밥상 차려 논 색시 보랴
강 건너 불구경도 미루고 오시었네.
13.劍號巨闕(검호거궐)
검도를 가르쳐서 호신을 할 수 있고
호탕한 웃음으로 배려도 잘하도록
거창한 말보다는 행하는 사람으로
궐기를 할 수 있는 아들로 키워야지
14.珠稱夜光(주칭야광)
주옥같이 예쁜 아가 우리 아가 방글방글
칭얼대도 귀여우니 고슴도치 사랑인가
야한 밤에 만든 작품 사랑으로 맺은 결실
광주리에 열매 따듯 주렁주렁 낳아볼까
20101104작(천자행시방)에서
15.果珍李柰(과진리내)
과일 향이 진동하여 이리저리 살펴보니
진선미도 울고 가는 대학생인 큰 딸아이
리듬 맞춰 춤 잘 추는 여중생인 작은 아이
내 안에서 나오더니 어느 사이 어엿하네.
16. 菜重芥薑(채중개강)
채워지지 않을 때는 당신 품을 파고들죠
중요한 곳 말 안 해도 뿌듯하게 채우시니
개봉하여 열린 마음 내 우주가 춤을 추고
강물같이 흘러 흘러 환희 천을 넘나들죠.
17.海鹹河淡(해함하담)
해박하신 벗님네와 옹기종기 모여들어
함초롬한 꽃밭 있는 시골마당 둘러앉아
하늘 아래 둘도 없는 두터운 정 쌓아가며
담소하는 즐거움을 신선들은 아시려나.
18.鱗潛羽翔(린잠우상)
린스보다 헤어 팩이 머릿결에 좋습니다
잠 푹 자면 피부미인 아주 쉽게 된답니다
우는 아이 달랠 때는 마른 감이 최곱니다
상서로운 생각 하면 모든 일이 잘 됩니다.
19.龍師火帝(룡사화제)
용상에 앉아 봐야 태어난 보람인데
사랑에 울고 웃다 허비한 뒤안길엔
화장한 겉모습에 감춰진 초라함이
제2의 이모작은 튼실한 씨 뿌리리
20101105작(천자행시방)에서
20.鳥官人皇(조관인황)
조용한 암자에서 들리는 저 종소리
관용을 베풀라는 은은한 가락이리
인간사 새옹지마 아옹다옹 허무하니
황금도 내 죽은 뒤 소용이 없음이라.
21. 始制文字(시제문자)
시들은 꽃잎들이 얼어서 또 죽었네
제1.2위 다투더니 볼품이 없어졌네
문인들 시제거리 생겨서 좋겠지만
자태의 초라함에 혼백도 부끄러워.
20101105작(한자행시방)에서
22. 乃服衣裳(내복의상)
내 안에 너 있으니 외롭지 않아 좋다
복 있어 금상첨화 비단에 꽃 얹으니
의식주 해결되고 바랄 게 무엇인가
상전을 모시듯이 깍듯함도 갖추었고.
23. 推位讓國(추위양국)
추위가 찾아 오니 김장이 걱정이라
위로는 시아버님 그리고 시어머니
양귀비 며느리 집 김장을 해 주시네
국 끓여 편육 썰어 점심은 며느리 몫.
24.有虞陶唐(유우도당)
유유자적 걸어가니 금수강산 들어오고
우리 집의 삽사리도 꼬리 치며 딸랑딸랑
도원경을 거닐듯이 마음속은 환희로 차
당신하고 누려가는 이 세상은 아름다워
25.弔民伐罪(조민벌죄)
조호숙 그 이름은 어화의 본명이라
민수기 창세기를 섭렵한 사람이지
벌 받을 이 죄인을 보혈로 씻어주신
죄인도 아니면서 피 흘린 주님이여!
26.周發殷湯(주발은탕)
주야로 추워지니 겨울이 아니런가
발밑의 운동화는 돈 달라 보채는데
은수저 내어 놀까 놋그릇 팔아볼까
탕진한 살림살이 건질게. 하나 없네
27.坐朝問道(좌조문도)
좌불안석 하지 말고 마음잡고 앉으세요
조석으로 웃음꽃이 피어나는 한삼동에
문인들이 넘나드는 문지방이 닳는 소리
도량 넓은 시인들이 인산인해 이루는 곳.
20101106작(한자행시방)에서
28.垂拱平章(수공평장)
수려하고 어여뻐서 춤을 추니 더 빛난다
공주 닮은 인품으로 지덕체도 갖추어서
평강공주 기개 닮아 남편 성공 시키면서
장미처럼 피어올라 온 산하를 불태워라.
29.愛育黎首(애육려수)
애간장 녹이시는 당신은 누구세요
육감은 불붙어서 타들어 재가돼도
여인의 진심일랑 이리도 몰라주니
수려한 꽃방석을 이제는 거두리다.
30.臣伏戎羌(신복융강)
신께서 주관하는 세상은 아름다워
복 주고 복 주시니 얼마나 감사한가
융합을 이루어서 찬양을 올립시다
강물과 같은평화 당신께 임하리니.
31.遐邇壹體(하이일체)
등단식 참석
하이힐을 신고갈까 운동화를 신고갈까
이 가슴은 두근두근 서울 가는 맘뿐이네
일요일은 정기휴일 토요일은 임시휴일
체감온도 낮아져도 이날만은 꼭 가리라
20101108작.(한자행시방)에서.
32.率賓歸王(솔빈귀왕)
솔 향기가 솔솔 나는 송편 맛을 보고 싶네
빈부격차 너무 나니 떡 맛 조차 잃어 가고
귀한 손님 오셔야만 맛을 보니 야속해라
왕이시여 돌보소서 당신 백성 궁핍하니
20101108작.(한자행시방)에서.
33.鳴鳳在樹(명봉재수)
20개월 된 막둥이에게
명철보신 잘하여서 무탈하게 살아주길
봉황새가 네게 앉아 평생토록 지켜주길
재물 볼 땐 돌과 같이 청렴결백 살아주길
수려강산 태어난 걸 복이라고 생각하며
20101108작.(한자행시방)에서
34. 白駒食場(백구식장)
백사장의 모래알이 몇 개인지 세어볼까
구중궁궐 들어앉아 남자 하나 바라보니
식상하고 지루하고 질투 나서 못살겠네
장미꽃이 어여뻐도 오뉴월만 한창이니
20101108작.(한자행시방)에서
35. 化被草木(화피초목)
화초들도 관심 주면 감화되어 예뻐지니
피아노를 연주하여 사랑 실어 들려주면
초목들이 신이 나서 한들한들 춤을 추고
목전에서 교류하는 우리 모두 즐거워라
20101108작.(한자행시방)에서
36.賴及萬方(뢰급만방)
뇌성대명 아니라도 글쓰기를 좋아하니
급히 성장 아니해도 조급한 것 하나 없고
만화방창 호시절도 유수같이 흘렀지만
방방곡곡 단풍잎이 반겨주니 좋은 시절
20101108작.(한자행시방)에서
*뇌성대명[雷聲大名]: 세상에 널리 드러나 알려진 이름.
*만화방창[萬化方暢]: 따뜻한 봄날에 온갖 생물이 나서 자라 흐드러짐.
37.蓋此身髮(개차신발)
개화했던 꽃잎들이 입술 닫아 오므리고
차가워진 날씨 속에 바들바들 떨고 있어
신발 낡아 발이 시린 내 신세를 닮았구나
발싸개는 있다지만 푸른 입술 어이할꼬
20101108작.(한자행시방)에서
38. 四大五常(사대오상)
사랑하여 만났으니 한평생을 배려하며
대소사도 함께하며 오순도순 살아가요
오늘같이 추운 날은 군고구마 호호 불며
상다리는 가벼워도 마음만은 따스하게
20101108작.(한자행시방)에서
39.恭惟鞠養(공유국양)
공사다망 하더라도 등단식에 오시어요
유수같이 가는 세월 잡는다고 아니 갈까
국수라도 나누면서 유유자적 즐겨봐요
양고기도 나올는지 혹시라도 모르리니
20101108작.(한자행시방)에서
40.豈敢毁傷(기감훼상)
기약없이 가지마오 외로워서 못산다오
감정기복 심해지고 하루하루 피폐해져
훼손되는 몸과맘은 말할수가 없음이니
상황봐서 웬만하면 발길멈춰 주시어요
20101108작.(한자행시방)에서
41. 女慕貞烈(녀모정렬)
여자로 태어나서 정말로 행복하네
모두가 남자라면 얼마나 삭막할까
정숙한 여자로서 듬직한 남자 만나
열심히 살아가니 세상은 무지갯빛
20101110작.(한자행시방)에서
42. 男效才良(남효재량)
남자가 있으므로 얼마나 황홀한지
효부가 되기보단 현처가 더 좋아라
재덕을 겸비하신 내 낭군 이리 오오
양보다 질을 높힌 요리를 대접하리
43. 知過必改(지과필개)
지난날을 돌아보니 아득하고 아득하다
과일 깍아 먹여주던 어머니도 떠나시고
필수과목 잘하라던 아버지도 먼 나라에
개화했다 지는 것이 순리지만 서글퍼라.
44. 得能莫忘(득능막망)
득남하니 기분 좋아 또 새로운 기분이네
능수능란 순산하니 두 딸 아이 덕분이네
막 오르고 진통 오니 으앙 하는 천둥소리
망막하던 우리 집의 임이 주신 축복이네.
45.罔談彼短(망담피단)
망연자실 하지 말고 기운 내서 살아가자
담소하는 즐거움을 이웃에도 나눠주고
피안으로 가는 열차 칙칙폭폭 올라타고
단아하고 아름답게 내면세계 가꾸면서
46. 靡恃己長(미시기장)
미워하는 마음일랑 바람결에 날리우자
시기하는 그 마음은 내 안에서 곪는다네
기분 좋게 용서하면 우리 모두 건강하니
장미 같은 열정으로 아름답게 사랑하자.
20101111작.(한자행시방)에서
47. 信使可覆(신사가복)
신사 숙녀 여러분을 등단식에 초대해요
사랑하는 마음으로 잔칫상을 차려놓고
가슴으로 풀어내는 문인들의 詩의 향연
복주머니 그득하게 넘치도록 드리리니
48.器欲難量(기욕난량)
기분 좋은 웃음으로 일평생을 살아가요
욕된 일은 멀리하고 도덕경을 읽으면서
난초향기 머금은 듯 향기로움 전하면서
양초처럼 불태워서 희생하는 정신으로.
49.墨悲絲染(묵비사염)
묵향으로 전해지는 임의 향기 그윽하여
비몽사몽 눈을 뜨니 황홀경이 따로 없네
사랑이란 이런 걸까 이심전심 녹아드니
염주 알을 굴리듯이 평화 가득 밀려오네.
50.詩讚羔羊(시찬고양)
시시때때로 그리움은 눈시울을 적시는데
찬양하며 나아가니 우울함이 없어지고
고마우신 우리 주님 놀라우신 능력이니
양 떼들을 풀어놓은 푸른 초장 싱그럽네.
51. 景行維賢(경행유현)
경거망동 하지 않고 침착하게 행동하면
행복한 삶 영위되니 지혜로운 삶 아닌가
유연할 땐 물과 같아 그릇마다 다 담겨서
현명하게 대처하여 복된 삶을 살아가자.
20101115작.(천자행시방)에서
52.克念作聖(극염작성)
극심하게 가난해도 생명의 떡 내게 있어
염장에다 절인 음식 하나라도 행복하네
작심하고 기도하면 모든 소망 이뤄지고
성인군자 닮아가니 도원경이 따로 없네.
53.德建名立(덕건명립)
덕행으로 일관하면 세상 사람 우러르고
건강하여 무병장수 일평생이 무탈하고
명상하여 심기일전 이 세상이 평화롭고
립스틱을 멀리해도 건강 피부 발그레해
54.形端表正(형단표정)
형제자매 화합하면 부모님이 보기 좋고
단란하고 멋진 가정 자녀들의 본보기니
표정 밝은 웃음소리 담 너머로 울려 퍼져
정의로운 사회구현 가정에서 시작되지.
55.空谷傳聲(공곡전성)
공주라고 정한 애칭 우아하게 살고 싶어
곡예사는 되기 싫어 모델 삼아 정했었지
전성기를 맞이하여 타는 시심 불태우며
성황 이룬 한행문학 주춧돌로 우뚝 서리
56.虛堂習聽(허당습청)
허허로운 가슴에다 시심 가득 불어넣어
당신하고 만든 추억 차곡차곡 쌓다 보면
습한 기운 달아나고 맑은 공기 들어오죠
청아하게 들려오는 새 소리도 경쾌하고
20101116작.(천자행시방)에서
57. 禍因惡積(화인악적)
화가나면 잠시 숨을 고르면서 평상심을
인내하여 복을 지어 대대손손 평안하게
악한 사람 용서하고 약한 사람 보살피어
적대감이 없는 인생 황혼녘에 아름답게
58.福緣善慶(복연선경)
복스러운 얼굴에는 미소 가득 담겨 있고
연두빛깔 잎새처럼 싱그러움 넘쳐나지
선한 일을 많이 하면 나도 몰래 행복해져
경이로움 만끽하니 온 세상이 내 것이지
59.尺璧非寶(척벽비보)
척신으로 살아오다 내 사랑을 만났으니
벽으로만 둘러싸인 온 세상이 문을 열고
비수 꽂던 사람들도 내려놓고 회개하니
보배로다 보배로다 내 사랑이 보배로다
60. 寸陰是競(촌음시경)
촌색시로 살고싶어 월남치마 둘러 입고
음악 듣고 글을 쓰며 내 사랑과 알콩달콩
시간나면 텃밭에다 배추 심고 오이 심고
경작하며 흙냄새와 더불어서 신성하게
61.資父事君(자부사군)
자식도리 다하여서 사람답게 살아가자
부모형제 몰라보면 금수만도 못하나니
사랑하는 마음으로 지극정성 다하여서
군주님도 보필하여 우리나라 부강하게
20101116작(천자행시방)에서
62.曰嚴與敬(왈엄여경)
왈각왈각 대지않고 임금님을 모셔야지
엄숙하고 고요하게 존경심을 나타내며
여염집의 필부아닌 곤전마마 아니던가
경이로운 구중궁궐 교태전을 지키면서
63.孝當竭力(효당갈력)
효부없는 효자없듯 며느리가 잘해야지
당신하고 산다는 건 부모님의 은덕이고
갈팡질팡 하다가도 버팀목이 돼주시니
역하고도 냄새나는 세상살이 힘이 되네
64.忠則盡命(충즉진명)
충직으로 몸을던져 임금님을 보필하고
즉시 처리 잘하여서 명신 소리 들어보자
진심으로 우러나는 충성스런 마음으로
명군 아래 명신으로 우리나라 살려내자
65.臨深履薄(림심리박)
임이시여 조심조심 꽃나무를 조심하오
심기일전 하시어서 조강지처 사랑하고
이심전심 정성다해 한세상을 살고지고
박색하다 원망하나 마음결은 비단이니
66 夙興溫情(숙흥온청)
숙경처럼 화사하고 맑은 자리 펴 드리고
흥을 돋아 기쁘시게 정성으로 공경하면
온정 가득 뿌듯함이 묻어나는 건강한 집
청소년기 자녀들의 인성교육 절로되네
67. 似蘭斯馨(사란사형)
사군자를 치다보니 날아앉은 나비하나
난초향에 끌려왔나 매화향에 취해왔나
사립문을 내다보니 떼를지어 날아들어
형형색색 아름다워 붓을잠시 내려놓고
68. 如松之盛(여송지성)
여자라는 이름으로 반구비를 날아오다
송연할때 많았지만 뭉게구름 도움으로
지혜로운 눈을밝혀 세상구경 잘했노라
성화당엘 지나갈땐 오싹오싹 하였지만
69.川流不息(천류불식)
천상에서 하강하신 선녀닮은 여인인가
유유자적 흐르더니 군자닮은 기강일세
불철주야 독서하며 삼매경에 빠지더니
식자우환 이라하니 이율배반 아니런가
70. 淵澄取映(연징취영)
연화등에 불밝히고 무슨소원 비시나요
징개징개 우리아가 무병장수 비나이다
취객으로 이리저리 갈팡잘팡 하지말고
영민하고 군자닮아 중용의덕 지키면서
20101117작(천자행시방)에서
71. 容止若思(용지약사)
용맹하여 좋다지만 경거망동 하지말고
지혜롭고 신중하여 후회없는 인생살자
약소해도 마음담아 정나누며 살아가면
사모하는 발길이어 인산인해 이루리라
20101117작(천자행시방)에서
72. 言辭安定(언사안정)
언쟁하듯 말을하면 그인격이 드러나니
사모하듯 부드럽게 품위있고 인자하면
안정되어 평안하여 우리모두 즐거우니
정도가고 인기많아 주변사람 모여드네
73. 篤初誠美(독초성미)
독수공방 타는 간장 아시는지 모르는지
초로인생 홀로 가니 외롭고도 고단도다
성인군자 아니라도 필부라도 좋사오니
미색 좋고 맘씨 좋은 과수댁을 건져주오
74. 愼終宜令(신종의령)
신실하게 임하여서 믿음 가는 사람 되자
종신토록 초지일관 일편단심 민들레면
의롭다고 존경받아 평양 감사 따논 당상
영원토록 세인들의 부러움을 받고 살지
75. 榮業所基(영업소기)
영업소가 잘 되려면 친절 미소 필수조건
업주들은 직원교육 철두철미 관리해서
소소하다 생각 말고 불미한 일 미연 방지
기쁨으로 고객 발길 사로잡아 성공하자
76. 籍甚無竟(적심무경)
적재적소 배치해서 나라 이름 떨쳐보자
심심산골 사람들도 인재보고 가려 뽑아
무아경을 거닐도록 국민들을 섬기면서
경치 좋고 인심 좋은 우리강산 이어가자
20101117작(천자행시방)에서
77.學優登仕(학우등사)
학벌 좋고 신실하면 출세하는 지름길이
우연하게 열리노니 학창시절 쉬임없이
등용의 문 바라보며 갈고 닦아 동량 되라
사랑으로 충만하면 금상첨화 아니겠나
78.攝職從政(섭직종정)
섭섭하게 하는 것은 적대감을 사게 되니
직계가족 보듬으며 이웃사랑 나라 사랑
종신토록 염려 없이 두 다리를 뻗고 자자
정갈하고 현숙하여 지혜로운 삶을 살며
79. 存以甘棠(존이감당)
존중하는 마음으로 사람들을 대한다면
이질 없이 다가와서 덕망 있다 존경하고
감나무에 열린 감도 아낌없이 나눠주면
당신 좋아 부르짖어 사랑방이 따로 없네
80. 去而益泳(거이익영)
거짓말은 하지 마오 진실 없는 사랑이란
이리 가도 고생이오 저리 가도 삭막하니
익히 알 듯 나는 나는 진실만을 좋아하오
영혼 없이 섞인 육체 고깃덩이 불과하니.
※ 제가 그동안 주로 "행시"를 써 왔는데
제가 활동하고 있는 "한국행시문학"에
"天字文행시방"라는 게시판이 있는데
그 곳에 "天字文", 마지막 부분인, "언재호야"까지
다 써 놓았는데,
"천지현황"부터 "거이익영"까지
320字로 쓴, "행시"만 여기에 올려 보았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신 시인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