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장十四章
(도道) 그것은 살펴보더라도 (또렷하게) 살펴볼 수 없는데, (따라서 나는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러 “희希”라고 한다. (도道) 그것은 들어보더라도 (뚜렷하게) 들어볼 수 없는데, (따라서 나는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러 “이夷”라고 한다. (도道) 그것을 붙잡아보더라도 (또렷하게 붙잡는 바를) 얻을 수 없는데, (따라서 나는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러 “미微”라고 한다. 이른바, (도道, 그것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 自然)로서, (본래 저절로 그러한) 색깔, 소리, 모양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이자, (도道) 그것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색깔, 소리, 모양이) 늘 그러한 바가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린 바이다. 따라서 (노자는 도道를 일부러 일삼아 희希, 이夷, 미微, 이) 세 가지로 (이름 지어) 불렀다. (따라서 희希, 이夷, 미微) 이 세 가지는 (도道라는 것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로서, 그 색깔, 소리, 모양을 또렷하게) 따질 수 없는 바(라는 뜻)이자, (도道라는 것은 그 색깔, 소리, 모양을 일부러 일삼아 뚜렷하게 이름 지어 부른 바로서, 본래 저절로 그러한 도道에게 있어서, 일부러 일삼은) 군더더기(와 같다는 뜻)이다. (따라서 희希, 이夷, 미微, 이 세 가지는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린 이름이) 따르고 이어진 바로서, 이른바 (일부러 일삼은 바를 가지는 바有爲가) 있는 바이다. (따라서 희希, 이夷, 미微, 이 세 가지는 도道의 색깔, 소리, 모양)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또렷하게) 알리는 바이자, (도道의 색깔, 소리, 모양에 대해 뚜렷하게 알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이다. 이른바, (도道는 본래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진 바로서,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가) 오롯한 바가 일삼아진 바이다. (따라서 당唐나라시대) 이약李約은 일컬었다.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가) 오롯한 바(一; 道)는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有爲를) 펼치지 않는 바를 (위로) 높인다. (따라서) 어찌 하물며 이른바 (희希, 이夷, 미微, 이) 세 가지가 (유위有爲를 펼치는 바를 위로 높이는 바이겠는가)?” (따라서 도道) 그것은 (유위有爲에 대해) 밝지 않은 바를 위로 높인다. (따라서 유위有爲에 대해 밝은 바를 가지는 바가) 있지 않은 색깔, 소리, 모양이 이른바 앞이 되게 한다. (따라서 본래 무위無爲에 대해 밝은 색깔, 소리, 모양이 유위有爲에 대해 밝은 색깔, 소리, 모양으로) 나뉘거나 (유위有爲에 대해 밝은 색깔, 소리, 모양으로) 빛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道) 그것은 (무위無爲에 대해) 어두운 바를 아래로 낮춘다. (따라서 유위有爲를) 쫓거나 붙잡은 바가 있는 색깔, 소리, 모양이 이른바 뒤가 되게 한다. (따라서 유위有爲를 쫓거나 붙잡은 색깔, 소리, 모양이 본래 무위無爲를 쫓거나 붙잡은 색깔, 소리, 모양이 되는 바) 그것으로 돌아가게 하고, 그것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한다. 따라서 이른바 (유위有爲를 쫓거나 붙잡은 색깔, 소리, 모양이 무위無爲에 대해) 어둡지 않게 된다. (이른바, 본래 자연自然하고 무위無爲한 도道는 아주 먼 옛날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이어지는 바이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도道를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러서는 안 된다. (이른바, 본래 자연自然한 바와) 무위한 바(無; 無爲)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有; 道)는 (아주 먼 옛날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물려지는 바를 더불어 하고, 이어지는 바를 더불어 한다. (따라서) 어찌 처음과 끝을 가지는 바가 있겠는가? (따라서 세상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면, (세상 사람들은 본래) 무위한 바(無; 德·性)를 (일부러 일삼아) 잃어버리게 된다.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되면, (저절로 그러하게) 유위(有爲; 有)를 잃어버리게 된다. (이른바, 도道는 일부러 일삼아 걱정거리가 되는 바有爲와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이 자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물건이다. (도道) 이것은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걱정거리가 되는 바의) 모양을 가지는 바가 없는 (물건의) 모양이다.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이 자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물건의 모양이다. (도道) 이것은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걱정거리가 되는 바가) 어렴풋하고,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이) 어슴푸레한 바이다. (따라서 도道) 맞이해 보지만, 그 머리를 살필 수 없고, 그것을 따라가 보지만, (그 꼬리를) 살필 수 없다. (따라서 지금의 임금은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이어지는 아주 먼) 옛날의 도道를 붙잡음으로써, 지금의 (세상 사람들의) 유위(有爲; 有)를 막아야 한다. (아주 먼) 옛날이란 이른바 (지금의 세상의 아주 먼 옛날의) 시작점을 뜻한다.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이른바 유위有爲하다. (따라서) 이약李約은 일컬었다. “(지금의 임금은 세상 사람들의) 그 (유위有爲한) 마음을 텅 비워야 한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이어지는) 도道가 장차 저절로 그러하게 (지금의 세상 사람들에게) 다다르게 될 것이다. 따라서 뒤이어 (지금의 세상 사람들이 저절로 그러하게 도道) 그것을 붙잡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금의 (세상 사람들의) 유위有爲가 (저절로 그러하게) 막아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금의 임금은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이어지는 아주 먼) 옛날의 시작점(始; 道)을 알아차리기를 잘해야 한다. (이른바, 지금의 임금이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이어지는 아주 먼 옛날의 시작점을 알아차리는 것) 이것이 이른바 (지금의 임금이) 도道(를 붙잡음으로써, 세상 사람들의 유위有爲를 막는 바)의 실마리이다.
視之, 不見, 名曰希. 聽之, 不聞, 名曰夷. 搏之, 不得, 名曰微. 固自, 有色聲形, 之, 常名. 故曰三者. 此三者, 不可致, 贅. 繇後, 則有. 詔之, 則無. 故混而為一. 李約曰: 一尚不立, 何況於三? 其, 上不皦. 未有色聲形, 以前. 不可分晰. 其, 下不昧. 逮捕有色聲形, 以後. 反而溯之, 了然不昧. 繩繩兮, 不可名. 有無, 相禪, 相續. 何有初終? 名有, 則失無, 名無, 則失有. 復歸於無物. 是, 謂無狀之狀. 無物之象. 是, 謂惚恍. 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 執古之道以禦今之有. 古, 亦始也. 今, 亦有也. 李約曰: 虛其心. 道, 將自至. 然後執之. 以禦群有. 能知古始. 是, 謂道紀.
(이른바,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무위無爲에 대한) 틈새(間; 有爲)를 가지는 바가 있다. (그러나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자신들이) 그러한 틈새를 (가지는 바가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따라서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그러한 틈새) 그것과 (더불어) 어우러지게 된다. (따라서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무위無爲) 그것을 등지게 된다. 따라서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이른바 걱정거리가 되는 바(患; 有爲)를 (일부러) 일삼게 된다. (이른바) 도道는 (무위無爲에 대한) 틈새를 가지는 바가 없다. (그러나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아 그러한 틈새를 나눈다(分; 벌린다). 따라서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아 그러한 틈새) 그것을 붙잡게 된다. (따라서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아 그러한 틈새) 그것을 가르게 된다(別; 벌리게 된다). 따라서 도道는 이른바 (도道라는) 이름이 (일부러) 일삼아지게 된다.
物, 有間. 人, 不知其間. 故合之. 背之. 而物, 皆為患. 道, 無間. 人, 強分其間. 故執之, 別之. 而道, 僅為名.
(이른바, 무위無爲에 대한) 틈새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間; 無爲)로써, (무위無爲에 대한) 틈새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有間; 有爲)를 올라탄 채, 하루 내내 노닐게 되면, (일부러 일삼아) 걱정거리가 되는 바와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이 떠나가게 된다. (일부러 일삼아) 걱정거리가 되는 바와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이 떠나간 바, 이것이 (노자가 일컬은) “무물(無物; 일부러 일삼아 걱정거리가 되는 바와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이 자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물건)”이다.
以無間乘有間, 終日遊, 而患與名, 去. 患與名去, 斯, 「無物」矣.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걱정거리가 되는 바와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이 자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물건은 늘 그러하게 (무위無爲가) 가볍고, 늘 그러하게 (유위有爲가) 무겁다. 늘 그러하게 (유위有爲가) 빛나고, 늘 그러하게 (유위有爲의) 흙먼지가 솟아오른다. 늘 그러하게 (유위有爲가) 일어나고, 늘 그러하게 (무위無爲가) 멈춰진다. 이것이 이른바 (도道의) 실마리를 가지는 바가 없는 물건(의 모습)이다.
夫有物者, 或輕, 或重. 或光, 或塵. 或作, 或止. 是, 謂無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가) 오롯한 바(一; 道)가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린 채, 음陰의 기氣를 일삼게 되고,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가) 오롯한 바가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린 채, 양陽의 기氣를 일삼게 되면, (본래 유위有爲가) 텅 빈 (음陰·양陽의) 기氣가 (일부러 일삼아) 죽게 된다.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가) 오롯한 바가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린 채, 인仁을 일삼게 되고,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가) 오롯한 바가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린 채, 의義를 일삼게 되면, (본래 무위無爲가) 크게 어우러진 바(太和; 仁·義)가 (일부러 일삼아) 죽게 된다.
一, 名, 為陰, 一, 名, 為陽. 而冲氣, 死. 一, 名, 為仁, 一, 名, 為義, 而太和, 死.
도道라는 것은 생겨난 바이다. 이른바, 음陰의 기氣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을 때, 양陽의 기氣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을 때. 따라서 (음陰·양陽의 기氣가 일부러 일삼아) 죽(는 바를 더불어 하)게 된다.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가 오롯한 도道가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린 채, 음陰의 기氣를 일삼게 되고, 양陽의 기氣를 일삼게 되면) 따라서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가 오롯한 도道가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린 채, 인仁을 일삼게 되고, 의義를 일삼게 되면, 본래 무위無爲가 크게 어우러진) 인仁과 의義가 (일부러 일삼아 죽는 바를) 더불어 하게 된다!
道也者, 生. 於未陰未陽. 而死. 於仁義者, 與!
따라서 붉은색(朱; 본래 저절로 그러한 음陰·양陽·인仁·의義)을 떠나가게 되면, (본래 저절로 그러한) 검정색과 하얀색이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交; 道·德·無爲·性·命)를 살필 수 없게 된다. (유위有爲가) 드넓은 바를 스승으로 삼게 되면, (본래 저절로 그러한) 궁宮 음音과 상商 음音이 (더불어) 아우러지는 바(會; 道)를 살필 수 없게 된다. (무위無爲를) 꺼리는 바(忌; 有爲)를 기쁘게 여기게 되면, (유위有爲가) 텅 비고 (유위有爲의) 흙먼지가 내려앉은 바(隙; 道)를 붙잡을 수 없게 된다. (유위有爲의) 네 발 벌레를 신령스럽게 여기게 되면, 하늘과 땅으로 나누어지는 바(分; 道)에 대해 밝아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無爲·德·性·命·仁·義·陰·陽가) 늘 그러한 바에 이르지 못한 사람이 어찌 (도道) 이것을 더불어 하는 바를 충족하겠는가!
故離朱, 不能察黑白之交. 師曠, 不能審宮商之會. 慶忌, 不能攫空塵之隙. 神禹, 不能皙天地之分. 非至常者, 何足以與於斯!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