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띄어쓰기'
맞춤법
띠다 --미소, 사명 등
은지는 얼굴에 미소를 띠고 있었다.
그 젊은이는 조국 수호의 사명을 띠고 출정했다.
운전할 때는 반드시 안전띠를 띠어야 한다.
띄다 -- '뜨이다'의 준말. '뜨다'의 피동사
순심이의 옷 색깔이 유난히 눈에 띄었다(뜨이었다).
내 결점이 남의 눈에 띄어서는(뜨이어서는) 안 되지.
띄어쓰기
성과 이름, 성과 아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김기주(金基柱) 이퇴계(李退溪)
김 기주, 이 퇴계는 잘못임(성과 이름을 띄어 쓰는 것은 일본식 표기임)
정지용 형 이규보 선생 이희승 박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처음에는 성과 이름을 띄어 썼으나, 지금은 성과 이름 모두 같은 간격으로 띄어 쓴다.
박 현 아 ('박 현아'는 옛날식 표기)
* 평상시에 모호했던 의문점이 있으면 아래 답글 난을 통해
수시로 질문해 주십시오.
아는 범위 안에서 답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