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름 사이 사이에서 억새꽃과 바람이 숨바꼭질하는 제주의 숨은 비경 -성산십경 중 제 3경인 '수산야색水山野色'-
글/이승익(시인)
우리 고장을 찾아오는 관광객에게 물어보면 대다수가 대답하길 제주섬 특히, 성산읍 일대는 마치 외국에 와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고 한다. 적당한 간격을 두고 올망졸망 솟아오른 오름 무리와 광활하게 펼쳐진 억새밭과 정겨운 돌담 풍경,삼나무 혹은 소나무 무리가 군락을 이뤄 자연스러운 모습에서 이국적인 느낌을 가지는가 싶다.
차를 타고 수산 성읍 간 도로를 달리거나 수산 송당(대천동)간 도로를 달려보면 길 양옆에 펼쳐진 넓은 초지를 볼 수 있다.마치 미국땅 어느 넓은 초원을 달리는 기분이 이런 게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역사성으로 보나 경치로 보나 "성산십경"중 제 3경으로 '水山野色' 을 선정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수산야색水山野色'이라 일컫는 수산평 일대는 역사적으로 매우 귀중한 곳임과 동시에 체계적으로 개발을 한다면 그 어디에 내놔도 손색이 없는 곳이다.무분별한 개발보다는 일대에 산재한 동굴과 오름, 평야(초지)를 묶어 이야기(스토리텔링)를 전개하는 식의 문화적인 개발을 권장하고 싶다.
아울러 수산평을 배경으로 몽골역사(원나라)박물관 혹은 제주조랑말을 이용한 다양한 볼거리를 만들어 천 년 역사의 숨결을 일깨우는 장을 만들었으면 어떨까.이러한 일들은 수산마을 주민이 주체가 되여 추진 한다면 이룰 수 있다고 여긴다.
수산평에 대한 탐라지의 기록을 보면 고려 충렬왕 3년(1227년) 원나라에서 본도를 지배할 당시(1273-1368) 근 백 년 가까이 동서아막(東西阿幕)을 설치하여 다루가치로 하여금 몽고말 160필을 제주에서 감목하게 하였는데 동서아막을 首山(수산)평에 설치하여 목장과 병참 기지로 삼았다고 한다.
수산2리에서 금백조로 길을 따라 가다보면 갈가 왼쪽에 얕으막한 오름이 있다. 입구에서 오름정상 까지 150m로 높은 동산이라 불러도 될듯한 남거봉(낭끼오름)이란 오름이 자리 잡고 있다. 오름 정상에서 난산쪽을 바라보면 이기내오름(유건애오름)을 볼 수 있다. 이기내 오름과 낭끼오름 사이 드넓은 평야(목초지)가 수산평이다.
수산평 지경에 위치한 수산한못은 앞서 기록한 목장과 병참기지 시설 당시 마소에게 물을 먹이고 종사자(주민)들 식수로도 사용했던 유서 깊은 곳이다. 최근 까지도 수산마을에선 번(접) 형태로 소와 말을 길러 물을 먹인 곳이다. 못 동쪽엔 테우리 또는 주민들이 식수로 사용했던 물통도 있었다. 그동안 방치했던 이곳을 마을에서 복원하여 지나간 역사와 소통할 수 있게 하였다.
이렇듯 수산평은 고려 시대부터 목장으로 병참 기지로 이어져 오늘날 수산리에 유일하게 남은 게 수산초등학교가 있는 수산진이다. 수산진성은 세종21년(1439년) 목사 한승순이 처음 쌓았다고 한다.제주도내에 소재 한 진성 중에 원형 보존이 비교적 잘 돼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4.3사건을 거치며 성내에 산재한 병사와 객사 등은 소실된 것으로 전해진다.
일제강점기 시절 갯사터 자리엔 초등학교(소학교)가 들어서 초등교육장소로 전락하게 하여 조선정신의 맥을 차단하려는 일제에 의해 민족말살 정책의 일환이 아닐런지. 수산진성 병사兵舍와 객사客舍터도 수산초등학교가 자리 잡고(비록 해방 후 개교) 있다. 제주의 옛 관아지 객사 터도 예외는 아니다. 북초등하교, 성읍초등학교, 보성 초등학교가 있는 곳이 조선시대 객사 터 자리다. 그 당시 학교를 지을시 객사터 만큼 잘 가꿔진터가 없었다고 한다면 할 말은 없을 듯.
수산진성 내에는 성을 쌓을 때 부역을 대신해 죽은 아기의 넋을 기리는 '진안내할망당' 신당이 소재하고 있어 지금도 수산리와 인근 마을 부녀자들은 마음속 섬김의 대상으로 발걸음 하는 걸로 안다. 진안에 할망당이 자리한건 기막히게 슬픈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해온다. 수산진성을 쌓을때 자꾸만 무너져 내려서 축성하던 사람 들 중 하나가 스님께 물었더니 "열살 되는 어린 여자애를 공양해 성을 쌓으면 무너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했답니다. 그래서 열세살 쯤 되는 어린아이를 공양해 바치니 성이 무너지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그 후로 그 아이의 영혼을 달래기 위해 할망당을 진안에 세웠다고 한다.
수산마을은 오름 마을이다.한편으론 속칭 '대뜸'이라 일컫는 곳자왈이 길게 펼쳐져 있다.수산2리 마을은 곳자왈 마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오죽하면 수산2리 마을이름이 '고잡'일까.'곳앞,' 이를테면 곳자왈 앞이라는 뜻이 제주어가 변해 '고잡'이라 부른다.
제주 중산간 마을인 수산 1.2리 마을은 예로부터 인심이 후하고 향학열이 높아 인재도 많이 배출됐다. 요즘은 제주시를 기점으로 교통이 발달하여 주로 생산되는 지역 특산물인 무우.감자등 특용작물 재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감귤과 함께 마을 대표 작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천 년 역사를 간직한 수산평 초원 길, 그 길을 한 번쯤 달려보길 권해 본다. 성산읍 수산리 금백조로 446 일원에 조성된 제주자연생태공원 탐방을 권하고 싶다. 수산평 인근에 조성되어 야생동물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제주도에 야생하는 곤충,파충류를 비롯해 맹금류를 직접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초롱한 눈빛을 가진 노루와 먹이를 주며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어린이들 학습장으로 손색이 없다.
이처럼 천년 역사를 간직한 수산평(首山平)이 위치한 수산(水山)마을은 미래 천년을 위해 달려 나가고 있는 희망의 마을이다. 한때는 제주 중산간 지역이 다 그러하듯 척박한 땅과 함께 교통이 어려운 시절도 있었다. 허나 지금은 어떤가. 제주시를 기점으로 수산마을 교통 상황은 잘 발달된 도로망과 함께 그 어는곳 보다 나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근,현대사적으로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 마을이므로 주민이 모다들어 합심 한다면 제주에서 으뜸가는 마을이 되리라 확신하면서 글을 마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