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뱅이 화신으로 살아 온 외곬 50년, 이은관
50여 년간 이은관(李殷官, 1917년 11월 27일생) 옹이 찢어 버린 배뱅이 아버지 갓은 모두 3000여 개가 넘는다.
······ 이 갓을 들고 보니
이 갓은 우리 아버지 갓이 아니로구나(갈기갈기 갓을 찢고) ······
또다시 이 갓을 들고 보니
이것도 우리 아버지 갓이 아니로구나 ······
(이번엔 울상을 지으며 쫘악쫘악 갓을 찢어 버린다).
이렇듯 신명 나기에 따라 배뱅이굿 한 판(약 1시간)에 서너 개씩 찢어 온 세월. 언뜻 한 판에 찢는 갓을 세 개씩만 어림잡아도 지금까지 이옹이 불러온 배뱅이굿은 1000번이 넘는다. 그것도 한 가지 소리로만 1000번 이상. 이젠 그쯤하고 지칠 때도 됐으련만 앞으로도 1000개 이상은 더 찢고 싶다고 욕심을 낸다.
이옹의 연세를 알면 모두가 깜작 놀란다(이은관 옹은 2014년 3월 12일 향년 97세로 별세하셨다). "이은관 씨 나이가 벌써 그렇게 되었느냐.”고 되묻는다. 1950년대 라디오 시절부터 들어 온 높고 청아한 목소리만 기억할 뿐, 그를 좇아다닌 세월은 뒷전에 미뤄 놓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서도소리 기능 보유자(29호, 1984년)로 지정된 이씨는 물론 ‘관산융마(關山戎馬)’, ‘수심가(愁心歌)’, ‘난봉가타령’ 등 온갖 서도소리를 간드러지게 잘 부른다. 그러나 이씨가 배뱅이굿을 안 하고 ‘딴짓’을 하면 모여든 사람들은 예외없이 투덜댄다. 역시 배뱅이굿은 이은관 씨가 질러대야 제맛이 나고 이은관 하면 무조건 배뱅이굿이다. 이토록 이씨는 ‘이은관 = 배뱅이굿’이란 등식 속에 평생 동안 살아오고 있다.
지금은 오갈 수 없게 된 강원도 이천군 이천면 회산리 에서 태어난 이씨는 부친의 ‘산 높고 골 깊으니 여기가 청산마루로구나’라는 농요(農謠) 작대기 장단 속에 꿈 많은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일런가. 아무튼 이씨는 천부적인 목구성을 타고 났다. 안방에서 악을 쓰면 부엌 살강의 ‘놋대접이 움직일 정도’로 목통이 컸다며 단전고성(丹田高聲)을 자랑한다. 이천공립보통학교 졸업과 함께 이천읍으로 이사한 이씨는 한때 백수건달 노릇을 했다. "은관이 너는 목청 좋으니 소리나 해 보라.”는 친구들의 부추김에 이천 명월관, 화산관 등을 드나들며 ‘객쩍은 소리’하고 공술이나 얻어먹는 신세였다.
<배뱅이굿> 공연 중인 이은관(李殷官)명창. 배뱅이굿은 소리꾼이 장구 반주에 맞춰 배뱅이 이야기를 서도소리로 풀어내는 1인 창극이다. 탁발 나온 상좌중과 사랑에 빠진 정승의 딸 ‘배뱅이’가 상사병을 앓다 죽자 부모가 딸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팔도에서 무당을 불러 굿을 하고, 건달 청년이 거짓 무당 행세로 횡재를 한다는 한편의 잘 짜여진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아버지가 양자였던 탓에 할아버지 성화로 장가까지 일찍 가 놓았다(16세). ‘시골 건달’ 이씨는 우연찮게 황해도 건달 황덕열(黃德烈)을 만나면서 전연 뜻밖의 세계를 접하게 된다. 황해도 황주 권번 소리 선생인 이인수(李仁洙) 씨를 소개받은 것. 이씨의 그 때 나이 열 아홉이었다.
이렇게 해서 일생을 통해 울고 웃는 사이가 되어버린 배뱅이와의 첫인연이 맺어지게 된다. 이씨는 "얼굴도 모르는 최정승의 딸 배뱅이가 평생 나를 먹여 살리니 그저 고마울 따름.”이라며 천연덕스럽게 웃는다. 그렇다면 이은관 씨와 부부지간보다 더 자별해진 배뱅이는 도대체 누구인가.
한 옛날 서울에 김정승, 이정승, 최정승 셋이 있었는데 슬하에 자식이 없었다. 지성으로 명산대찰에 빌어 난 딸들이 세월네(이정승), 네월네(김정승), 배뱅이(최정승). 이들이 자라 세월네와 네월네는 시집 가 잘사는데 배뱅이는 시주 나온 상좌중과 사연(邪戀)에 빠진다. 몰래 정을 통한 상좌중이 훌쩍 떠나 버리자 배뱅이는 그를 못 잊어 상사병으로 죽고 만다.
한이 맺힌 최정승과 마누라는 죽은 딸의 넋이나마 만나 보겠다고 팔도의 유명 무당 모두를 불러 모은다. 이 때 평양의 가짜 박수무당이 이 동네 주막집에서 배뱅이집 내력을 미리 듣고 능청스런 넋두리와 울음으로 배뱅이 부모를 속여 많은 재물을 빼앗아 간다는 줄거리다. 어떻게 보면 딸 죽고 재산까지 날리는 분통 터지는 서민들의 한이 포개지지만 이은관 씨의 해학과 넉살좋은 재담으로 듣는 사람은 희비가 엇갈린다.
이은관 씨 스승인 이인수 선생은 구한말 평안남도 용강의 유명 소리꾼이었던 김관준(金寬俊) 씨의 수제자. 김관준은 이인수 외에도 최순애(獨順愛), 김칠성(金七星), 김주호(金周鎬), 김밀화주(金密花珠) 등의 소리꾼을 제자로 두었으며 배뱅이굿, 안중근가, 까투리타령 등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이렇게 배운 이은관 씨는 21세에 장연 권번 선생을 지내고 23세에는 ‘나도 한번 유명인이 되어 보자’고 무작정 상경한다. 황명선(黃明善, 건달 소리꾼) 씨 소개로 종로 권번에 가 배뱅이굿을 해대니 동기들은 평평 울어댔다. 이 때 최경식(崔景植) 씨를 만나 경기민요와 시조를 배워 두었다.
이 때부터 이씨는 바빠졌다. 국일관 놀음청에 나가 장안에서 유명했던 신해중월(申海中月), 백목단(白牧丹) 앞에서 소리를 선보였고 김봉업(어름광대) 씨 단체에 들어가 가설 무대에도 섰다. 박진(朴珍, 작고, 연출가) 씨 소개로 신불출(申不出, 민요 재담가) 씨를 만나서는 국민복 입고 다니며 해방될 때까지 전국 곳곳을 유랑 극단으로 누볐다. 그 당시 군수 월급이 45원일 때 엿새 공연 나가 60원을 받았다고 한다. 어딜가나 ‘이은관의 배뱅이굿’은 3~4창의 열광이 보통이었다.
해방 뒤엔 대한국악원 민요부에 속해 세월을 보내다 장소팔, 고춘자(高春子) 씨와 유랑 극단을 만들어 서민들과 울고 웃으며 그들의 친구가 되었다. 음반 취입, 영화 ‘배뱅이굿’ 주연, 라디오ㆍTV 출연 등으로 돈도 벌고 인기도 누릴 만큼 누려온 그다. 미국, 일본, 베트남 등 명성만큼이나 해외 공연을 많이 다녔고 KBS 국악대상(1982년), 보관문화훈장(1990년)도 탔지만 그의 남은 꿈은 ‘제2의 이은관’을 길러 내는 일이다.
20년 전부터 차린 민속예술학원(서울 종로구 장사동 130의 1 삼성빌딩 4층)을 통해 배출된 제자들이 꽤 많지만 현역에서 뛰는 소리꾼이 많지 않다며 밝은 표정만은 아니다. 쓸 만한 제자가 불러도 이씨만큼 알아 주지 않아 힘이 빠진다는 하소연을 자주 듣는다는 것.
박준영(朴準英ㆍ35, 민요 학원), 박경옥(朴京玉ㆍ32, 부천), 인정임(印貞姙ㆍ34, 서울), 김경열ㆍ김경선(33, 쌍둥이, 재일), 최병문(28, 회사원), 박기옥(33, 재일) 씨 등이 이씨 소리제를 이어갈 동량(棟梁)들이다.1남6녀를 두어 모두 출가시키고 노부부가 ‘괜찮은 말년’을 보낸다고 했다. 젊은 시절 백수 건달, 권번 선생 등의 생활을 거쳐 오면서도 ‘가정만은 성역으로 꼭 지켜 내야 된다’는 생각을 가져 온 것이 지금도 대견스럽다고 한다.
왼쪽부터 이혜솔, 전옥희, 김경배,이은관, 박성현.양진희, 뒷줄 왼쪽부터 이광수, 강웅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