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
오늘 나는 처음으로 국어 교과서로 수업을 했다. 지난번에 쓴 '우리 모둠을 소개합니다'를 발표했다. 국어 시간의 기본적인 규칙에 대해서도 배웠다. 첫쨰, 선생님, 혹은 발표하고 있는 누군가가 종을 치면 모두 조용히 하고 그 사람을 구호와 함께 바라봐야 한다.("집중의 박수를 짝짝짝! 밀어주자 OOO 짝짝짝!")
3/17
오늘은 비유와 상징에 대해서 배웠다.비유는 '표현하려는 대상'(원관념)을 '다른 대상'(보조 관념)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이고 네 가지 종류가 있다. 상징은 표현하려는 추상적인 대상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상징으로 원관념을 표현할 때는 원관념을 생략한다. 우리 모둠이 비유한 '내 마음은 주식 같다' 가 가장 잘한 것으로 뽑혀 기분이 좋았다.
3/21
'나는 지금 꽃이다'를 읽고 문제를 풀었다. 교과서에 있는 작품을 보고 교과서에 나오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초등학생일때는 배움공책을 맨날 썼는데 교과서를 많이 사용하니까 좋았다. 문제가 생각보다 어려워서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다.
3/22
오늘은 비유법에 대해서 배웠다. 비유법은 직유법, 은유법, 의인법, 활유법으로 나뉜다. 직유법은 비슷한 성질을 가진 두 대상을 '~같이', '~처럼', '~듯이' 와 같은 말로 결합하여 하나의 대상을 다른 대상에 직접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이다. 은유법은 대상을 은근히 비유하는 것이고 의인법은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표현하는 것이고 활유법은 무생물을 생물처럼 표현하는 방법이다. 선생님이 활유법과 의인법은 겹칠 수도 있다고 하셨다. 의태어와 의성어도 배웠는데 의태어는 '모슴'을 나타내고, 의성어는 '소리'를 나타낸다.
3/23
오늘은 윤동주 시인이 쓴 시인 "새로운 길"을 읽었다. 오늘도 문제 8개를 풀었다.문제의 답이 모둠마다 달라서 긴장됐지만, 다행히 답이 맞았다. 다른 모둠은 모두 다 4명인게 우리 모둠만 3명이라서 문제 풀기에 불리한 것 같다. 하지만 수가 적어서 의견 맞추기가 쉬워서 좋다.
3/24
오늘은 "새로운 길"을 분석하는 시간을 가졌다. 1연의 내, 고개는 일제의 탄압을 상징하고, 숲과 마을은 독립을 나타낸다.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도 새로운 길을 가겠다는 말은 매일을 상징한다. 민들레, 까치, 아가씨, 바람과 함께 간다는 것은 동식물과 사람, 자연 즉 모든 것과 함께 가겠다는 것이다. 다시 보니 내용이 많아서 신기했다. '수미상관'에 대해서도 배웠다. 수미상관은 머리 수, 꼬리 미로 처음에 나온 말이 마지막에 반복되고 강조, 운율형성, 구조적으로 안정감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시를 쓰는 것은 너무 어려운 것 같다.
4/5
오늘은 학습일기를 자신이 추구하는 삶 글쓰기로 대신했다.
4/6
오늘은 "시간은 어떻게 사람을 지배하게 됐을까?"를 읽었다. 갈래:수필(중수필)(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쓴 글) 성격:설명적, 예시적 제제:철도의 등장과 산업의 등장으로 통일된 시간에 얽매여 살아가는 사람들에 관한 안타까움 주제:기타의 등장과 산업의 발달이 인간의 삶에 미친 영향을 시간 순서대로 설명함.
4/18
오늘 나는 어휘의 세계를 마무리했다. 문제를 풀었는데 틀리지 않아서 다행이었다. 지역 방언이 사라지는 까닭은 교육이나 대중매체 등으로 표준어가 많이 보급되어서이고 전문어를 사용하는 까닭은 전문 분야에서 개념을 명확하게 가리켜야해서이다. 그리고 4컷 만화에서 두 딸이 생선을 사러 간다고 했는데 누가 들으면 딸이 요리하는 줄 알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5/10
오늘은 처음으로 소설 작품 <야, 춘기야!>를 감상했다. 갈래는 소설이고 소설은 기본으로 허구성이 있다고 선생님이 말씀하셨다. 소설의 3대 구성요소는 인물, 사건, 배경이고 배경은 시간적 배경과 공간적 배경으로 나뉜다. 예를 들어 해리 포터의 시간적 배경은 1990년대이고 공간적 배경은 호그와트(마법 세계)이다. 소설은 또한 갈등의 미학이라고도 불리낟. 배운 페이지에 쓰인 표현법 맞추기를 했는데 맞춰서 기분이 좋았다.
5/11
오늘은 '야, 춘기야!'를 중반까지 나갔다. 문제를 많이 풀었는데 생각지도 못한 문제들이 많이 있었다. 9번 문제는 생각을 많이 해야 했었다. 춘기가 똑똑한 것 같았다. 모법생인 척과 문제아인 척을 하는 이유를 새로 알 수 있었다. 사춘기가 오면 가족과 대화를 안 한다고 선생님이 말씀하셨는데 나는 잘 모르겠다.
5/12
이번에도 '야, 춘기야!'를 읽었다. 언제 끝나는지 모르겠다. '그것'을 '화장실 끝 칸' 에서 한다고 해서 의심했는데 역시나 아니고 그냥 염색이었다. 이 글의 시대적 배경은 학생이 염색을 한다는 것이 매우 큰 일이었다고 한다. 윤선이의 성격은 꼼꼼하고 용감하다. 머리 물들이기가 엄청난 행사인 이유가 학생이 하면 안 되는 행동이어서라는 답이 신기했다. 연호네 집 아래에 주인공이 산다고 해서 놀라웠다.
5/16
오늘은 문제를 20번까지 풀었다. 17번에서 엄마가 열심히 사는 이유가 교과서라고 딸을 위해서인 줄 알았는데 자기를 위해서 열심히 사는 거라 신기했다. 작품이 도대체 언제 끝나는지 궁금하다. 요즘에는 읽고 문제 풀기만 하고 배우는 게 별로 없어서 학습일기 쓰기가 힘들다.
5/17
오늘은 선생님의 썰을 듣느라 진도를 별로 안 나갔다. 그런데 대한 학교에서 자라고 어른이 되면 왠지 부모님을 원망할 것 같다. '야 춘기야'를 또 진도 나갔는데 엄마가 과거가 드러나자 발뻄하는 모습을 보고 특출난 거짓말쟁이인 듯 싶었다. 춘기는 빨리 어른이 되고 싶다지만 나는 시간이 아주 천천히 흐르면 좋겠다.
5/19
오늘은 드디어 야 춘기야를 끝까지 나갔다. 요약을 10문장으로 해서 맞추기를 했는데 어렵다. 시간이 없어서 세줄 밖에 쓰지 못했다. 다행히 나는 아직까지 한 번도 학습일기 발표를 한 적이 없다.
5/23
오늘은 '야, 춘기야!'로 학습 활동을 했다. 문제를 많이 맞춰서 기분이 좋았다. 요즘은 배우는 게 별로 없어서 쓸 게 별로 없다. 사과는 오랫동안 충분히 익어야 달고 맛있다는 할머니 말씀의 뜻은 몸만 자라는 것이 아니라, 떄로는 크고 작은 어려움을 느끼며 생가기 깊어지만 마음의 성장 시간도 필요하다는 뜻이다. 독후감을 사회뿐 만 아니라 국어에서도 써야한다니 힘이 빠진다.
6/13
새 조원 소개하기를 했다. 우리 조원은 엄주안, 신연호, 신주호, 나이다.
6/16
과거에 있었던 기억나는 일 일기를 썼다.
6/20
이번에는 글을 읽고 문제를 풀었다. 문제의 답이 다 틀렸다. 나도 왕자병, 머리 개마임, 절망감 느낌 등의 글쓴이의 마음 표현에서 절망감을 느꼈다. 경험을 담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경험 관찰, 솔직하게 표현하기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6/23
설명하는 글이나 주장하는 글은 글의 구조에 따라서 내용을 요약한다.
설명문:처음 - 중간 - 끝
논설문:주장 - 근거
이야기로 된 글은 줄거리를 간추려서 요약한다. 내 묘비에 쓸 글(만약 오늘 죽는다면:내 심장은 깃털보다 가벼우니 천국에 갈 수 있을 거야.
6/27
학습일기를 썼다가 선생님이 쓰지 말라고 하셔서 지웠다.
6/28
오늘도 국어 수업을 했다. 모바일 게임을 다룬 글을 읽고 요약해 보얐다. 모바일 게임은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다. 또 모바일 게임은 언데 어디서나 할 수 있다. 또 모바일 게임은 플레이어들끼리 모여서도 할 수 있고, 여러 흥미요소를 즐길 수 있다. 나도 모바일 게임을 하고 싶다.
6/29
오늘은 글의 문제를 풀어보았다.문제를 푸는데 많이 틀려서 기분이 좋지 않았다. 글의 특징이 길어서 쓰기가 힘들었다. 기말고사가 얼마 안 남아서 큰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중간고사를 망쳐서 기말고사는 최소 97점은 넘게 받아야 한다.
6/30
오늘은 시간이 없어서 마지막 남은 진도와 국어 형성평가를 동시에 받았다. 이번에는 시험을 다 맞춰야만 찬스로 점수 두 배를 맞을 수 있다고 해서 찬스를 쓰지 않았는데 다 맞춰버려서 아까웠다. 그래도 A를 받았다.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