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갈삼치 : Scomberomorus commerson (Lacépède)
► 외국명 : (영) Narrow-barred Spanish mackerel, (일) Yokosimasawara (ヨコシマサワラ)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2.4m, 체중 70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1.0~1.2m 정도이다. 몸은 가늘고 긴 방추형으로 옆구리에 약 50개의 가는 얼룩무늬 모양의 갈색 가로띠가 있다. 전신에 가느다란 작은 비늘이 덮여있다. 이빨의 양쪽 변두리에는 아주 작은 톱니(鋸齒, 거치)가 있다. 부레는 있는 것(한국, 일본)도 있고, 없는 것(호주산)도 있다. 옆줄은 제2등지느러미의 뒤쪽 밑에서 급히 구부러져 있고, 노성어(늙은 것)에 한하여 흔적뿐인 맥지(脈枝)가 옆줄 위에 나타나 있다. 새파는 매우 흔적적이다. 몸 등쪽은 청녹색을 띠며 배쪽은 은회색을 띤다.
크기는 최대 전장 23.4m 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1.2m 정도이다. 몸이 길고 체고가 낮은 방추형이며 측편되었다. 체고는 뒷지느러미 기점에서 가장 높다. 주둥이는 길고 뾰족하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돌출되었다. 위턱 뒤끝은 눈 뒤 가장자리 아래에 달한다. 등지느러미 극조부는 연조부보다 낮다. 등지느러미의 연조부와 뒷지느러미는 몸 가운데 부분에서 대칭으로 위치하고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깊이 패였다. 꼬리지느러미는 매우 크며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하엽과 상엽은 가늘고 뾰족하며 상엽과 하엽의 끝 사이 간격은 체고보다 높다. 측선은 뚜렷하고 긴 물결 모양을 나타내며 제2등지느러미 뒤 끝 아래에서 배쪽으로 급격하게 꺾인다. 제1등지느러미의 3분의 1 가운데 면적이 백색이며 나머지는 검정색이다. 등은 밝은 청색 내지 어두운 회색을 띠고 체측과 배쪽은 은청색이다. 몸통에 여러 개의 폭이 좁은 물결 모양의 암회색의 수직 띠가 있는데 어떤 때는 배쪽에서 점으로 끊어진 모양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줄 무늬는 성어는 40∼50개로 많고 젊은 개체들은 줄 수가 적으며 어릴 때는 20개 이내 밖에 안 되며 타원형의 큰 검은 점들이 있다. 두 배지느러미 사이의 피편돌기(Interpelvic process)는 작고 두 갈래로 갈라져있다. 부레가 없다. 비늘은 매우 작아서 몸에는 비늘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새파(gill raker)는 매우 흔적적이다.
► 설 명 : 서식 수심은 대개 10~70m 정도로 대륙붕 아래 가장자리에서부터 얕은 연안 수심까지 나타나며, 염도가 낮은 물이나 흐린 물에도 나타난다. 암초의 절벽지대와 경사가 완만한 암초지대, 라군 지대에도 나타난다. 대개 혼자 다니며 사냥하며, 소수 무리를 짓는 편이다. 해안을 따라 먼 거리 이동을 하지만 정해지 곳에서 정주하는 개체군도 있다. 주로 멸치 정어리 전갱이 같은 작은 물고기와 오징어, 새우류를 먹는다. 알과 부화된 새끼는 플랑크톤 생활을 한다. 수명은 22년 정도이다.
이 종은 서식 지역에 따라 산란 시기에 차이를 보이는데 피지 근해에서는 10~2월 (12~1월이 주 산란기), 동부아프리카에서는 10~7월, 마다가스칼에서는 12~2월, 대만에서는 봄에 산란이 일어난다. 산란철은 수온에 따라 길수도 있고 짧을 수도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해역에 따라 암컷 한 마리가 한 철에 2회 내지 6회 나누어서 여러 번 산란한다. 암초 경사면이나 암초 아래 쪽에서 산란하는데 특정 장소에 무리로 모여서 산란 행위를 한다. 알은 부유성란이다. 어획 시기도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대만 근해에서는 봄에, 태국 근해에서는 4~5월, 인도에서는 9~4월에 조업이 이루어진다. FAO의 통계에 의하면 이들 해역에서 연간 약 1만톤이 어획된다. 이용법은 삼치와 거의 동일하며, 육질은 백색이고 지방도 많아서 맛이 있고, 소금구이 등에 적합하다. 생선, 염장어, 냉동어, 훈제어, 통조림으로 판매되며, 어묵으로도 가공된다.
제철은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로 추정된다. 비늘은 약해서 벗기기 쉽다. 껍질은 등쪽은 두껍고 배쪽은 얇다. 뼈는 연하고 잔뼈(소골)는 없다. 살은 투명감이 있는 백색이지만 금방 하얗게 흐려진다. 살은 약간 섬유질로 뼈와 분리가 잘 된다. 제철에 잡은 개체의 생선회는 살에 기름기가 올라서 입안에서 녹는 느낌이 들며, 감칠맛도 풍부해서 맛이 매우 좋다. 생선초밥으로도 이용하며, 구이, 튀김, 조림, 국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말려서 이용하기도 한다.
► 분 포 : 한국(서해안, 남해안, 제주도), 일본(중부 이남), 대만, 중국,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호주,뉴질랜드, 인도, 홍해, 아라비아해, 아프리카 동부연안, 희망봉 등 주로 인도양~서부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 남아프리카에 분포하며, 대서양 남동부인 아프리카 서부 세인트헬레나 섬에서도 발견된다. 지중해에도 많이 분포하는데 이는 1930년대에 수에즈 운하를 통해 이입된 것이다.
► 비 고 : 본 종은 S. multiradiatus와 유사하지만 측선의 형태 (S. multiradiatus는 일직선 ) 새파수 (S. multiradiatus는 8+14)에서 잘 구분된다.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주에서 잡힌 개체 중에서 시쿠아테라와 유사한 지용성 독성(脂溶性毒性; lipid-soluble toxin)이 발견된 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