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정의- 일상생활(日常生活)은 평상시의 생활을 의미한다. 대개 의식주 를 뜻 한다. 일상 생활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일반적으로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끼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일상생활은 평범한 것, 일상적인 것, 자연스러운 것, 습관적인 것, 정상적인 것으로 묘사될 수 있다. -정의란 일상의 정의와 비상시의 정의가 있다. 이것이 소위 상황논리하는 것이다. 정의란 불의에 대항하는 하나의 상황일 뿐이다. dhleepaul
인식적 부정의(認識的 不正義, Epistemic injustice) 혹은 인식론적 부정의, 인지적 부정의는 지식과 관련한 부정의이다. 인식적 부정의에는 배제와 침묵 시키기, 어떤 이가 한 기여나 의미에 대한 체계적 왜곡 또는 허위진술, 의사소통 상황에서 지위나 평판을 깎아내리는 것, 권한에 불공정한 차이를 두는 것 그리고 불합리한 불신 등이 포함된다.
인식적 부정의는 2007년 영국의 철학자인 미란다 프리커Miranda Fricker가 처음으로 체계화시켰는데, 인식적 부정의란 용어도 프리커가 만들어 낸 것이다.[1] 프리커에 따르면 인식적 부정의에는 증언적 부정의(Testimonial injustice)와 해석학적 부정의(Hermeneutical injustice) 두 가지 종류가 존재한다.[2]
Anderson, Elizabeth (2012). “Epistemic Justice as a Virtue of Social Institutions”. 《Social Epistemology》 26 (2): 163–173. doi:10.1080/02691728.2011.652211.
Medina, José (2011). “The Relevance of Credibility Excess in a Proportional View of Epistemic Injustice: Differential Epistemic Authority and the Social Imaginary”. 《Social Epistemology》 25: 15–35. doi:10.1080/02691728.2010.534568.
—— (2013). 저항의 인식론 : 젠더 및 인종 억압, 인식적 부정의, 저항의 상상력(The Epistemology of Resistance: Gender and Racial Oppression, Epistemic Injustice, and Resistant imaginations.). 옥스포드: 옥스포드 대학출판부. ISBN 9780199929023 .
Medina, José (2012). “Hermeneutical Injustice and Polyphonic Contextualism: Social Silences and Shared Hermeneutical Responsibilities”. 《Social Epistemology》 26 (2): 201–220. doi:10.1080/02691728.2011.652214.
Pohlhaus, Gaile (2012). “Relational Knowing and Epistemic Injustice: Toward a Theory of Willful Hermeneutical Ignorance”. 《Hypatia》 27 (4): 715–735. doi:10.1111/j.1527-2001.2011.01222.x.
"무력감과 사회적 해석", Episteme: A Journal of Social Epistemology Vol. 3 Issue 1-2 (2006); 96-108
"인식론적 불의와 앎의 정치에서 미덕의 역할", Metaphilosophy vol. 34 Nos. 1/2 Jan 2003; M. Brady and D. Pritchard eds. Moral and Epistemic Virtues (Blackwell, 2003)에서 재인쇄됨
"Life-Story in Beauvoir's Memoirs", 시몬 드 보부아르의 케임브리지 동반자 ed. Claudia Card (CUP, 2003)
"Confidence and Irony", Morality, Reflection, and Ideology ed. Edward Harcourt (OUP, 2000)
"포스트모더니즘 없는 다원주의(Pluralism Without Postmodernism)", The Cambridge Companion to Feminism in Philosophy eds. M. Fricker and J. Hornsby (CUP,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