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장생(해,산,구름,소나무,물,거북,학,사슴,불로초)을 소재로 하여 5종의 실을
체신부 우표도안 실장 전희한 씨가 도안하였다. 도안의 소재는 전통적인 것이었으나 도안을 근대적표현으로 처리한 것이 독특하다. '74년 정부당국의 모금방법 개선시책에 따라 대폭 축소되었던 실 모금이
이 해부터 다시 증가 되기 시작 하였다.
|

|
1981년 |
1982년은 로버트 코호(Robert Koch,1843~1910)가 결핵균을 발견한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로버트 코호는 아내에게서 생일선물로 받은 현미경이 계기가 되어 위대한 세균학자가 되었다. 그는 1905년에 결핵균 발견의 공적으로 노벨의학상을 수상했다. 결핵균 발견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코호의 초상화를 삽입하여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현상모집한
각 시 도의 지정 꽃 9종을 소재로 하여 당선된 작품을 전희한 씨가 구성한 도안이었다.

|
|
1982년 |
역사적인 올림픽 개최국으로 결정된 것은 1981년 10월30일 서독의 바덴바덴에서 였다. 양분된 우리나라가 여러나라의 경쟁에서 성공하게 된 기념으로 크리스마스실에
10개 운동 경기 종목을 도안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인기종목과
금메달 유망 종목으로 지목 되었던 양궁,레슬링,축구,싸이클,육상, 역도,사격,농구,권투 및
수영 등을 소재로 조폐공사 오동환씨가 도안하였다.
|
|

|
1983년 |
대한결핵협회가 1953년 창립된 이래 30주년이 되는 해로서
30년전 대한결핵협회가 첫 발행한 '색동저고리소녀'의 실을 수정하여 삽입하고,
자연보호 씨리즈로 한국의 야생동물 9종을 소재로 한 씰과 조화하여 시트를 구성하였다. 근래 멸종위기에 있는 호랑이,멧돼지,여우,곰,쪽제비,산양,노루,너구리 및 늑대 등을 소재로 하여
오동환 씨가 그렸다. 창립 20주년 기념우표도 발행되었다.
|
|

|
1984년 |
우리나라에서 전래되고 있는 동화를 민화형식으로 여류 화가 겸 공예작가 곽계정 씨가 그렸다. 도안내용은 "흥부와 놀부,금도끼와 은도끼.해와 달,토끼와 거북이,심청전"등이 5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1985년 |
우리나라 민속춤에 널리 사용되는 탈을 소재로 도안이 구성 되었다. 통영의 오광대홍백가면과 담비가면,봉산 사자가면과 취발이 가면,하회 선비가면과 부내가면,
구파발산대 말뚝이가면과 옴가면,수영야유의 영노가면과 양주산대의 연잎가면 등
10종의 탈을 소재로 하여 서울대 미대 조영재 교수가 도안하였다. 국제항결핵 및 폐질환 연맹 IUATLD(International Against Tuberculosis Lung Disease)이 주관하는
연차 대회에서 개최된 세계 Christmas Seal콘테스트에서 3위에 입상하였다.
| |
|

|
1986년 |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오던 민속놀이로서 연날리기가 있다. 이해의 씰 도안은 높고 푸른하늘로 어린이들이 연날리기를 하고 있는 모습을 담았다. 연의 종류로는 방패연으로 나비연,허리둥이연,반달연,치마연,삼동치마연,사동치마연 등 6종과
가오리연 4종을 소재로 시각디자이너 김현 씨가 도안하였다. 그는
대한결핵협회가 1972년도에 공모한 씰 도안 응모에서 당선되바 있다. 이해의 씰은 IUATLD연차회의에서 개최된 세계 Christmas Seal 콘테스트에서
지난해의 3위에 이어 2위에 입상하였다. |
|

|
1987년 |
1937년도의 크리스마스실 "팽이치는 소년"을 청년화가 김기창 씨가 24세때 그린후
꼭 50년째가 되는 해를 기념하기 위하여, 운보 김기창 화백이 탈춤 그림을 기꺼이 제공해 주었다. |
|

|
1988년 |
88서울올림픽이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역사적인 해이다. 이와 같이 역사적인 해를 기념해서 발행되는 크리스마스실의 도안도 특이 하였다. 신명나는 농악놀이의 한마당을 색종이로 오려 붙여 표현한 꼴라쥬 기법에 의한 도안이었다. 농악놀이는 꽹가리,징,북,소고 등의 타악기를 이용한 가락과 장단에 맞추어 모두가 참여하는
흥겨운 놀이이며 우리의 옛 농경사회 지신밟기라는 신앙적 행위의 유행에서
흥취를 돋구며 협동정신을 함양하는 수단으로 이전되었다고 한다.
88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 작가로 일약 유명해진 김현 씨 작품으로서
이 해에 처음으로 세계 Christmas Seal 콘테스트에서 1위에 입상하였다. |
|

|
1989년 |
84년도 한국의 전래동화 시리즈를 도안한 바 있는 여류화가 겸 공예작가인 곽계정씨가
다시 "정겨운 우리 풍습"을 내용으로 한 씰 도안을 맡아주었다. 씰의 도안내용을 보면 지구촌의 가족들도 동방의 나라 한국에서의 예의범절과
명절의 분위기를 맛 볼 수 있도록 그려졌다. 89년의 씰 콘테스트는 익년도 세계대회를 위하여 순연되었다. 그러나 익년도인 90년 5월
미국 보스톤에서 개최된 국제항결핵 및 폐질환연맹 세계대회에서 있었던 세계 Christmas Seal
콘테스트에서 89년도에 이어 연속 1위에 입상하였다.
|
|

|
1990년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혼례풍속도를 소재로한 "시집가는 날"로서 시각 디자이너 정완두씨가 그렸다.
혼례행렬을 기준으로 상견례하는 장면과 예물행렬을 배열한 2종의 10매 소형 시트만으로 인쇄되었다.
소형시트만을 발행하여 수집가에게 수집의 기회를 저렴하게 넓히고자 하였다.
역시 IUATLD연차회의에서 개최된 세계 Christmas Seal 콘테스트에서 세번째 1위에 입상하였다.
|

|
1991년 |
1991년도 실의 도안은 우리나라 추수기를 맞아 넉넉한 삶의 표현과 흥겨운 윷놀이의 장면을
소형시트에 넣은 "추수와 윷놀이"를 소재로 하여 한양대 미대 양호일교수가 그렸다. 관행적으로 발행하였던 50매 시트 실은 1990년도 이래 중단하였으며 소형 시트 (10매)2종만 발행되었다.
|

|
1992년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나비를 주제로 그렸다. 자생나비는 수백종이 있는데 그 중 각시멧노랑나비,금강산 녹색부전나비,긴꼬리 제비나비,
남방 노랑나비,배추 흰나비 등 20여종의 나비가 도안 되었으며,씰 바탕색을 금분 및 은분을 깔고
당초화무늬로 연결한 10매짜리 소형시트로 발행되었다. 도안은 중앙일보사의 시각디자이너 이명헌 씨가 그렸다. 1992년도 IUATLD연차회의에서 개최된 세계 Christmas Seal 콘테스트에서
네번째로 1위에 입상하는 영광을 차지하게 되었다.
|

|
1993년 |
우리나라의 자연시리즈를 작년 자생 나비에 이어 금년에는 자생 꽃을 주제로 도안을 하였다. 소박한 생명력과 자연의 숨결을 주제로 한 한국의 야생화로 얼레지,제비꽃,금낭화,이질품,
약모밀,닭의 장풀,노루귀,비로용담,엉겅퀴,금강초롱 등 20종을 소재로
90년도 실 "시집가는 날"을 도안한 바 있는 장완두 씨가 다시 도안을 하였다.
|

|
1994년 |
1994년도 실 도안은 1977년도 자연보호시리즈(1)의 천연기념물 조류 발행후 각종 개발로 인한
자연훼손으로 푸른숲과 산림이 황폐 화 되면서 아름답고 고운 목소리로 지저귀는 새들을
우리 주위에서 찿아보기 어려워, 이 새들의 모습을 되살리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텃새(10종)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찾아오는 철새(10종) 을 소재로하여
아트벨 대표인 장완두 씨가 소형시트(10종) 2종으로 발행하였다.
|

|
1995년 |
옛부터 돌과 바람과 여자가 많다고 하여 삼다도로 불리는 섬. 거지,도둑과 문이 없어 삼무도라 하는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고구마 모양을 한
타원형의 섬 제주도 남해바다속에 펼쳐진 생명의 세계를 소재로 하였다.
|

|
1996년 |
우리나라의 전통적이고 고전적인 한국의 미를 소재로 하여 서양문물과 현대화에 밀려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조상들의 전통머리장식류,노리개, 주머니, 생활용품등을 소재로하여
이준섭씨가 도안하여 소형 시트(10매)와 20매 시트 1종을 발행하였으며,
1996년도 IUATLD연차화의에서 개최한 세계Christmas Seal 콘테스트 에서
'95년도에 이어 여섯 번째로 1위에 입상하는 영광을 차지하였다. |
|

|
1997년 |
유년시절 추억을 일깨워주는 반딧불이, 메뚜기, 장수풍뎅이등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곤충과
민요나 이야기에서 자주 등장하는 곤충등 색상이나 무늬가 특이한 아름다운 곤충류 20가지를 소재로하여
'90년도 "시집가는 날", '93년도 "한국의 야생화' '94년도 "한국의 철새.텃새를 도안한
아트벨 대표인 장완두 씨가 도안을 하여 소형(10매)시트 2종을 발행하였다.
|

|
1998년 |
1998년도의 실은 우리와 친숙한 세 마리의 동물들이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즐겨하는
구기종목 네가지를 선별해서 캐릭터를 통해 씰을 도안하였다. 한 동물이 한가지 구기종목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4가지 종류의 구기를 하는 것으로 도안 하였다.
|

|
1999년 |
1999년도 크리스마스실은 겨울 밤하늘의 별자리로 구성하여 바쁜 현대인들에게
별 하늘의 아름다움을 전해주고, 온 가족들과 함께 별자리를 보며 아이들에게 별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어 신비로운 우주를 여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