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기본상식-
전철기의 훼손시 벌칙 : 10년이하의 징역
건축한계 : 궤간 중심에서 2,100mm.
차량한계 : 궤간 중심에서 1,700mm
안전한계 : 궤간 중심에서 1,950mm
안전관리란 : 철도사고를 미연에 방지 및 철도사고 발생시 인명 재산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관리제도를 말한다
고압선과 안전거리 : 1,200mm
연결기 높이 : 815 - 900mm
무재해 3원칙 : 무의 원칙, 선취의 원칙, 참가의 원칙
상치신호기 종류 : 출발, 장내, 폐색, 엄호, 유도, 입환, 원방, 중계=8가지
기중기 출동시 확인사항
-. 구동축은 동력전달 장치에서 분리시켜 이동되지 않게
-. 상체회전부 완전체결 이탈방지
-. 동절기 동파 방지에 유의
철도의 정의 : 철의 궤도를 부설하고 차량을 운전하여 여객과 화물을 운송하는 설비
부상자 : 의사의 치료가 필요한 정도 상해를 입은 사람
경상 : 3주미만의 치료 요함
중상 : 3주이상의 치료 또는 신체활동 일부를 상실한 경우
부상자 수에서 제외 : 사고 당일 의료기관에서 정상판단을 받고 귀가한 사람은 제외한다
지적확인 환호응답의 목적 :
직무상 철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업무수행시 확인해야 할 대상물 또는 현상을 지적확인하고 환호하여 이에 응답(이하 “지적확인환호응답”이라 한다)하는 요령
지적확인 환호응답 적용범위 :
열차의 운전취급, 순회점검 및 보수작업을 담당하는 직원과 그 업무를 지원하는 모든 직원에 대하여
적용한다.
지적확인 환호응답 동작 :
지적확인환호응답의 기본동작 및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먼저 취급 또는 확인할 대상물을 찾는다.
② 팔을 곧게 펴고 검지로 대상물을 정확히 지적한다.
③ 대상물의 명칭과 상태를 명확하게 환호하고 응답한다.
ATS주파수 범위, 점제어 주파수 범위 : 98-130KHZ
사구간 길이 : 중앙선 8m, 전동차구간 22m, 교직사구간 66m
전철기(분기부)의 구조 : 텅레일 리드부분, 크로싱 부분
슬랙 : 곡선 통과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궤간을 벌려놓은 것으로 최대 30mm
전차선 절연이격거리 : 300mm
선로란 - 지상부 : 노반+도상+침목+레일+기타 부속품의 퉁칭. 전차선로 :
신호가시거리 : 장내 600m, 출발 100m, 폐색 800m
사상사고 처리요령
1)신속한 응급처치 또는 의료 수배
2)관계처소 및 가족통보
3)사망자에 대한 관계관서의 검시수배
4)신원불명시 행정기관장에 인도 수배
5)사상자 유류품 보관 및 인도수배
열차분리시 조치요령
①분리차량은 신속히 정차시키고 연결할 것
②분리차량은 이동중 충돌을 피하기 위한 조치
③분리차량은 인접역 진입우려시 인근역에 통보
④분리차량은 짧은 기적을 울리면서 쫓아갈 것
안전결의문 : 규정수칙준수, 확인협의철저, 가장안전한 방법선택
전차선의 종류 : 전차선, 급전선, 귀선
궤도회로란 :
레일에 전기회로를 구성하여 차축에 의한 전기회로를 단락 또는 개방으로 열차의 유무를 감지하는 장치
폐색이란 : 2이상의 열차를 동시에 운전시키지 않기 위하여 정한 구역
적성검사의 종류 : 신규, 지정, 정기, 등용, 특별
폐색방식 : 상용, 대용
사상사고 종류 : 여객사상, 공중사상사고
정지신호가 현시할 수 있는 조건 : 궤도낙하, 전원차단, 전철기불일치
3VF(VVV)란 :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가변저항, 가변주파수 방식
전차선 편위 : 궤도중심에서 250mm 이내
공기압력 : 화차, 동차 5kg. 객차 6kg
고정축거 : 3.75m
캔트 : 곡선부위 안쪽 레일과 바깥쪽 레일과 높이차를 말하며, 최대 160mm
시공기면이란 그리고 선별거리
노면을 조정하는 기준이 되는 면으로 1,2급 4m. 3급 3.5m, 4급 3m이다
레일종류 : 장대레일(200m이상), 장척레일(25-200m), 정척레일(25m), 단척레일(25m이하)
건널목의 종류
1종건널목 _ 전동차단기, 경보종, 건널목안내표지가 설치된 건널목
2종건널목 _ 전동차단기, 경보종이 설치된 건널목
3종건널목 _ 건널목안내표지만 설치된 건널목
선로작업 표지 설치거리 :
작업지점으로 회방에 130km/h이상 400m, 100-300km/h이하 300m, 100km/h이하 200m 곡선구간에서는 열차가 인식할 거리에 설치한다
안전검사종류
일별점검 : 장비의 취급담당자
주별점검 : 팀장
월별점검 : 현업기관장
월별순회점검 : 지역관리역장, 소장
특별점검 : 청장
사고시 조치순서 : 인명구조 , 본선개통, 철도시설물 보호
지상자와 신호기 거리 : 속도제어부 - 신호기위치, 점제어식 - 700m,
신호 : 형, 색, 음 등으로 열차 차량에 대한 운행조건을 지시
전호 : 형, 색, 음 등으로 계원 상호간에 의사전달
표지 : 형, 색 등으로 물체의 위치, 방향, 조건을 표시
승강장 제원 : 높이 1150mm, 간격 1675mm, 고상홈1750mm
운전사고 종류 : 열차사고(열차접촉, 열차충돌, 열차탈선, 열차화재)
건널목사고
선로간 간격 : 2선 설치시 4m, 3선 설치시 4.3m
차량내구연한 :25년(기관차, 객화차)
궤간넓이 : 표준궤간 1,435mm
ATC-열차자동제어장치, ATO-열차자동운전장치, CTC-열차집중제어장치
구배의 종류 : 가상구배, 환상구배, 타력구배
축당중량 : 25ton
ATS, VVVF 주파수범위 : 68-130KHZ
대피소 간격 : 터널내 40m, 교량 30m
누설전류 -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대지로 흐르는 것
전차대길이 : 1,2급선 27m, 3,4급선 24m
유효장 :
인접선로에 지장을 주지않고 열차나 차량을 유치할 수 있는 최대의 길이 3가지 경우가 있다
대차의 종류 :
화차-어차버, 주강재, 바버, 객차-균형량양식, 축스프링식, 프레스강용접식
플레밍왼손법칙 : 전동기의 원리로 기전력, 자기력, 전압의 방향의 표시
대형사고란 :
①다수사상자 발생 ②24시간이상운행중지 ③기타사회적물의를 야기시킨사고
소화기점검 방법 및 년수:약재의 응착여부, 고압가스충약여부, 2년, 5년
과선교작업시 보호장비 및 과선교의 전차선보호의 안전장비 : 낙화방지망설치
역장이 열차를 정지시킬수 있는 경우 및 풍속단위 25m 이상
-. 센바람(13.9-17.1), 큰바람(17.2-20.7), 큰센바람(20.8-24.4),
노대바람(24.5-28.4), 왕바람(28.5-32.6), 싹슬이바람(32.7이상)
무선방호요령
①지장즉시 비상통화(2번채널)로 “방호구간(구간, 상하선 구별) 무선방호” 3-5회 반복 ②무선방호 통보후 관계정거장 관계열차를 불러 사유 통보 ③일반통화(채널1번)를 이용 차장에 통보
건널목 경보기 시간 및 깜박이 횟수 : 30초 50±10
자갈살포시 속도 : 10km/h이하
디젤기관차의 속도테이프에서 검사 종류 : 발제, 접지, 공전, 5현시, 상용, 비상, ATS
재해대책 경계의 종류
1종경계(전원근무) - 전구간 전원 또는 일부가 출동 전구간 경계
2종경계(1/2근무) - 소속 직원 일부가 출동지정 장소 또는 구간 경계
3종경계(1/3근무) - 소속 직원 일부가 출동지정 시간에 장소와 구간 경계
전철고상홈에서 시설물 이격거리 : 전주 1m, 건축물 1.5m
단전시 조치사항 : 검전기를 이용 단전확인, 접지걸이를 양단에 설치
전철기 대향 : 텅레일에서 크로싱 방향. 배향 : 크로싱에서 텅레일 방향
전철기철차
양개 : 8(40), 10(50), 12(60), 15(70km/h)
편개 : 8(25), 10(35), 12(45), 15(55km/h)
교통기관의 3대요소? 동력, 운반구, 통로
FAIL-SAFE SYSTEM이란?
안전무결제도 즉, 인간에게는 인간이기 때문에 변화가 있는 것이므로 이를 본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장치, 다시 말하면 인간 또는 장비나 기계가 과오나 동작상태의 실수가 있어도 사고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2중 또는 3중으로 안전대책을 가하는 것
보유책임과 감독책임을 각각 설명해 보시오?
보유책임 자기 자신이 구체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 자기 자신이 책임을 지는 것
감독책임 부하에게 위탁하여 업무나 작업을 시키고 그 결과에 대해서는 상사가 책임을 지는 것
할거주의란? 분담업무를 지나치게 하였을 때 발생하는 악습
사고요인의 등치성원리(사교요인의 등가선)란?
교통사고는 반복되는 것으로 교통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 반복사고를 되풀이 않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함, 즉 연쇄반응이 일어날 소지가 있는 것을 하나만 제거해도 사고는 일어나지 않고 어느 요인이든 사고에 대해서 똑같은 비중을 가지고있는 것을 말한다.
사고요인의 등치성원리는 어디에 중점을 둔 것인가? 교통사고 원인
가면운전이란? 졸면서 하는 운전
정보관리의 3핵심 단계는? 수집, 분석, 병가
ZD운동이란? 무결점운동
계획의 특성? 미래성, 목적성, 경제성, 통제성 등
계획의 원칙? 합목적성의 원칙, 계획우선의 원칙, 일반성의 원칙 등
표준운전시간이란? 생리적으로 안전할 수 있는 연속운전시간과 휴식시간을 말함
교통사고 분석방법은? 통계적분석과 사례적분석
명순응이란?
어두운 곳에서 갑자기 밝은 빛에 쪼여 현혹되었다가 정상적인 시기능을 찾을 때까지를 말한다.
착시현상이란?
사람이 정상적인 시력을 갖고서도 있는 그대로를 보지 못하고 왜곡하여 지각하는 현상
위험상태를 보았을 때부터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무엇이라 하나?
반응시간(반응시간은 보통 0.7~10초 걸림)
연속운전을 2시간 했다, 휴식시간은 얼마가 이상적인가? 약15분 정도
일정시간 이상 노출되면 청각기능에 장애를 받는 소음의 범위는 몇 db(데시벨)인가? 85db 이상
자동차사고에서 사망이라 하면 사고 후 몇 시간 이내에 사망한 자를 말하나? 72시간
중상이라 함은 의사의 진단결과 몇 주 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부상인가? 3주 이상
운전보안장치의 종류?
폐색장치, 신호장치, 연동장치, 전철장치, 제동장치, 열차자동정지장치, 열차자동제어장치, 건널목보안장치, 운전경계장치, 열차방호장치, 운전용통신장치 등
열차를 정차시키는 선로의 양끝에 있는 차량접촉한계표지 상호간의 길이를 무엇이라 하나? 유효장
전도운행구간착발선로의 최대열차장은? 가장 짧은 유효장에서 차장율 1.0차(14m)를 감한 것
정지시호가 현시된 경우 정차하지 않고 진입할 수 있는 신호는?
1)서행허용표지가 설치된 자동폐색신호기의 정지신호구간에 진입할 때
2)간이역에서 정차한 열차가 출발시 바로 앞에 있는 자동폐색신호기에 정지신호가 현시된 것을 확인하였을 경우
자동폐색신호기에 정지신호가 현시되었을 때 기본운전속도는? 15km이하
자동폐색신호기에 정지신호가 현시되었을 때 운전사령의 승인에 의하여 운전할 수 있는 최대속도는? 45km이하(이때 최초열차는 일단정차 후 25km 이하)
열차는 신호기에 유도신호가 현시 되었을 때는 어떻게 운전하나?
전도에 지장 있을 것을 예측하고 15km 이하로 그 현시 지점을 넘어서 진행할 수 있다
주의신호가 현시되었을 때 운전속도는? 45k/h(신호5현시구간은 65k/h)이하
감속신호가 현시되었을 때 운전속도는? 65k/h(신호5현시구간은 105k/h)이하
열차등급은 몇 등급으로 분류하며, 등급이 가장 높은 열차와 가장낮은 열차는?
11등급으로 분류하고, 열차등급의 순위는 특별급행열차~시험운전열차 순)
구내운전을 하는 경우 운전개시 시기는? 입환신호기에 진행신호 현시한 후 시동전호가 있을 때
구내운전구간의 운전속도는? 25k/h 이하
차량입환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상세한 입환협의
차량입환시 제동취급의 원칙은? 기관차제동사용(단독제동)
열차의 도착할 시각이 임박하였을 때 기준은? 열차의 도착 또는 통과할 시각 5분전을 경과한 때
입환 중 속도절제전호는 차량상호 간격이 얼마일 때 해야 하는가?
약42m(차장율 3차 정도)
돌방입환을 허용하는 선로구배의 한도는? 1000/3이하
격시법 또는 지도격시법을 시행할 때 운전속도는? 45k/h 이하
경부선 ctc신호 4현시 구간에서는 시행불가
통표의 종류는? 원형, 사각형, 십자형, 삼각형, 마름모형 등 5가지
선로최고속도가 120k/h이상인 선구의 곡선구간에는 곡선표지 외방 몇m 지점에 곡선예고표지를 설치하나? 300m(R400, R500, R600→군청색 바탕에 백색 6)
선로순회계원 및 건널목 안내원의 열차방호 종류?
1) 1종방호-지장지점 부근에 화염신호를 현시하고 정지수신호를 현시하면서 주행하여 지장지점으로부터 800M 이상의 지점에 신호뇌관을 장치한 후 지장지점으로부터 200M이상의 지점에 정지수신호를 현시하여야 한다
2) 2종방호-지장지점으로부터 정지수신호를 현시하면서 주행하여 400M 이상의 지점에 정지수신호를 현시하여야 한다(다만 인원이나 전호기 또는 전호등이 부족시에 정지수신호를 현시하면서 주행하여 800M 이상의 거리에 신호뇌관을 장치하여 대신할 수 있다)
화약 또는 위험품의 화차를 유치할 때는 화기있는 장소에서 몇 미터 이상 격리시켜야 하나? 30M 이상
철도안전의 날은? 매월4일(4일이 공휴일 또는 토, 일요일인 경우 그 다음 정상 근무일)
철도안전의 날에는 어떠한 사항을 실시하나?
안전수칙낭독, 안전교육시행, 안전업무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 분석, 소속기관의 장이 안전점검 직접시행, 기타 안전과 관련된 업무의 수행 등
안전확보 실천지침 3가지는?
①규정과 안전수칙준수 ②운전정보교환 및 운전협의 철저 ③지적확인 및 무재해운동의 생활화
안전결의문 3가지는?
①우리는 규정과 수칙을 준수한다, ②우리는 확인과 협의를 철저히 한다, ③우리는 가장 안전한 방법을 선택한다,
중점추진사항?
①철도무재해운동의 강력추진 ②열차운행선 인접공사 안전관리 강화 ③직무사상사고 예방활동강화
철도사고의 구분 : 운전사고와 일반안전사고로 구분
운전사고의 종류는?
①열차사고(열차충돌, 열차탈선, 열차접촉, 열차화재)
②건널목사고 등
일반 안전사고 : 철도작업(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운전사고 및 운전장애 이외의 사고(열차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사고)로 사상사고, 화재사고, 설비사고 등을 말한다,
철도운전사고 및 운전장애는 모두 몇 종류인가? 운전사고 2종, 운전장애 22종
운전장애라 함은 열차 또는 차량운전에 일시적인 지장을 준 것으로서 운전사고범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책임사고 : 종사원의 책임과오 또는 시설, 차량기구 등의 정비소홀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철도사고와
운전장애를 말한다,
대형사고 : 철도사업과 관련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 열차사고 등으로 24시간이상 열차운행을 중지한 것, 기타사고로 사회적 큰 물의가 예상되는 것.
후속열차가 선행열차의 뒤에 추돌한 경우 사고종별은? 열차충돌
전기설비의 결함 또는 전압강하로 열차운전에 지장이 있을 때 장애종별은? 송전고장
규정의 신호, 전호, 표지의 취급을 하지않고 열차취급을 하였을 때 장애종별은? 신호취급위반
규정의 신호, 전호, 표지를 무시하고 운전하였을 때 장애종별은? 위규운전
정거장에 정차할 열차가 출발신호기를 지나 안전측선에 진입하여 정차하였을 때 장애종별은?
정지위치실당
레일, 전철기, 침목, 교량, 터널 등의 선로시설결함(변형, 또는 파손)등으로 열차운전에 영향있을 때
장애종별은? 선로고장
건널목에서 손수레, 우마차 가 열차에 접촉하여 사상자가 발생하였을 때 사고종별은? 공중사상
선로내에 사상자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정차하였을 때 장애종별은? 공중사상
무재해라 함은? 직무사상사고와 운전책임사고가 없는 것을 말함
직무사상사고 라 함은?
업무시간 중 작업장에서 직원이 업무수행에 기인하여 사망하거나 4일 이상의 요양을 필요로 하는 부상을 입은 경우를 말한다.
크로이스 라 함은? 철도운용정보시스템을 말한다.
구내운전이란? 정거장 또는 차량기지 구내에서 입환신호기에 의하여 차량을 운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차량접촉한계표지의 외 라 함은? 차량이 접촉하는 방향을 말한다.
신호의 주시라 함은?
신호를 현시하는 신호기 위치를 통과할때까지 특별한 주의력을 집중하여 신호현시상태를 계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이례사태발생시의 조치는?
열차 또는 차량을 운전 중 이례사태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각 관계자는 상황을 판단하여 이 규정 및 관계 타 규정에 의하는 외에 열차운전에 가장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방법에 의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출발신호기 대용수신호 일 때?
1. 25k/h(수신호등에 의할 경우에는 45k/h이하 운전)
2. 최외방 전철기까지
3. 자동폐색식 시행구간의 경우 기관사는 최외방 전철기부터 다은 신호기 위치까지 열차 없음 이 확인될 때는 45k/h이하 운전(기타25k/h이하)다만 도중 자동폐객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최외방 전철기까지 만 25k/h이하 운전
입환신호기 진행신호에 의해 열차가 출발할 때?
1. 45k/h(도중폐색신호기가 없는 구간 제외)
2. 도중폐색신호기가 있는 구간은 맨 처음 폐색신호기까지
통과열차로서 통표의 주는 걸이와 받는 걸이에 의하지 않고 통표를 주고 받을 때 속도는? 25k/h이하.
복선구간의 상용폐색방식 종류는? 자동, 연동, 차내신호폐색
상용폐색방식 : 자동폐색방식, 연동폐색방식, 통표폐색방식.
대용폐색방식 : 지도통신식, 지도식.
단선, 복선구간에 모두 사용 가능한 상용폐색 방식은 자동폐색식과 연동폐색식
폐색준용법의 종류는?
복선운전할 때 : 격시법, 전령법
단선운전을 할때 : 지도격시법, 전령법
자동폐색구간에서 도중에서 궤도회로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을 경우 로서 대용폐색방식또는 폐색준용법에 의하여 그 궤도회로 구간(폐색구간)운전하는 최초열차 운전취급은? 25k/h이하로 주의운전하여야 함
방호신호라 함은?
열차방호장치를 사용하여 경보음 및 경보등으로서 현시하는 정지신호를 말한다.
수전호에 의한 입환전호의 종류는?
오너라, 가거라, 속도를 절제하라, 조금진퇴하라, 정지하라.
속도절제 전호방식은 녹색기 (또는 녹색등)로 오너라 또는 가거라 전호를 하다 가 크게 상하로 1회 움직인다
주간 : 양팔을 아래로 교차하여 여러번 급격히 좌우로 뻗는다(야간 : 적색등으로 원형을 그린 후 상하로 움직인다)의 전호는? 전호취소
원격제어구간의 자동폐색구간 궤도회로 경계지점에는 무슨 표지를 설치하여야 하나?
궤도회로경계표지(검정색 바탕에 원형테두리와 숫자는 백색)
사고복구 작업에 있어서의 우선순위는?
1.인명구조 및 보호 2.본선개통 3.민간 및 철도 재산의 보호
열차의 차장 및 기관사의 열차방호 종류는?
1.정지수신호에의한 방호 2.무선전화기에 의한 방호 3.방호장치에 의한 방호
정지수신호에 의한 방호는 지장지점으로부터 정지수신호를 현시하면서 주행하여 400m 이상의 지점에 정지수신호를 현시하여야 한다.
역장이 일시 열차의 출발 또는 통과를 중지시킬 수 있는 경우는 풍속이 몇 이상일 때인가?
풍속이 25m/s이상으로 되었다고 인정하였을때(노대바람)
풍속측정 표준에서 가장 강한 바람은? 싹쓸바람(풍속32.7m/s이상)
열차의 동력차를 조종하는 직원에 대하여는 그 작업에 숙련된 직원의 지도를 받아 몇 시간 이상의 실습을 한 후 조종하도록 하여야 하나? 130시간
차량이 곡선부를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안쪽레일을 기준으로 바깥쪽레일을 높게 부설하는 것을무엇이라 하나? 켄트 (켄트의 최대한도는 160mm)
건축한계최대폭의 길이는? 4,200mm(선로중앙으로부터 2m10cm/높이는 5,150mm
차량한계의 폭은 선로중앙으로부터 170cm, 전주건식은 선로중앙으로 부터3m
전차선로의 절연 이격거리는?
7cm에서 1m20cm의 범위안에서 철도청장이 정하는 크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차량의 고정축거는? 3.75m이하로 하여야 한다.
고정축거란 중심회전이 가능한 대차에 부착된 1군이 고정축중 맨앞부분의 차축과 맨 뒷부분의 차축중심간 수평거리를 말한다.
정차중인 기관차의 충당중량의 한도는? 25톤
열차운전취급을 사령실에서 중앙집중제어하는 방식은? C.T.C
C.T.C라 함은 열차집중제어장치로 최근에는 안전확보나 열차운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널리 보급됨
조작판제어방식(L.D.M)이라 함은?
C.T.C사령실의 조작판을 수동으로 취급하여 제어하는 방식을 말하며 태백선C.T.C에서는 EM MODE 라고 한다.
콘솔제어방식(CCM) : C.T.C컴퓨터 키보드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어하는 방식을 말함.
취약구간을 운전하는 화물열차가 30‰미만의 하구배에 진입하였을 때 공기제동에 의한 초제동을 몇 k/m에서 사용해야 하는가? 20k/m미만
건널목지장경고등은 어느 경우에 점등되는가? 높이가 75cm 이상인 물체가 6초 이상 건널목을 지장 할 때
디젤기관차로서 열차를 견인하고 출발할 때는 약 몇 m까지 초소 놋치를 유지해야 하는가? 2m
동력차승무원의 사업교번을 작성할 때 설정사업시간은 몇 시간을 표준하여 작성하는가?
1주간 44시간을 기준으로 하고, 52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정신차려통보를 받은 후 몇 시간 이내에 동질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관계자는 가중처벌되는가? 72시간
방향이 같으면서 반경이 다른 곡선이 서로 접하느 곡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복심곡선
장대레일은 길이가 얼마 이상인 레일을 말하는가? 200m이상
장척레일이란 길이가 25m 이상 200m미만인 레일.
정척레일은 길이가 25m인 레일
단척레일은 길이가 25m이하인 레일
디젤기관차의 내구연한은? 25년
전기기관차의 내구연한은? 40년
객화차의 내구연한은? 26년
궤도검측차의 운용은? 시설장비사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