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굴생태환경연구소 강문식연구원의 도움글을 인용한 것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과 사진은 '박쥐종류' 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Family Rhinolophidae 관박쥐과
전 세계적으로 2과 51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이 있다. 얼굴에 3장의 비엽이 있는 것이 특징으로 앞가슴이 잘 발달되어 있고 작은
눈은 비엽에 감추어져 잘 보이지 않는다. 날개는 광단형이다.
Genus Rhinolophus 관박쥐속
-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Kuroda, 관박쥐(말편자박쥐)
전국적 분포. 흔한 종류로 동굴성이다. 하비엽이 말굽형이고, 체색은 담갈색이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다. 출산때 포육 집단을 형성하지만 보통은 집단을 형성치 않고 단독으로 생활한다. 7-8월에 한 마리의 새끼출산. 비교적 그 활동범위가 좁다. 수명은 26년이라는기록이
있음.
Family Vespertilionidae 애기박쥐과
전세계적으로 38속 약 275종이고 우리나라에는 8속 25종이 알려져 있다. 지구상에서 서식하는 박쥐 중 가장 다양하게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다. 애기박쥐과에는 비엽을 가지지 않으며 날개는 광단형, 중간형, 협장형 등 다양하게 나타나 있고, 견관절이 발달해 있다.
Genus Myotis 윗수염박쥐속
우리나라 박쥐들 중 가장 많은 종으로 속력이 좀 빠르나 변덕스럽게 난다. 날개 형태는 중간형으로 그 분류가 매우 어렵다. 7-8월에 한
마리의 새끼 출산한다.
- Myotis mystacinus gracilis Ognev 윗수염박쥐
전국적으로 분포하나 개체수가 많지 않음. 소형으로 날아가는 속도가 무척 빠르고 동면은 한 마리씩 동굴에 들어가 지낸다. 여름에는 삼림에서, 겨울에는 동굴에서 서식.
- Myotis ikonnikovi Ognev 작은윗수염박쥐(쇠긴수염박쥐)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주로 분포하나 채집 기록이 매우 적다. 동면은 동굴에서 하나 활동기에는 동굴에서 잘 관찰되지 않음.
- Myotis frater frater Allen 긴꼬리윗수염박쥐
우리나라 중부 이북지방에 주로 분포하나 채집기록이 극히 적다. 동굴성이며 동면기에는 동굴에 한마리씩 구멍에 들어가 지냄.
- Myotis nattereri bombinus Tomas 흰배윗수염박쥐(아무르박쥐, 속리산애기박쥐)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나 개체수가 적다. 동굴성으로 습기가 많은 동굴을 좋아하며 겨울이 되면 대집단을 형성한다. 겨울이나 여름에
같은 동굴을 이용하는 특징이 있다. 지금은 관찰이 매우 힘들다.
- 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Ognev 물윗수염박쥐(우수리박쥐)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 비교적 흔한 종으로 새끼를 집단 포육한다. 동굴성으로 여름과 겨울 모두 동굴에서 볼 수 있으며 동면시에는 한
마리씩 동굴의 바위틈이나 구멍에서 지낸다.
- Myotis macrodactylus Temminck 큰발윗수염박쥐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 비교적 흔한 종으로 새끼를 집단 포육한다. 동굴성으로 활동기에는 주로 동물이나 물 많은 수로에서 보이며 동면은 단독 혹은 집단으로 한다.
- Myotis formosus tsuensis Ognev 오렌지윗수염박쥐(붉은박쥐, 조복성박쥐)
전국적 분포. 암수의 성비가 1:10 - 1:40 정도이다. 여름에는 대나무밭이나 삼림, 고목의 둥지에서 지내고 겨울철에는 습도가 높고 따뜻한 동굴의 안쪽에서 1-2 마리가 동면을 한다. 가장 아름다운 박쥐로 알려져 있으며 환경부 멸종 위기종 1호이다.
- Myotis soni Son & Yoon 쇠윗수염박쥐
윗수염박쥐의 아종으로 1992년 손과 윤에 의해 발표. 연구 필요.
- Myotis gracilis Ognev 큰 수염박쥐 - 확인필요
Genus Vespertilio 애기박쥐속
몸의 크기가 중간 정도이며 날개는 협장형으로 고속으로 비상한다.
- Vespertilio superans Thomas 안주애기박쥐(동양애기박쥐)
우리나라 중부 이북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현재 그 수가 급격히 감수하여 관찰이 매우 힘들다. 주로 인가의 처마 밑이나 기와지붕의 기와
밑에서 번식하며 군집생활을 한다. 동굴에서 암컷들이 모여 출산하며, 포육 집단을 형성한 기록이 있으나 겨울의 동면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 Vespertilio murinus murinus Linnaeus 북방애기박쥐(함북쇠박쥐)
북부지방에 분포 추정하고 있으나 추위에 민간해 아주 추운 북쪽 지역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는 알려진 바가 없고 채집기록이
매우 적다. 힘있게 난다고 한다.
- Vespertilio namiyei Kuroda 애기박쥐
Genus Eptesicus 졸망박쥐속(문둥이박쥐속)
북방계종이며, 몸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주로 고목나무의 공동이나 고가옥의 처마밑 등에 서식한다. 동굴에서는 거의 동면하지 않는
종이다.
- Eptesicus nilssoni parvus Kishida 작은졸망박쥐(생박쥐)
중부 이북지방에 주로 분포하고 우리나라엔 소수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멸종의 가능성이 있다. 생태에 대해선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 Eptesicus serotinus pallens Miller 평남졸망박쥐(고려박쥐)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에 소수 개체가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북한에 많이 분포하는 종이다. 건물의 지붕이나 벽틈에서 집단으로 서식한다. 6월 중순에서 7월 초에 보통 2마리, 드물게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 Eptesicus serotinus brachydigitus Mori 굵은가락졸망박쥐(문둥이박쥐, 큰갈색박쥐)
전국적 분포를 보이며 졸망박쥐 중에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이나 희귀종이다. 고려박쥐와 비슷하지만 몸이 작고, 생태에 관하여 별로
알려진 바가 없으나 동굴에 잘 들어가지 않는 종이다.
- Eptesicus kobayashii Mori 서선졸망박쥐(고바야시박쥐, 북방문둥이박쥐)
전국적 분포를 보이나 매우 희귀종으로 소수의 채집 기록만이 있다. 생태에 관해 별로 알려진 바 없다.
Genus Nyctalus 멧박쥐속
전세계적으로 6종이 분포하며 박쥐류 가운데 중형 또는 대형종으로서 날개는 협장형이고 윗턱의 두번째 어금니에 hypocone이라는 작은 돌기가 있다. 동굴속에서는 거의 동면하지 않는다.
- Nyctalus lasiopterus aviator Thomas 멧박쥐
고목나무의 공동이나 낡은 집지붕 밑, 큰 동담사이에서 군서 생활하며, 높은 하늘을 고속으로 비행하므로 칼새로 오인되는 수도 있다한다. 출산 시기는 6월 상순에서 7월 상순으로 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생태에 관하여 알려진 바 없다. 현재까지 5회 미만의 관찰기록만 있을뿐 6.25 이후 관찰되지 않아 멸종 가능성이 있다.
- Nyctalus noctula motoyoshii Kuroda 쇠멧박쥐 -확인필요
Genus Pipisterllus 집박쥐속
전세계적으로 7 아속과 77종이 있음. 저녁에 가장 먼저 먹이사냥에 나오는 종으로 우리나라에는 3종이 있다. 윗수염박쥐류와 비슷하나
날개는 비교적 좁고 긴 협장형이다. 동굴속에서 거의 동면하지 않는 종이다.
- Pipisterllus abramus Temminck 집박쥐
전국적으로 분포하나 최근 주택 개량으로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 들고 있다. 주로 인가 근처에 서식하는 종으로 동굴에는 들어가지 않고
나비와 같이 짧고 빠른 날개질로 불규칙하게 퍼득거리며 날아다닌다. 출산은 6월말에서 7월경에 1-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 Pipisterllus savii velox Ognev 검은집박쥐
전국적 분포를 보이며 현재 우리나라 집박쥐 중 가장 많이 발견되는 종으로 활동기에는 동굴에 들어가지 않으나 겨울철에는 동굴에서
생활한다.
- Pipisterllus endoi Imazumi 작은집박쥐
1986년에 마산에서만 채집기록이 있고 주로 고지대의 삼림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형태나 생태에 관해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고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Pipisterllus coreensis Imaizumi 큰집박쥐
경상남도에 주로 분포한고 최근 관찰이 매우 힘든 종이다. 겨울에는 동굴에서 동면을 하며, 여름 서식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 Pipisterllus pipisterllus (Schreber), Subsp 양박쥐 - 확인필요
- Pipisterllus savii coreensis Imaizumi 대구양박쥐 - ''
- Pipisterllus savii Bonaparte 쇠박쥐 - ''
Genus Plecotus 토끼박쥐속
몸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장타원형의 귓바퀴는 매우 길어서 몸통길이와 거의 같고, 콧구멍은 길고 콤마(,)형으로 되어 있고, 날개는 광단형이다. 잎이 많은 나뭇가지 사이를 날고 천장 위나 지붕 가까운 곳에 있는 벌레를 잡아 먹는다.
- Plecotus auritus ognevi Kishida 검은토끼박쥐
남한에서는 강원도와 경북 일부지역의 폐광이나 동굴에서만 볼 수 있는 매우 드문 희귀종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북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7-8월에 1마리의 새끼를 출산하며 귀가 토끼처럼 생긴 것이 특징이다. 생태에 대해서 잘 알려지지 않았다.
- Plecotus auritus uenoi Olmaizumi & Yoshiyuki 참긴귀박쥐
현재 남한 지역엔 없는 것으로 보이고 북한 지방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 주로 동굴에서 생활하며 동면은 한 마리씩 떨어져서 한다.
7-8월에 한 마리의 새끼를 출산한다. 생태에 대해서 알려진 바없다.
Genus Miniopterus 긴날개박쥐속
몸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고, 날개는 협장형으로 매우 좁고 길며, 귓바퀴가 짧고 둥글다. 무분별한 남획으로 지역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 Miniopterus schreibersii fuliginosus Hodgson 긴날개박쥐(긴가락박쥐)
남부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개체수는 많으나 남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이다. 주로 동굴에서 생활하며 우리나라 박쥐 중 가장
집단 행동이 강한 종으로 서식지에서 특이한 냄새(사향 냄새)가 난다. 다른 박쥐에 비해 날개가 매우 긴 것이 특징으로 제비와 비슷한 속도로 높은 곳을 고속 연속형 비행을 하며 관박쥐보다 활동범위가 넓고 산림의 경우 수관부보다 10-20 m 상공에서 채식한다. 출산은 7-8월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분만 시기에는 암수 별거 생활을 하고, 집단으로 새끼를 키운다.
- Miniopterus fuscus Bonhote 작은긴날개박쥐
제주도에서만 1회 채집 기록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생태가 알려진 바가 없다. 긴날개박쥐와 형태가 비슷하나 그 크기가 훨씬 작다.
Genus Murina 관코박쥐속
몸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날개는 대단히 넓고 짧은 광단형이다. 콧구멍이 관 모양이고 좌우로 돌출되어 있다.
- Murina aurata ussurensis Ognev 작은관코박쥐(쇠뿔박쥐)
지리산에서만 2회 채집기록이 있어 조사자료가 거의 없고 개체수가 매우 적다. 고목의 공동에서 주로 서식하며 동굴성은 아니다.
- Murina leucogaster intermedia Mori 금강산관코박쥐(뿔박쥐)
태백산 줄기에 주로 서식하지만 드물게 발견되며, 그 수가 매우 적다. 생태와 지역 분포가 명확하게 보고되지 않은 종이다. 7-8월에 한
마리의 새끼를 출산하며 동굴, 폐광, 바위틈이나 좁은 구멍에 산다. 관박쥐와는 같은 지역에 서식하지 않는 것같다.
- Mueina leucogaster hilgendorf Peters (토끼털)관코박쥐(토끼털뿔박쥐)
전국적 분포를 보이며 충북 점말동굴에서 화석으로 많은 뼈가 발견되기도 했다. 주로 동굴에서 생활하며 동면시에는 한 마리씩 떨어져
동면하며 비교적 동굴 입구에서 발견된다. 출산은 7-8월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최근에는 멸종의 우려가 되는 희귀종이다.
- Murina leucogaster ognevi 북관코박쥐 - 확인필요
Family Molossidae 큰귀박쥐과
전세계적으로 12속 80종이 열대에서 온대지방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고, 우리나라에는 1종이 알려져 있다. 날개는 매우 좁고 길은 협장형으로 어깨뼈와 위팔뼈 사이의 관절이 이중관절도 되어 있다.
Genus Tadarida 큰귀박쥐속
몸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날개는 대단히 길다.
- Tadarida teniotis insignis Blyth (북방)큰귀박쥐
우리나라 북부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을 뿐 관찰되지는 않아 생태에 관해서도 알려진 바 없다. 높은 하늘을 고속으로 배행하며, 지상에서는 꼬리막을 수축시켜 쥐처럼 긴 꼬리를 끌면서 빨리 달린다고 한다.
더 자세한 내용과 사진은 '박쥐종류' 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한국동굴생태환경연구소 강문식연구원의 도움글을 인용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