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salvationarmy.or.kr/ 1865년 월리암 뿌드(William Booth)에 의하여 영국 런던에서 창립된 기독교의 한교파이다. 구세군은 기독신앙의 전통을 따르는 교리를 가지며 신앙신조는 하나님의 인간구원의 목적을 위해 복음을 증거하며 인류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한 선도와 교육, 가난의 구제, 그리고 기타 자선 및 사회사업 통해 전인적 구원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일하는 기독교 단체이다. 처음에 기독교 전도회(Christian Mission)라 불렀으나 그후 1878년에 그 명칭을 구세군(The Salvation Army)이라 개칭하고 그 조직을 군대식으로 만들어 윌리암 뿌드가 초대대장이 되었다. 그 조직의 특색은 1)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고 2) 복음으로 일치와 조화를 유지하며 3) 모든사람에게 동일한 기회를 준다. 그리고 구세군의 신조를 상징하는 군기와 구세군의 사명을 나타내는 군복과 계급을 가졌다. 구세군의 창립목적은 하나님을 믿고 예수 그리스도를 개인의 구세주로 고백하고 이웃을 사랑하고 섬기는 사람들로 조직되어 구원의 소식을 모든 사람들에게 보다 더 열정적으로 전할 뿐아니라 사회악에 도전하는 공격적인 방법으로 선교활동을 전개한다. 그 방법으로 구령사업과 사회사업 및 교육사업으로 인간의 인격을 개발하여 인간다운 삶을 살도록 한다. [ 구세군 조직 ] 목회자는 "사관"이라 통칭하며 근무연한에 따라 계급이 달라지게 되며, 평신도는 "병사"라 통칭하고 있다. 사관은 구세군에서 운영하는 신학교인 구세군 사관학교를 나와야만 사관이 되며, 처음 사관으로 임관되었을 때의 계급을 "정위"라 하며, "정위"로 부터 15년이 지나면 참령이 된다. 참령 이후부터는 특별한 직책이 주어졌을 때 "부정령", "정령", "부장", "대장"의 계급으로 진급하게 된다. 이상은 계급으로 나눈 것이고, 한국군국 (한 나라 또는 선교지역에 따라 나누어 놓은 구역)을 대표하는 사관을 "사령관", 전세계 구세군을 대표하는 사관을 "대장"이라 칭한다. [ 선교사업 ] 전국적으로 9개 지방, 230개 영문(교회)이 있는데 서울지방, 남서울지방, 충서지방, 충청지방, 충북지방, 경남지방, 경북지방, 서해지방 그리고 전라지방으로 나누어졌으며, 지방에는 지방장관이 있고 그 지방에 많은 영문들이 있으며, 영문(교회)에서는 담임사관이 목회를 한다. [ 사회사업 ] * 기아 미아, 결손가정 아동을 위한 육아시설(4세-18세) * 주,야간 고등기술학교, 직업훈련원 및 구세군사관학교 * 영세민 자녀를 위한 탁아교육 시설및 청소년 공부방 * 종합복지관 사업 * 기아, 미아, 청소년선도, 부녀자상담 및 노숙자 급식을 위한 상담소 사업 * 무의탁 노인 및 불우노인을 위한 양로원,요양원,거택노인 사업 * 미혼모, 윤락여성, 기타 영세민 여성을 위한 보호시설 직업보도원 * 무의촌 의료지원 및 산간벽지 약품 지원사업 * 긴급재난 구호사업 * 불우 청소년 및 소년소녀 가장 장학사업 * 심장병 환자 수술 지원사업 * 알콜, 마약 중독자 상담 및 지원사업 * 장애인 지원사업 |
출처 :재쓰의 카페~ 원문보기▶ 글쓴이 : 재쓰
구세군 대한본영이 올해로 100주년을 맞았다.
1908년 10월 영국 선교사 로버트 허가드(Robert Hoggard·한국명 허가두) 사관 일행이 서울에 본영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사회복지사업과 선교에 힘쓴 구세군 대한본영은 선교 1세기 만에 전국 240개 영문(교회)과 719명의 성직자, 10만여명의 성도를 가진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구세군으로 성장했다. '자선냄비'로 잘 알려진 구세군 대한본영의 어제와 오늘을 들여다봤다.
◇초기 사역=구세군 대한본영의 역사는 구세군 창립자인 윌리엄 부스 대장이 1908년 7월 구세군 창립 43주년 대회에서 허가두 사관을 한국구세군의 개척 사관으로 임명하면서 시작됐다. 1908년 10월1일 한국에 첫발을 내디딘 허가두 사관은 평동 76번지(현 강북삼성병원 자리)에 자리를 잡고 사역을 펼쳐나갔다. 첫 예배는 10월12일 허가두 사관의 사택에서 70여명이 모인 가운데 드려졌다. 이후 구세군 사관학교의 전신인 성경대학(1910년)이 개설됐고 육아사업(1916년), 서울후생원 설립(1918년) 등 교육과 선교 사회사업이 함께 추진됐다. '자선냄비'는 28년 도입됐다. 성탄절을 앞두고 거리마다 성직자들은 모금에 앞장섰다. 30년에는 가정단(여전도회)이 조직돼 사회사업과 복음 사역이 더욱 활성화됐다. 38년 충북 영동에 세운 구세군병원은 농촌지역 의료보건사업의 모델로 주목받았다.
◇시련의 세월=초기의 활발한 사역은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면서 크게 위축됐다. 40년 11월9일 구세군의 이름은 구세단으로 변경됐다. 구세단은 국제본영과 단절된 상태에서 모든 활동을 중단해야 했다. 사관학교도 폐쇄됐고 구세신문도 폐간됐다. 광복 후 6·25전쟁 기간에 노영수 사관을 비롯해 수많은 사람이 순교당했고, 로드 부장과 17명의 후생학원 악대원들이 납북되는 아픔을 겪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곳곳에 남겨진 고통과 아픔의 흔적들은 구세군의 사역이 됐다. 대한본영은 해외 구세군의 도움을 받아 본격적인 난민 구제사업을 시작했다. 54년 서대문 무료 급식소를 시작으로 56년에는 마포, 돈암, 영등포, 북아현동에 무료 급식소를 열었고 거리 곳곳에서 4개월간 가두 급식을 실시했다.
◇복합 선교 본격화=70년대는 최초의 한국인 사령관인 전용섭 사령관이 취임하고 한국 실정에 맞는 토착적 선교 정책이 추진된 시기다. 1980년대는 지역 사회의 종합적 복지 지원을 위해 복지관이 개관됐으며, 교회마다 자선위문단이 창단돼 지역사회의 소외된 이웃들에 대한 봉사가 확대됐다. 교회 안에서 선교와 복지사업이 지역적 특성에 맞게 이뤄지는 '복합 선교(Integrated Mission)'가 시작됐다.
자선냄비 활동은 봉사활동과 기부 문화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구세군은 에이즈 예방사업, 국내외 심장병 어린이 수술사업, 노숙인·실직자 재활사업, 재활용사업, 외국인근로자 지원사업 등 사회의 필요를 채워가며 100년의 역사를 향해 달려왔다. 현재 9개 지방과 사회복지부에서 운영 중인 사회복지시설은 어린이집 22개(다문화시설 포함), 노인복지시설 17개, 지역복지관 10개, 성인 자활시설 및 푸드뱅크 8개 등 총 121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