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과 연계한 서·논술형 평가
구본희 선생님 2024.06.22. 경북외고
www.joinpd.com
구글슬라이드
패어덱
교사
▣ 나의 행동과 말을 돌아봐야 합니다.
▣ 나의 행동과 말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늘 고민해야 합니다.
목표
▣ 교사가 원하는 목표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학생들에게 무엇을 주려고 하는가?’에 대한 고민
▣ 수업 시간은 우리 모두가 성장하는 시간이다.
▣ ‘학생들이 발표를 잘 하도록 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1년 전체 과정에서 이러한 목표가 달성되면 좋겠습니다. 그렇다면 성취기준이 반복되면 좋겠습니다.
성취 기준
▣ 우리가 도달해야할 최소 기준입니다.
▣ 성취 기준은 ‘건축 법규’입니다. 지켜야 할 미니멈입니다. 그리고 내가 추구해야할 가치를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보편적 학습 설계
▣ 유니버셜 디자인 for learning (UDL)
▣ https://archigov19.tistory.com/357
▣ 특수교육에서 시작하였습니다.
▣ CAST
▣ 동기·참여/표상/표현
▣ 동기·참여는 프로젝트 수업이 좋은 것 같습니다.
▣ 동기는 학생들이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것입니다.
▣ 어떻게 저 친구가 수업에 들어오게 할 수 있을까?
▣ 개별화 수업에서 보편적 학습으로 관심이 이동했습니다.
▣ 처음에는 반으로 보이다가 한 명 한 명으로 보게 되었습니다.
▣ ‘저 학생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 ‘내가 무엇을 바꾸어야 될까?’ -> 선택권에서 그 학생이 관심을 가지는 것을 제공합니다.
국어
▣ 기능교과: ‘말하기’는 무조건 말하기여야 합니다.
▣ 기능교과이므로 콘텐츠를 우리가 정할 수 있습니다.
▣ 콘텐츠: ‘문학, 문법’에서는 표현의 선택권을 다양하게 줄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반어, 역설, 풍자’를 강의식으로 가르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얘들아 우리가 동네에 나갈 거야. 그리고 가게 주인을 만날 거야. 가게의 사물이 되어 사물의 입장에서 시를 쓸 거야. 그리고 그 시 안에 ‘반어, 풍자, 역설’을 넣을 거야. 그리고 지필 평가의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반어, 역설, 풍자’를 아는 것을 평가하였습니다.
▣ 국어는 기능교과이므로 내용 교과와 연결하기 좋습니다. 국어 교과는 보고서 쓰기를 잘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책 읽기를 할 때 국어 & 사회 교과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 선택
▣ 학생에게 선택권을 주면 학생들이 좋아합니다.
루브릭(학습자의 학습 결과물이나 성취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사전에 공유된 기준)
▣ 신뢰성이 확보가 됩니다. 루브릭을 통해 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 학생들과 계속 소통하면 좋습니다.
▣ 학생들이 기준을 가지고 실습해봅니다. 자신의 결과물을 기준으로 스스로 해봅니다.
▣ 채점 기준이 정교해야 합니다.
▣ 양과 질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 맞춤법으로 평가를 하고 싶다면 항목을 따로 잡으면 좋습니다. 감점 시스템은 교사가 임의로 평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제재 선정
▣ 꼭 필요한 작품을 다루는 것
▣ 기본이 되는 텍스트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 묻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에 방해받지 않는 문학 작품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너무 어려워서 접근할 수 없는 작품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가 전
▣ 학생들과 계속 소통하면 좋습니다.
▣ 평가 전 학생들과 계속 연습하면 좋습니다. 채점 기준을 연습하면 좋습니다.
평가
▣ 점수는 성취기준에 대한 도달 여부를 의미합니다.
▣ 등급은 점수의 스펙트럼이 넓으니 그룹핑을 한 것입니다.
▣ 수업 시간에 계속한 것이 평가에 나오면 학생들은 뭐라도 쓸 수 있습니다. 수업을 어떻게 하느냐가 학습 수준이 낮은 학생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익숙하지 않아서 스트레스 지수가 높을 수 있습니다. 형식 및 조건에 맞게 쓰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 열어 놓는 문항: 채점의 자유도가 높습니다.
평가 후
▣ 함께 돌아봅니다.
▣ 정답과 해설에 대해 모둠으로 함께 써보게 합니다.
▣ 답안지를 함께 보면서 점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합니다.
피드백(구글 문서)
▣ 속도가 빠르고 생각의 전환이 빠르게 됩니다.
▣ 작동하는 피드백이 피드백이라 생각합니다. 내가 하는 말을 학생이 이해한 대로 적어라.
▣ 1:1 컨퍼런스
▣ 매시간 1번씩은 피드백하려고 합니다.
변별
▣ 5단계 정도로 나누면 자연스럽게 됩니다.
구본희 선생님
▣ 선생님들의 질문과 이에 대한 대답으로 강의를 풀어가시는 과정
▣ 한 사람 한 사람의 질문에 대해 충분한 답을 해주시는 과정
▣ 선생님의 살아오신 이력
구본희 선생님
▣ 시가 있는 우리 동네 가게
의도: 학생들 삶의 맥락, 특히 사는 지역과 연결하여 동네 어르신들과 관계를 맺게 되면 좋겠다.
실제: 동네 가게를 학생들이 방문하게 해야겠다.
의도: 관점, 창의성, 표현에 중점을 두고 싶었습니다.
▣ 창의성이 있는 교사여야 학생들도 창의성이 있습니다.
2022 교육과정 개정 방향
▣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교육의 강조점
▣ 깊이 있는 학습
- 삶과 연계한 학습
- 학습 과정에 대한 성찰(학생 스스로 자신이 어떻게 배우고 문제를 해결하는지 학습의 과정을 되돌아봄)
- 교과 간 연계와 통합
2022 개정 교육과정 각론
핵심 아이디어(빅 아이디어)
▣ 일반화, 깊이 있는 학습, 초점
▣ 영속적 이해(폭넓은 이해)
▣ 개념적 이해(컨셉트, 추상적, 파급 효과가 큼)
▣ 일반화: 개념과 개념 사이의 연결
▣ 성취기준: 2차원(사실+기능, [예] 기술의 변화를 비교한다.)
▣ 3차원적 교육과정: 더 깊이 있는 이해(사실+기능+[개념/일반화/원리])
[예] 기술의 발전이 사회의 사회 경제적 생활양식을 변화시킨다는 점을 이해하기 위해 기술의 변화를 비교한다.
개념기반교육과정
목표
▣ 매시간 배운 점/느낀 점/ 궁금한 점을 스스로 쓰게 합니다.
▣ 개념적 렌드
가르치는 단원 | 개념적 렌즈1 | 단원 내용1 | 개념적 렌즈2 | 단원 내용2 |
문학에서 말하는 이 | 관점 | 관점에 따라 작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 장르 | 시, 소설 등 장르에 따라 말하는 이가 어떻게 다른지 |
이해중심교육과정
동네 인터뷰
▣ 질문하기(후속 질문하기까지)
역행 설계(백워드 디자인)
▣ 1단계: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성취기준을 방향으로 단원 목표 설정하기) -> 2단계: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학생들이 학습한 결과를 알아볼 수 있는 평가 계획 세우고 수행과제 개발하기) -> 3단계: 학습 경험 계획하기(학생의 활동을 선정, 조직하기)
서논술형 평가란?
▣ 평가자가 서술형이나 논술형 문항을 활용하여 학생이 구성 또는 서술한 내용에 대한 전문적이고 평가적인 판단을 내리는 방식을 총칭한다.(김경희 2020)
▣ 학생들이 깊이 있는 사고를 할 수 있습니다.
▣ 쓰기(인출 활동)를 통한 수업
학습 목표에 따른 평가 방법의 적절성
▣ 지식, 단순 이해: 선택형, 단순구성형 ▣ 심층이해, 추론: 서논술형
▣ 기능: 수행평가 ▣ 결과물: 수행평가 ▣ 정서/기질: 학생 자기평가
▣ 내가 무엇을 보고 싶은가?
좋은 문항이란?
▣ 성취기준에 맞추어 오류없이 정확한 의사소통이 되도록 제시된 문장
▣ 일상 생활과 유기적으로 연관된 문항
루브릭 종류
▣ 분석적 루브릭:
▣ 총체적 루브릭: 최종 점수만 필요할 때
▣ 일반적 루브릭
[배운점]
[느낀점] 저(교사)의 말과 행동을 늘 돌아봐야겠습니다.
[궁금한 점]
추천
▣ 교실 평가의 원리와 실제(존 맥밀란,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