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익스피어 비극 -오델로-
(대략 줄거리)
베니스 시내. 고관인 브란반쇼의 외동딸 데즈데모나를 차지하고
싶어하는 로다리고와 오델로가 지휘관에 임명된 것을 시기하는
이아고는 오델로를 없앨 계획을 세운다.
오델로의 결혼 및 전승 축하의 밤에 부관인 캐시오는
이아고의 권고로 마실 줄 모르는 술을 마시고 칼을 휘두르는
사태를 일으키게 되었다.
그 자리에서 신분을 박탈당한 캐시오에게 이아고는
데즈데모나에게 간청하라고 이르고 두 사람이 만나는 것을 본
오델로는 의혹과 질투를 갖게 된다.
이아고는 데즈데모나의 손수건을 캐시오의 방에 감추고
오델로에게 이를 보여주자,
오델로는 이아고에게 캐시오를 살해하라고 명하고,
자기는 아내를 살해하기로 결심한다.
로다리고를 충동해 캐시오를 살해하려 하던 이아고의 음모는
밝혀지지만, 오델로는 그것을 모른 채 아내를 살해하고 만다.
뒤 늦게야 모든 사실을 알게 된 오델로는 자신의 잘못을 탓하며
자살한다.
Trifles light as air are to the jealous proofs as strong as holy writ.
질투심이 강한 사람에게는 공기처럼 가벼운 사소한 일도 성서처럼
확고한 증거가 된다.
Trifles light as air는 主部(주부), are는 述部(술부) 동사.
trifle=unimportant thing=사소한 일, 하찮은 일.
to the jealous : 질투심이 강한 사람들에게는, = 부사구
( the + jealous 즉 the+형용사=복수명사) as + 원급 + as =~만큼,
holy writ :성스러운 문서, writ : 문서 서류
A handkerchief of his wife's see in Cassio's hand,
카시오의 손에서 본 그의 아내의 손수건은
A handkerchief of his wife's (which was)see in Cassio's hand, =(관계대명사+be 동사) 생략,
이 부분이 주어부(主語部) 아래 was가 술부 동사.
A handkerchief of his wife's식으로 부정관사(=a)와 소유격(his wife`s)이 같은 명사 앞에 동시에
붙일 수 없으므로 소유격을 후치시킨다. ex) a friend of his wife`s=그의 아내의 친구
was motive enough to the deluded Othello
to pass sentence of death upon them both, without once
inquiring how Cassio came by it.
속고 있는 오델로에게는 어떻게 해서 카시오가 그 손수건을 얻게 되었
느냐를 단 한 번도 물어보지 않고 그들 두 사람(카시오와 데즈데모나)
에 사형선고를 내릴 만큼 충분한 동기가 되었다.
motive : 동기. to the deluded Othello : 기만당한 오델로에게는. delude : 속이다.
to pass는 enough에 연결되는 부정사이다.
pass (or pronounce) sentence (of death) upon a person : 누구에게 (사형)을 선고하다
sentence : 선고, 판결. 선고하다.
inquiry : 물어 봄, 취조. 연구. come by : ~을 수중에 넣다(=obtain)
오델로에서 셰익스피어는 이아고라는 독특한 인물을 창조해
내었는데, 극 속에서 그가 보여주는 교활함과 사악함 때문에
많은 비평가들은 그를 <악의 화신>으로 평가해 왔지요.
그가 극 속에서 갖는 극적 기능은 그를 단순한 악의 화신을 넘어서서,
오히려 사회 속에 존재하는 혼돈과 갈등의 극적 구현으로
평가케 합니다.
이아고는 그는 전통적인 사회질서를 거부하고,
자기 개인의 감정과 성공을 위해 타인을 파멸시키고
불행에 몰아넣을 수 있는 인물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이아고의 개인주의는 전통적인 질서를 신봉하는
다른 인물들에게 전염되어, 그들 내부에 숨어있는 야누스(1적인
모순을 끌어내어 스스로 자신들을 파멸케 합니다.
셰익스피어는 전통질서를 무시하고 자신의 성공과 이익만을
추구하는 당시의 개인주의로 인해 초래되는 왜곡된 인간관계들을
그림으로써, 개인과 사회에 대한 비판적 통찰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셰익스피어는 오델로의 고귀함이나 잔인함 중에 어느 한 가지만
강조하지 않지요.
그는 오델로의 양면성을 동시에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델로의 사랑에 관해서도,
오델로의 사랑이 진실한 것인지 아닌지 말할 순 없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그의 사랑이 보여주는 잔인한 측면입니다.
질투에서 비롯되는 격정을 통해 오델로는 극 초반의 고상하고
점잖은 모습과는 완전히 모순되는
비이성적인 모습을 드러내지요.
(1 로마 신화에서, 사물의 처음과 끝을 맡은 문이나 어귀의 수호신으로 머리의 앞뒤에 두 얼굴을 가진 신.
이 작품에서 이아고의 자기중심적인 악행은 전체 사회에 대한 혐오감
을 반영하는 극적 수단이 됩니다.
그리고 이 사회에서는 모든 왜곡된 인간관계들이
고귀한 인물들과 악인을 포함하는 모든 개인들의 비극적 파멸을
초래하는 것입니다.
이 작품에서 가장 빛나는 것은 바로 데즈데모나의 사랑이 아닐까요?
그녀는 남편의 오해로 인한 냉대에도
그를 사랑하는 마음이 변치 않는 모습을 보이지요.
그런 그녀의 모습에서 요즘의 인스턴트식 사랑과는
다른 모습을 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