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독특하게도 서문을 통해 저자인 오스카 와일드가 예술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고 있는데 서문에서 그는 선도 악도 예술가에 있어서는 하나의 소재에 불과하다는 예술의 비도덕성과 무익성등을 말하면서 예술지상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이러한 서문의 내용은 이 책에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을 말하고 있음과 동시에 하나의 완벽한 예술작품은 그 시대의 도덕성에 어긋난다고 하더라도 그 자체로 훌륭한 예술작품으로 존재가치가 있다는 저자가 자신의 작품에 대한 일종의 방어 막을 형성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는 자유분방하며 세련되고 기교적이며 달변가인 헨리경의 잘못된 사조에 물든 순진한 한 청년이 타락해가는 과정을 묘사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면서 괴테의 파우스트와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저자가 "베질 홀워드는 내가 생각하는 나이고, 헨리 경은 세상 사람들이 바라보는 나이고, 도리안은 아마도 다른 시대에서 내가 되고픈 사람이다." 라고 말한 것을 들은바가 있지만 다시 한번 생각해보면 더없이 아름다운 청년 도리안은 저자가 되고픈 사람이 아닌 저자의 소설을 읽고 혹평하거나 (저자자신이 생각하는 의도를)잘못 이해하는 독자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화가인 베질은 도리안의 모습을 보고 자신의 내면에 있는 새로운 예술적 영감을 끌어내어 자신의 창작활동에 새로운 활력을 얻게 될 정도로 도리안은 매력적인 청년이었지만 그는 미처 자신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 하지만 홀워드의 집에서 헨리경을 만나고 산책로에서 그의 말에 감화된 후 홀워드가 그린 자신의 초상화를 보고는 비로소 자신의 아름다움에 눈뜨게 되는데 그것은 단지 자신의 아름다움에 대한 새로운 인식뿐만 아니라 아름다움 즉 미에 대한 새로운 의식이 싹튼 것임을 알 수 있다. 도리안은 이후 젊은 여배우인 시빌을 만나 사랑하게 되지만 헨리와 홀워드와 함께 참석한 연극에서의 실망스러운 줄리엣 연기로 인해 그녀를 버리게 되는데 도리안은 그녀 자체가 아닌 그녀가 표현하는 예술적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을 그녀 자체에 대한 사랑으로 착각하는 실수를 한 것이고 이 실수로 인해 결국 그녀를 죽음으로 몰고 가게 된다.
시빌의 죽음이후 도리안은 자신의 초상화가 추악하게 변한 것을 알게 되는데 그 일그러진 초상화는 헨리의 방문이후 사라진 것 같이 보이던 그의 내적 도덕성이 그림을 통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조금은 억지스러운 주장일수도 있지만 도리안은 예술을 그 자체로 보지 못하고 무언가를 통해서 바라보는데 그는 처음 시빌의 연기를 통해 예술을 바라보게 되었다가 그녀의 죽음 이후 초상화를 그림 자체로 보지 못하고 자신의 도덕성이 반영된 시각으로 바라보게 된 것이다. 이는 앞서 저자가 말하고 있는 예술 자체로서의 예술에 대한 시각과 반대되는 행동인데 도리안은 자신의 아름다운 모습으로의 삶을 계속 영위해 가면 갈수록 자신의 초상화는 계속해서 나이 먹고 추하게 변하게 변해가는 자신의 초상화에 참지 못하고 결국 화가엔 홀워드를 살해하게 되는데 그의 화가살해는 자신의 내적 판단에 의한 비평의 잣대에 의해 위배되거나 혹은 함량 미달이라 생각된 예술가를 향한 혹독하고 잘못된 비평의 은유적 표현이라 생각된다. 홀워드의 살해 이후 도리안은 자신의 초상화에 칼을 찌름으로써 결국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인 오스카 와일드가 의도하는 바를 나름대로 살펴보고 어느 정도 공감을 하기도 하였지만 하나의 예술작품을 접하게 되었을 때 과연 아름다움을 아름다움 자체로 느낄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한 예술작품의 아름다움은 물론 그 자체로 아름답지만 그것을 받아들이고 느끼는 감상자의 입장에선 가다머의 지평론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개개인의 선입견 이라는 것이 분명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감상자는 자신이 그동안 살아온 삶과 교육과 그리고 개인 특유의 성격을 기반으로 사물을 이해하는 것인데 개개인의 그러한 복합적인 특성을 배제하고 그 작품 자체를 평가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저자의 말대로 하나의 완성된 예술작품은 그 자체로 인정받을 수 있지만 모든 사람이 다 그러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앞서 말한바와 같이 모두 자신의 특성에 의해 받아들이고 수용하기 때문에 한 예로 폭력적인 영화를 보고 그것을 따라하는 것과 같은 잘못된 해석이 반드시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예술작품의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이것은 조금 아이러니한데 주인공 도리안은 저자의 화신이라고 할 수 있는 헨리경의 자기 개발적인 쾌락주의를 잘못 받아들여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