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문자 [Egyptian script]
서체에 따라 ① 신성문자(神聖文字:히에로글리프), ② 신관문자(神官文字:히에라틱), ③ 민중문자(民衆文字:데모틱)의 3종으로 분류된다. 이것은 한자의 해서체 ·행서체 ·초서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신성문자는 상형문자이며 고대 이집트의 전 기간을 통하여 사용되었다. 주로 신전의 기둥이나 벽면, 오벨리스크 등에 음각하였으며 왕의 기념물이나 종교관계 서적 등에 사용하였다. 채색된 것도 많으며 예술적으로도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신관문자는 신성문자의 윤곽을 흐트려서 주로 파피루스 등에 흘려 쓰는 데 사용하였다. 민중문자는 BC 8세기 이후 일반인이 일상생활에 사용한 것이다.
이들 문자는 대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향해 가로쓰기한다. 세로로 쓸 경우도 오른쪽에서부터 읽는다. 왕명(王名)은 카르투슈라고 부르는 액자 속에 써 넣었다.
이집트문자는 회화문자에서 발달한 것이며 원래 그 문자가 표시하는 대상물을 의미하는 표의문자였다. 그것이 후에 음만을 표시하는 표음문자가 되었다. 표음문자에는 둘 이상의 음을 가지는 음절과 일자일음의 알파벳이 있다. 이집트문자에는 모음 기호가 없으므로 어떻게 읽었는지 전혀 알 수 없다.
이집트 상형문자 읽기
자료제공:세계인의 건강침대 유벤스 황토볼흙침대

건조한 기후를 갖고 있는 이집트에는 많은 파피루스와 그 밖의 유적들이 썩지 않고 잘 보존되어 있다. 이집트 인들은 죽음을 경외하였기 때문에 사후 세계를 위한 무덤을 건축하여 오랫동안 그 유물들을 보존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로 해서 이집트는 고대 역사 연구에 있어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는 장소가 되었다.
기원 전 3400년경 훨씬 이전에 이집트 인들은 망치와 끌을 사용하여 석재 건조물에다 글이나 그림을 새기고 조각하였다. 또한, 사금파리나 바위조각에 새기기도 하였다.

아래 그림은 상형문자로 나타낸 이집트 숫자이다.
1을 나타내는 숫자는 수직 막대기인데, 사실이 기호는 인류가 1 이라는 단위를 나타내기 위해 자연스럽게 상상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10을 나타내는 숫자는 말굽 형상과 비슷한 멍에인데, 이것은 열 개씩 한 묶음을 만들어 묶을 때 사용되는 노끈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100과 1000을 나타내는 숫자는 나선과 연꽃인데, 직접적으로 100이나 1000과는 그 의미가 무관하지만 나선과 연꽃을 나타내는 이집트 말이 각각 백과 천에 해당하는 소리와 일치했을 것이라고 추정되다.
10000을 나타내는 숫자는 손가락 하나가 비스듬히 쳐들린 형상인데, 이집트 인들이 고대부터 사용하였을 손가락 셈법의 잔존물로 보여진다.
100000을 나타내는 숫자는 올챙이인데, 이것은 나일강의 개구리의 떼의 울음소리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1000000을 나타내는 숫자는 엄청난 크기에 놀라는 사람의 모습인데, 이 그림은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면서 그 엄청난 수에 놀란 사람을 나타낸 것이라고 추정된다.
이집트의 수체계는 십진법에 기초하여 위의 기호들을 반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1436은 아래 그림과 같이 표현한다.

1436=1(103)+4(102)+3(10)+6
한편, 이집트 인들은 수를 나타낼 때, 오늘날의 우리와는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썼다.
<<문제>>2,010,405를 이집트의 상형문자로 나타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