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여년동안 몽고에게 조공을 바쳐왔던 러시아가 강대해지자 몽고를 거쳐 남진하게 되고, 이때 러시아와 청조는 몽고를 완충경계 지역으로 삼게되는데 청(淸)조가 망하고 중화민국이 수립되는 과정에서 외몽고 지역의 몽고인들은 독립을 선언하고 내몽고 지역까지도 병합, 하나의 몽고제국을 재건하려 했으나 결국 중국과 러시아의 압력으로 좌절. 그후 1917년 러시아의 볼세비키혁명이 성공한 뒤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외몽고는 독립권 확보를 위해 중국과 러시아의 지원을 받고 있는 몽고의 활불 정부와의 싸움에서 승리하고 독립을 하게되는데 이렇게 됨으로 반쪽의 독립국가가 성립하는 과정에 내몽고와 외몽고로 분리되었다. |
지형/지리/토지
북동에서 남동으로 길게 가로놓여 있어, 동에서 남으로 지린(吉林), 랴오닝(遼寧), 허베이(河北), 산시(山西), 산시(陝西) 등의 여러 성 및 닝샤후이족(寧夏回族)자치구와 접경하고, 북에서 서쪽으로는 외몽골과 국경을 접함. 大興安嶺산맥은 북동부에서 남서방향으로 뻗어 있고, 황허강(黃河)북부에는 陰山산맥이 동서방향으로 뻗어 있음. 大興安嶺산맥 서쪽 및 陰山산맥 북쪽 지역은 해발고도 1,000m 내외의 고원지대로, 강수량이 적어 고비사막에 속하는 사막과 초원이 펼쳐짐. 인산산맥 남쪽기슭에는 황허강의 북안을 따라 비옥하고 수리가 좋은 허타오(河陰) 평원이 해발고도 900~1,000m의 고원지대에 펼쳐지고, 그 동쪽은 분지와 구릉의 황토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
내몽고자치구의 기후
동쪽에서 서쪽으로 온대기후부터 내륙성기후까지 나타나는 특징이 있으며 동쪽은 습기가 많은 지대인 반면, 서쪽은 반건조지대이고, 일교차가 상당히 큼. 내몽고자치구는 일년의 반은 겨울 한파가 몰아치며, 건조하고 추운 기후이고, 일년의 반은 여름으로 6월부터 9월까지 비가 내리는 습하고 따뜻한 기후. 1월의 평균 기온은 영하 30℃∼-10℃, 7월 평균기온은 영상 19℃∼26℃, 점차적으로 동북쪽에서 부터 서남쪽으로 따뜻해 짐. 년 강수량은 50 ∼ 450mm (다싱안링산맥 서쪽과 인산산맥 북쪽 300mm 미만인 산 산맥 남쪽기슭 400∼500mm), 강수량은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연강수량의 70%이상이 여름에 집중. |
자원
광물 광산자원이 매우 풍부함(이미 확인된것이 6000여곳, 발굴된 광물이 71 종, 현재 이미 채굴을 시작한 곳이 600개임) 니오브, 지르코늄, 베릴륨 등 귀중금속과 硫鐵은 전국 제1위, 크롬, 납이 제2위, 아연이 제3위, 이미 확인된 희토매장량은 전국 매장량의 90%이상이며 , 세계 희토매장량의 85%임. 제2차 세계대전 후인산산맥 북쪽 기슭의 바이윈어보(白雲鄂搏) 등지의 철광석, 남쪽 기슭의 스과이거우(石拐溝) 및 서부의 우다(烏達) 등지의 석탄, 네이멍구, 오르도스 두 고원의 나트륨, 소금 외에 운모, 석면 등 풍부한 광산자원이 개발되어 자치구 공업이 크게 변모 되었음. 공업 종래의 공업은 모직물, 양탄자, 피혁제품 등 축산가공업이 중심이었으나, 최근 풍부한 지하자원을 바탕으로 바오터우(包頭)에 중공업이 발달하였으며, 안산(按山), 우한(武漢) 등지와 더불어 3대 중공업기지의 하나. 그밖에 우다(烏達), 하이보완(海渤灣) 등지도 신흥 공업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
자치구내의 종교 분포
초기에는 샤머니즘을 숭배. 징기스칸이 샤머니즘을 반대하고 다른 종교를 존중하게 되자, 이슬람교와 기독교가 들어옴. 16세기에 들어서면서 라마교를 신봉하게 되었고, 18세기의 청조 통치자들은 몽고 지역에 라마교를 제창할 뿐 아니라 그 영향을 확대시킴. 그것은 몽고족의 인구 성장의 속도를 감소시키는데 주요한 영향을 끼침. 중국정부 아래 소속된 내몽고 자치구의 경우 아직도 라마불교의 영향을 많이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최근들어 일반 기독교인들이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 하지만 아직도 종교모임을 포함한 단체행동에 대한 공안당국의 경계가 심한 편이고, 99년에 발생한 법륜공 조직에 의한 집단행동 표출 이후 종교에 대한 관리감독이 정부기관인 종교국을 통해 더욱 심해지고 있음. |
전반적인 인프라 현황
교통 징바오철도(北京∼包頭), 바오란철도(包頭∼蘭州) 및 지닝(集寧)에서 얼례하오터(二連浩特)를 거쳐 몽골, 러시아로 통하는 지얼(集二)철도 등이 있고, 자동차 도로는 후허하오터, 바오터우, 지닝 등지를 중심으로 각지로 연결. 황허강(黃河)은 내륙수로의 중추. 내몽고 자치구의 성도인 후허후트에서부터 출발한 중국-몽골간의 국제열차는 중국과 몽골국의 접경지역인 알렌에서 기차바퀴교환식을 갖음. 이것은 중국과 몽골의 열차 레일 간격이 달라서 발생하는 문제이며, 시간은 보통 3∼4시간 정도 소요. 내몽고지역에서 초원으로 이동하려면 일반소형 버스를 타고 2∼3시간 정도 외곽지역으로 나가야 함. 呼和浩特, 包頭 등 10여개의 도시에 공항이 분포. 呼和浩特 공항에서는 북경, 상해, 광주, 심천 등 35개 국내선과 울란바트로 등 두개의 국제선이 개통되어 있음. 여객/화물운송 2000년 내몽고자치구의 화물운송량은 총 1,041.20억톤/㎞으로서, 그중 철도이용은 828.60억톤/㎞, 도로 211.80억톤/㎞, 항공 0.80억톤/㎞ 여객운송량은 총219.10억명/㎞, 그중 철도 92.30억억명/㎞, 도로 116.30억명/㎞, 항공 10.50억명/㎞ 통신,체신 통신, 체신관련 업무총량은 52.30억위엔으로 전화교환기 총용량은 254.30만대, 전화가입자수는 206.90만회원, 이동통신가입자는 115.37만명, 전화보급율은 백명당 13.7대, 인터넷 가입자수는 5.66만명에 달함(2000년 기준). 전력 매탄기지의 장점을 활용하여 90년대이래 전력공업의 지속적 발전으로 전력설비 총용량은 680만㎾, 년간 발전총량은 336억㎾/h, 현재 자치구내의 전력을 충족시키고 나머지는 북경과 동북으로 송전. 공업용 전력사용비용은 동부가 서부보다 조금 비싼 편이며 서부의 경우 0.34元/㎾ 이다. |
내몽고 지역별 산업의 특징
동부는 大興安嶺을 중심으로 하는 산림개발이 중점산업이고 , 서부는 包頭市를 중심으로 한 철강, 남부는 초원지대를 이용한 목축업 개발 등의 산업구조가 형성 . 주요 에너지 생산기지 임업은 내몽고의 핵심산업으로, 특히 大興安嶺 임업지역은 넓은 면적과 다양한 수종으로 유명. 공업 총생산액은 1995년 782억元으로 중국 전체의 0.9%에 불과. 주요 공업으로 철강, 식품, 전력, 기계, 방직, 석탄공업이 있고, 주요 공산품은 설탕, 목재, 석탄, 소금 등이 있다. 1995년 중앙정부는 내몽고를 주요 에너지 생산기지로 선정해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싱안링산맥 서쪽에서 인산산맥 북쪽에 걸친 네이멍구 고원 및 오르도스고원 북서부 등지의 초원지대를 중심으로 양, 소, 말, 낙타, 돼지 등의 사육이 활발하므로 네이멍구자치구는 중국의 주요 목축업 지역이 된다. 본래 유목으로 이루어지던 목축업이 오늘날에는 정착경영으로 바뀌었고, 특히 양털의 산출이 많다. 자치구 남동부의 허베이, 산시 양성의 경계부근에서 후허하오터고원에 걸친 지역과 황허강 북안의 허타오평원 및 오르도스고원 남동부는 주요 농업지역을 이루며, 조, 수수, 콩, 밀, 깨, 사탕무 등의 생산이 많다. 특히 남동부 지역과 허타오평원은 일찍부터 한족 농민이 이주하여 개발한 곳이며, 자치구 총면적의 20%에 불과한 그 지역에 총인구의 약 80%가 집중되어 있다. |
경제개발구
포두희토고신기술산업개발구(包頭稀土高新技術産業開發區) 만주리변경경제합작구(滿洲里邊境經濟合作區) 이련호특변경경제합작구(二連浩特邊境經濟合作區) 호화호특여의경제기술개발구(呼和浩特如意經濟技術開發區) 호화호특김천자원경제개발구(呼和浩特金川資源經濟開發區) |
오탑사
1732년에 건립된 건축물로 5개의 탑이 사원에 붙어 있다고 해서 오탑사라고 불리워 짐. 탑에 새겨진 문양들은 각각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코끼리상은 존귀함, 사자는 용맹, 물고기는 풍요를 의미하고 법륜은 끊임없이 흐르는 윤회를 상징.더욱이 이곳에 있는 천문도는 현존하는 것들 중 유일하게 각주된 형태를 지님으로 매우 가치있게 평가됨 |
![]() | |||
![]() |
![]() |
![]() |
![]() |
내몽고자치구의 볼거리
![]() |
![]() |
![]() |
성길사한릉 | 소군묘 | 오탑사 |
![]() |
![]() |
![]() |
조장성 | 휘등석륵초원 | 대소사 |
![]() |
![]() |
![]() |
석력도소 |
사리보탑 |
백탑 |
![]() |
![]() |
![]() |
합소해 | 청진대사 | 오당소 |
![]() |
![]() |
![]() |
향사만 | 격근탑랍초원 | 등격리사막 |
![]() |
![]() |
![]() |
연복사 | 흑성유지 | 계록새유지 |
![]() |
![]() |
![]() |
희랍목인초원 | 액제납기 | 복인사 |
![]() |
![]() |
![]() |
파단길림사막 | 새마장 | 타호석수고 |
![]() |
![]() |
![]() |
호륜호 | 석림곽륵하 | 극료륜하 |
![]() |
![]() |
![]() |
액제납하 | 이민하 | 기석림 |
![]() |
![]() |
![]() |
오량소해 | 오원서사대 | 아로하 |
내몽고의 자연경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얼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