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 질의서 답변
제목 : 우리말과 글에 대한 교육철학과 교육행정의 지침
하나,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한글 창제 정신을 교육정책의 지표로 삼는 데 동의하십니까?
<답변>
원칙적으로 동의합니다. 세종대왕의 독창적인 민족의식, 모든 국민의 의사소통, 백성을 사랑한 애민정신 등을 높이 평가합니다. 교육과정 편성지침과 학교 교육과정에 우리말과 글을 사랑하는 정신이 최우선 되도록 하겠습니다.
둘, 영어 몰입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반대합니다. 영어 과목 외에도 수학, 사회, 과학 등 전 과목을 영어로 가르치는 몰입 교육은 반대하지만, 사실상 영어가 세계 공용어로 인정되고 있는 현실에서 공교육을 통한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는 영어로 듣고, 말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키워 주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셋,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부분적 찬성입니다. 우리말과 글을 사랑하지만 한글만으로는 우리의 미래 어린이들이 세계로 나갈 수 없습니다.
한글의 정체성을 확립시키는 교육이 최우선되어야 하지만 한글과 한자교육은 병행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넷, 학교교육에서 우리말과 글의 구체적인 발전계획을 세우셨습니까?
교육의원으로 답변으로는 적절하지 못하지만, 다만 사견을 밝히자면,
1. 학교교육과정을 통해서 우리말과 글에 대한 정체성 확립 교육을 최우선으로 한다.
2. 세종대왕의 독창적인 민족의식, 모든 국민의 의사소통, 백성을 사랑한 애민정신 등을 통하여 한글의 정체성 교육과 민족 문화의 계기교육을 한다.
3. 모든 교과에서 한글의 올바른 이해와 표현, 어휘력을 신장시키는 교육을 한다.
다섯, 유성구에서 행정동을 “관평테크노동”으로 변경한 의견과 지역 문화와 역사, 정체성교육에 대한 신념.
원칙적으로는 반대다. 우리가 살아가는 지역사회의 지명, 민담, 전설, 야사 등은 민족의 역사와 정체성 교육에 훌륭한 교육 보조 재4라고 생각한다. 관련과목, 특별활동, 동아 등을 통해서 권장하고 강화하여야 된다.
첫댓글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