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합천비핵․평화대회」
명 칭 : 제13회「2024합천비핵‧평화대회」
주 제 :“평화의 울림, 맞잡은 손”
지원 근거
경상남도 사회단체보조금 지원조례 제13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상기 사업에 필요한 보조금 지원
사업목적 및 필요성
한국인 원폭피해자가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한국의 히로시마'라 불리는 합천에서 <제13회「2024합천비핵‧평화대회 Hapcheon Anti-Nuclear & Peace Festival 2024」>를 개최함으로써 한국인 원폭피해자 문제를 국내외에 알리고자 함.
2016년 `한국인원폭피해자지원특별법'이 제정되었지만 특별법에서 원폭피해자 정의에서 제외되어 있는 원폭피해자 2세 등 후손들을 포함시키고 합천에‘비핵평화공원’조성을 위한 특별법 개정안이 통과되도록 노력하고, 개정의 정당성과 의미를 시민사회에 홍보하고 공유하고자 함.
국내 원폭피해자 1세와 후손들이 겪고 있는 신체적․정신적 피해와 고통을 치유하는 원폭피해자종합케어서비스(심리치유서비스)사업 등 핵트라우마 완화와 건강지원 활동이 필요함을 알리고, 한반도의 비핵․평화가 곧 통일로 가는 길임을 인식하며 경남도에 거주하는 피폭자 및 시민사회단체의 비핵· 평화 의지를 모아 국내 연대활동을 강화함.
2012년부터 개최되었던 `합천비핵‧평화대회'를 매년 개최함으로써 한반도의 비핵‧평화의 실현을 위해 국제 연대활동을 지속시킴.
사업 개요
행 사 명 : 제13회「2024합천비핵·평화대회」
- 영문명“Hapcheon Anti-Nuclear & Peace Festival 2024”
주 제 :“평화의 울림, 맞잡은 손”
사업기간 : 2024년 6월 1일 ~ 9월 30일
사 업 비 : 총11,000천원(도비 보조금 9,800천원, 자부담 1,200천원)
행사일자 : 2024. 8. 5.(월)
장 소 :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강당,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로비
주 최 : 합천평화의집, 한국원폭피해자후손회
주 관 : 합천평화의집
후 원 : 경상남도
협력단체 : 사)한국원폭피해자협회 합천지부,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합천원폭자료관, 한국원폭2세환우회, 사)위드아시아,
한일(일한)반핵평화연대, 생명평화아시아.
참석대상 : 원폭 피해자 및 국내외 참여단체 및 시민
참석인원 : 국내외 200여명
주요내용
- 비핵‧평화 어울림 : `원폭피해자' 작품전, 도서전, 사진전, 평화 메시지
- 비핵‧평화 영화상영회
- 비핵‧평화 문화+이야기 한마당
일 정
일 자
시 간
프로그램
장 소
8. 5(월)
11:00~8. 6(화) 13:00
∘2024 비핵‧평화 어울림
- 원폭피해자 작품전, 사진전,
도서전, 비핵․평화 메시지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13:00~14:20
∘2024 비핵·평화 영화상영:
야만의 무기, 이강길 감독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강당
14:30~18:30
∘2024 비핵·평화 문화+이야기 한마당
1. 증언: 피폭(1세), 피폭(2세)
-울림과 국제 연대
1. 주제발제: 방미증언 성과와 국제연대, 향후 목표
1. 주제발제: ICAN 활동과 국제 연대, TPNW 가입촉구와 과제
1. 제언: 일본의 원폭문제를 포함한 역사인식 교육과 한일 교류
1-1. 세미공연:전기호 목사 가수
평화염원 시 낭송: 조선남
2-1. 세미공연: 김평부, 반송미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강당
세부프로그램
1) 비핵‧평화 어울림
▹ 일 시 : 2024. 8. 5(월) 11:00~ 6(화) 13:00
▹ 장 소 :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로비
▹ 내 용 : 원폭피해자 작품전, 도서전, 사진전, 비핵, 평화메시지 작성
- 원폭피해자 작품전(종합케어서비스 참여 원폭피해자1, 2세)
원폭피해자종합케어서비스를 받고 있는 원폭피해자들의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트라우마 완화와 심리적 영향이 미치는 변화과정에 대해 정서적 공감과 지지, 연대감을 고취하고자 함
- 원폭 도서전
원폭과 관련된 도서를 전시하여 원폭 피해 실상을 알리고 비핵·평화에 대해 공감할 수 있도록 인식을 높이고자 함
- 원폭 사진전
원폭과 관련된 사진을 통해 원폭피해 실상을 알리고 비핵, 평화에 대해 공감할 수 있도록 인식을 높이고자 함
- 평화 메시지 남기기
참석자들이 직접 평화메시지를 작성하여 피폭자 문제가 다시 없도록 세계와 한반도의 비핵, 평화의 염원과 의지를 남기고자 함.
2) 비핵‧평화 영화상영회
▹ 일 시 : 2024. 8. 5.(월) 12:30~14:25
▹ 장 소 :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강당
▹ 영 화 명 : 야만의 무기 (2010, 다큐멘터리, 이강길 감독)
3) 비핵‧평화 이야기+문화 한마당
▹ 일 시 : 2024. 8. 5.(월) 14:30~18:30
▹ 장 소 :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강당
▹ 사 회 : 이태재 박사(한국원폭피해자후손회 회장)
▹ 통 역 : 미야우치 아키오(한일반핵평화연대)
▹ 증언: 피폭(1세), 대를 잇는 고통(2세)
*1세: 박윤규(86세, 광주광역시 거주)
*2세: 문종주(70세, 합천 거주)
피폭당한 1세와 피폭당한 부모를 두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평생 대를 이은 질환으로 고통스럽게 살아가는 피폭 2세 환우의 애절한 삶의 이야기를 듣고 그 아픔을 공유하며, 법적, 제도적 지원책 마련과 지구촌에 더 이상 핵으로 인한 피해자가 없어야 함을 자각하고 핵없는 사회, 비핵평화를 위한 실천적 인식의 제고.
- 울림과 국제연대
▹ 토론 및 세미공연
1.원폭피해자 방미증언 성과와 국제연대, 향후 목표
-. 주제 발제: 이대수(아시아평화시민넷 대표)
1-1. 세미공연: 핵 피해자들을 위로하며 지구촌과 한반도에 비핵평화가
실현되기를 소망하면서 주제 발표 사이에 작은 공연을 진행. 비핵평화의
울림을 우리 사회에 전함.
-. 평화를 노래하다: 전기호, 목사 가수(한일반핵평화연대 대표)
-. 비핵평화 염원 시 낭송: 조선남, 시인 목수(1989년 제1회 전태일 문학상 수상)
2. ICAN 활동과 국제 연대, TPNW 가입촉구와 과제
-. 주제 발제: 베네틱 카부아 메디슨 Benetick kabua Maddison
(Marshallese Educational lnitiative)
-. 토 론: 이승무 박사(한일반핵평화연대 사무국장)
조은숙 사무처장(원불교환경연대)
2-1. 세미공연: 김평부, 환경음악인(대금, 시노래 연주)
3. 일본의 원폭문제를 포함한 역사인식 교육과 한일 교류 제언
-. 제언: 요시모토 유키오(일한합동수업연구회 대표)
3-1. 세미공연: 반송미, 치유무용가
▷ 비핵‧평화 이야기+문화 한마당 진행순서
▹ 일 시 : 2024. 8. 5.(월) 14:30~18:30
▹ 장 소 :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강당
▹ 사 회 : 이태재 박사(한국원폭피해자후손회 회장)
▹ 통 역 : 미야우치 아키오(한일반핵평화연대)
▹ 인 사 말
-. 이남재 합천평화의집 원장(한국인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 위원)
-. 기무라 코이치 목사 (일한(한일)반핵평화연대 일본측 대표)
▹ 격 려 사
-. 정원술 사)한국원폭피해자협회 회장
-. 김맹숙 경상남도 복지정책과장
-. 심진태 합천원폭자료관 관장
-. 장석도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관장
▹ 증언: 피폭(1세), 대를 잇는 고통(2세)
*1세: 박윤규(86세, 광주광역시 거주)
*2세: 문종주(70세, 합천 거주)
피폭당한 1세와 피폭당한 부모를 두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평생 대를 이은 질환으로 고통스럽게 살아가는 피폭 2세 환우의 애절한 삶의 이야기를 듣고 그 아픔을 공유하며, 법적, 제도적 지원책 마련과 지구촌에 더 이상 핵으로 인한 피해자가 없어야 함을 자각하고 핵없는 사회, 비핵평화를 위한 실천적 인식의 제고.
▹ 토론 및 세미공연
- 울림과 국제연대
1.원폭피해자 방미증언 성과와 국제연대, 향후 목표
-. 주제 발제: 이대수(아시아평화시민넷 대표)
1-1. 세미공연: 핵 피해자들을 위로하며 지구촌과 한반도에 비핵평화가
실현되기를 소망하면서 주제 발표 사이에 작은 공연을 진행. 비핵평화의
울림을 우리 사회에 전함.
-. 평화를 노래하다: 전기호, 목사 가수(한일반핵평화연대 대표)
-. 비핵평화 염원 시 낭송: 조선남, 시인 목수(1989년 제1회 전태일 문학상 수상)
2. ICAN 활동과 국제 연대, TPNW 가입촉구와 과제
-. 주제 발제: 베네틱 카부아 메디슨 Benetick kabua Maddison
(Marshallese Educational lnitiative)
-. 토 론: 이승무 박사(한일반핵평화연대 사무국장)
조은숙 사무처장(원불교환경연대)
2-1. 세미공연: 김평부, 환경음악인(대금, 시노래 연주)
3. 일본의 원폭문제를 포함한 역사인식 교육과 한일 교류 제언
-. 제언: 요시모토 유키오 (일한합동수업연구회 대표)
3-1. 세미공연: 반송미, 치유무용가
▹ 촬 영
● 정지훈 감독(코리안아쉬람TV)
▹ 사 진
● 정창진 (여래 출판 대표)
세부 추진계획
월 별
추진일정
목 표
세부추진내용
1-4월
2024합천비핵․평화대회 추진계획 수립
2024합천비핵․평화대회 이야기, 문화 한마당 섭외
• 기본계획 수립 - 운영위원회 결의
• 행사 기본계획 확정 및 역할분담
• 2024합천비핵․평화대회 세부 추진 계획 수립 및 확정 (운영위원회 회의)
• 2024천비핵․평화대회 참가자 모집
5-7월
2024합천비핵․평화대회 이야기, 문화 한마당 준비상황 점검
섭외관련 기관/단체협조
요청
• 2024합천비핵․평화대회 세부 프로그램 준비 및 활동
• 경남도, 합천군, 시민단체 등에 협조 요청
• 2024합천비핵․평화대회 세부 점검 회의
• 2024합천비핵․평화대회 국내외 참가자 모집
8월
2024합천비핵․평화
대회 진행
• 2024합천비핵․평화대회 어울림, 영화상영, 이야기, 문화 한마당 등 진행
8-10월
2024합천비핵․평화
대회 결과보고 및
2025합천비핵․평화
대회 계획 수립
• 2024합천비핵․평화대회 결산보고서 작성
• 사업비 정산
• 2025합천세계비핵․평화대회 계획 수립
기대효과
○ ‘한국의 히로시마’로 불리우는 평화도시 경남 합천에서 올해로 13회째 매년 개최되는 「2024합천비핵‧평화대회」를 통해 국내외 시민들에게 핵 없는 한반도와 지구촌 사회의 평화에 대한 열망을 알림.
○ 모든 연령의 시민들이 쉽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평화로 가는 길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비핵‧평화의 중요성에 대한 시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함. 또한 평화롭고 안전한 세계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하는데 이바지함.
○ 한반도의 비핵, 평화의 기운이 고조되었던 2018년의 한반도 평화의 흐름을 이어서 2024년도에도 세계 평화를 위한 길에 한반도에 핵없는 비핵, 평화와 원폭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와 국제사회가 적극 나서야 하며 시민사회가 다함께 이 문제를 제기하는 계기가 되고자 함.
○“한국인원폭피해자지원특별법”에 원폭 2세 등 후손들이 원폭피해자 대상에 포함되고 지원이 될 수 있도록 22대 국회에서 특별법 개정이 되어야 하는 공감대 형성과 개정 지원운동 사회여론 고양.
○ 한반도와 세계 비핵‧평화운동을 위한 원동력과 국내외 시민사회네트워크 형성의 장을 마련함.
○ 향후 세계피폭자대회 아젠다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비핵평화에 대한 국제연대의 틀을 모색하며 피해자 증언 활동 등을 통해 공론의 장을 마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