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연산과 초산은 다르다 구연산(枸祁酸) C6 H8 O7 citric acid(시트릭 애시드, 시트르산) 초산(빙초산) CH3 COOH acetic acid(아세틱 애시드, 아세트산) 식초는 농도가 4~6%인 초산 수용액이다.
▶구연산 어원 하이드록시기(-OH)를 가지는 다염기(多鹽基) 카 복실산의 하나. 많은 식물의 씨나 과즙 속에 유리 상태의 산으로 함유되어 있다. '구연'이란 시트론(citron)의 명이며, 시트론을 비롯해 레몬이나 덜 익은 감귤 등 감귤류의 과일에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는 데에서 연유한다. 영어인 citric acid의 citric도 감귤류를 뜻하는 그리스어인 citrus에서 유래한 것이다.
▶구연산 분포 식품 속의 시트르산은 주로 과일 속에 함유되어 있으며, 식품의 신맛 성분으로서 주요한 것 중의 하나이다. 감귤류·매실·살구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감귤에는 약 1% 정도, 매실에 2.3% 정도가 함유되어 있다. 이 밖에 일반적인 과일에 신맛의 하나로서 상쾌함을 주며 토마토와 같은 열매채소의 일부에도 신맛으로 포함되어 있다.
▶구연산의 식품산업 사용 혼성주, 캔디, 젤리, 잼, 빙과, 통조림 등의 산성 조미료 및 식용유의 산패 방지제(synergist)로서 사용되고 있다. 청량음료의 산미료(酸味料)로서 이용되며, 당분의 단맛에 대해서 상쾌함을 준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순수한 시트르산은 식품첨가물의 산미료로서의 사용이 허용되고 있다. 시트르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레몬·광귤·라임 등은 요리의 신맛을 내는 데 이용된다.
▶구연산의 의약품 활용 구연산나트륨(시트릭애시드, 시트르산)을 피의 엉김을 막는 약으로 사용한다. 이는 무색이나 흰색의 결정성 가루이다. 구연 산액에 탄산나트륨을 넣어 증발시킨 것인데, 신맛이 있고, 물에 잘 녹는다. 거담제(祛痰劑)나 이뇨제로도 사용하고 있다. 열성(熱性) 환자의 식욕증진에 쓰이는 레모네이드제나 이뇨성 음료에 신맛을 내게 하는 것 외에 분석시약으로도 사용된다. 체내에서는 급속히 이산화탄소로 대사 되기 때문에 시트르산을 투여하면, 체액이나 오줌은 염기성으로 기울어진다. 또한, 혈액응고에는 칼슘이온이 필요한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은 칼슘을 해리도(解離度)가 낮은 칼슘염으로 포착하기 때문에 혈액응고 저지에 사용된다. 따라서 수혈에는 없어서는 안 될 뿐만 아니라 진단용으로서 적혈구침강속도(血沈)를 측정할 때에도 사용된다. 구연산은 모든 체질에 도움이 된다. 구연산은 세포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필수적인 성분으로 위산처럼 소화를 돕는다. 구연산을 식사 도중이나 식후에 마시면 소화에 도움이 된다.
▶무수 구연산의 용도 분말주스, 가루발포주스, 분말셔벗, 분말케첩, 츄잉검 등 식품이나 가루식품의 산미료로 사용한다. 결정수가 없기 때문에 결정 구연산보다도 산도는 강하고 사용시에는 약10% 적어도 된다. 사용기준은 없다. 무색투명의 결정. 알맹이 또는 덩어리 또는 백색의 결정성분말 또는 분말로, 무취, 강한 산미를 가진다.
▶결정 구연산의 용도 건조한 대기 속에서는 서서히 풍화하고 습기찬 공기 속에서는 서서히 조해한다. 뜨겁게 하면 용융하여 자극성 악취를 가지는 증기를 발생하면서 탄화한다. 물 100ml에 대하여 25℃에서 209g 용해하고, 에탄올, 에테르에도 녹는다. 수용액의 pH는 2.31(1%액), 1.83(5%액), 1.63(10%액), 0.48 (70%액). 비중은 1.542, 녹는점은 135~152℃. ▶구연산 효능 1. 구연산과 칼슘의 흡수 구연산은 소장에서 칼슘 흡수가 더 잘되도록 도와주고 결석의 생성을 방지한다. 구연산은 소변을 알칼리화하고 구연산의 농도를 높여 수산칼슘 결석을 방지한다. 그래서 통풍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주의할점 구연산은 물에 있는 알루미늄의 흡수를 증가시키므로 반드시 정수기 물에 타 먹어야 합니다. 다만 구연산이 칼슘의 흡수에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장기 섭취를 할 때는 칼슘의 흡수력에 민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즉 구연산이 있을 때 소장이 칼슘을 흡수하지만 구연산이 없을 때는 소장의 흡수력이 떨어진다. 그러나 그런 걱정은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2. 구연산과 골다공증 칼슘은 뼈른 튼튼히 하는 작용 외에도 체액을 알칼리성으로 만들어 주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구연산과 칼슘을 결합시킨 구연산칼슘이나 능금산칼슘은 위산이 부족한 사람에게 흡수가 잘 되어 무려 45% 흡수를 할 수 있다. 구연산의 신맛은 위산과다증일 때는 주의해야 한다. 구연산이 골다공증에 해가 된다는 말은 식초에서 비롯된 것이다. 식초가 뼈를 유연하게 한다는 설은 식초의 주성분인 초산이 칼슘을 녹이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오해에 불과하다. 식초를 많이 먹는다 하여 뼈가 유연해지거나 혈액의 산도가 상승하는 것은 아니며 칼슘의 대사에도 전혀 지장이 없다. 오히려 식초 자체에는 칼슘이 없지만 칼슘의 흡수를 돕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성장기의 어린이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구연산은 골다공증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다만 구연산을 지나치게 섭취할 때는 간장의 기능이 지나치게 항진됩니다.
3. 구연산과 당뇨 구연산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혈당치를 낮춰주며 아울러 흥분 호르몬인 아드레날린 분비를 억제하여 신경을 안정되게 한다. 좌골신경통은 신경의 압박 때문에 오는 것이므로 구연산이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없다. 다만 구연산은 피로물질(젖산)을 배출하는 효능이 있고, 정신노동이나 육체노동을 하고 나면 피로의 원이이 되는 젖산이 뇌세포와 근육에 쌓이게 돼 사고능력이 떨어지고 근육통이 생깁니다. 이럴 때 구연산이 효과를 발휘합니다. 구연산에는 젖산 분해 효소가 들어 있어 뇌의 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근육통, 요통, 어깨 결림 등을 누그러뜨리는 효과가 있으며, 좌골신경통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4. 구연산의 섭취량 및 기타 새콤한 맛이 날 때가 좋다. 식사 중이거나 식후에 마시면 좋지만 위산과다증일 때는 피해야 한다. 또 구연산과 칼슘 또는 구연산과 마그네슘을 결합시킨 것이 있으므로 그런 것이 좋다.
*특히 주의할 점 1. 칼슘제를 먹는다면 같이 섭취하지 말고 2~3시간 이상 차이를 두고 섭취하는 것이 좋다. 2. 하루 섭취량은 하루 1g에서 3g 정도 이다. 구연산은 소변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심장병 환자나 콩팥이 약한 이들은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피부질환에 탁월한 구연산 1. 여드름 있는 이에게 구연산으로 치료하는 데 처음 환부에 닿자 무척 쓰라린데 조금 후 통증이 사라지고 2일 만에 염증이 갈아앉고 낫는 것을 체험하였다. 2. 땀띠로 고생하는 이에게 구연산을 사용하여 1~2일 만에 번지던 것이 멈추고 시간이 갈수록 환부가 낫는다. 3. 습진과 악취로 고생하는 남성에게 구연산을 소개하였는데 이 또한 즉시 효과를 봤다. 4. 발 냄새와 무좀 있는 이에게 구연산을 희석한 물에 5분 담그니 악취가 사라지고 2~3일 내 무좀이 나았다. 5. 다리, 두피에 피부 질환이 나서 고생하는 이가 있어서 구연산을 소개하였다. 6. 샤워 후 비누 제거하고 500ml 물에 밥수저 반을 희석해서 머리부터 발끝까지 바르고 수건으로 바로 닦는다. 이후 피부를 만져보면 아기 피부처럼 부드러워진 것을 알 수 있고 머리결도 부드러워진다. 7. 주름 펴는 연고가 있어서 사용해 봤는데 알러지가 생겨서 구연산을 발라 보았는데 처음 닿는 순간 따갑더니 이내 가라앉았고 알러지가 번지는 것이 멈추는 것을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 8. 기미가 있는 이가 구연산 3~4개월 사용하니 기미가 사라지고 새살이 올라와 피부가 미백되었다. 9. 구연산을 사용하고부터 습관적으로 구입해오던 단순 포진(헤르페스) 예방약과 무좀약을 구입할 필요가 없어졌다. 10. 겨드랑이 냄새도 사라진다.
--------------------------- ▶구연산의 섭취법
1. 물 반컵(100CC)에 구연산 분말 약 5g(티스푼 1개) 가량을 타서 완전 용해시켜 섭취한다. 2. 1일 3~5회 동일한 방법으로 타서 섭취한다. 질병치료는 1일 5회 섭취(3시간에 한 번씩 섭취) 3. 1일 5회 섭취할때마다 물에 타 먹기가 번거로우니 이때는 500cc 물병에 구연산 5g×5티스푼과 설탕 10g타서 다섯 번에 나누어 마시면 편리하다. 4. 섭취은 식전·식간·식후 어느때도 무관하지만 위가 나쁜 경우는 식후가 좋다. 5. 식초같이 신맛이 나기 때문에 설탕이나 꿀 등에 타서 섭취하여도 무방하고 잇몸이 취약한 사람은 빨대로 먹으면 편리하다. 6. 구연산은 식물성이기 때문에 과음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7. 식용 후 2~3시간 후의 소변 색이 대단히 맑아지는데 이는 그만큼 대사작용이 좋아 지고 있다는 증상이다. 8. 약국에 식용으로 판매하는 "무수 구연산"을 사서 먹으면 된다. 9. 구연산을 섭취한 후에는 맹물로 입안을 잘 헹구라(치아 손상 방지). 10.구연산이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눈에 들어가면 즉시 찬물로 씻어내면 된다).
BK 건강과학연구원 원장 이부경 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