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天干(천간)과의 관계.
■ 壬(임) + 甲(갑).
* 甲(갑)은 생명체의 표본이며 壬水(임수)의 본분인
생명체를 키우는 역활을 다 하여서 좋다.
壬水(임수)가 甲木(갑목)을 보면 正格(정격)이다.
* 壬水(임수)는 亥水(해수)에 祿(록)을 하는 생명의 근본이므로
생명이 존재하고 溫氣(온기)가 있으면 자기 본분을 다하게된다.
* 甲(갑)과 丙(병)이 같이 있으면 생명체도 있고 키울 온도도 적당하므로
자기 임무를 충실히 하며 丙火(병화)는 壬水(임수)의 財星(재성)이므로
富命(부명)이 된다. 上格(상격).
庚 壬 甲 丙
O O O O
* 壬水(임수)가 甲木(갑목)을 보았고 丙火(병화)가 透出(투출)하였으니 貴格(귀격)인데
庚金(경금)이 透干(투간)되어 吉中凶(길중흉)이 되었다.
따라서 庚金(경금)은 없는 것이 더 좋다.
* 壬水(임수)가 甲木(갑목)이 透出(투출)하면 만물을 키우는 본분을 만족하는 格(격)이므로 富命(부명)이다.
다만 辰土(진토)나 丑土(축토)가 있어 甲木(갑목)의 뿌리를 내릴 良質(양질)의 흙이 있어야 한다.
* 壬水(임수)가 甲木(갑목)이 透干(투간)되어 있는데 甲木(갑목)옆에 己土(기토)가 透干(투간)한 경우라면
甲己合(갑기합)이 되어 썩은 흙으로 변화되고 썩은 흙이 맑은 壬水(임수)를 더럽히니 濁壬(탁임)이 된다.
O 壬 甲 己
O O O O
* 甲木(갑목)과 己土(기토)가 合(합)이 되어 甲木(갑목)을 썩히는 경우가 되므로
甲木(갑목)이 잘 자라지 못하고 따라서 열매도 못 맺는다.
그러나 甲木(갑목)이 뿌리가 있으면 굽은체로 살고 己土(기토)뿌리가 강하면 썩어버리므로 죽은 나무다.
■ 壬(임) + 乙(을).
* 甲木(갑목)은 巨木(거목)이며 계속 크는 나무인 반면에 乙木(을목)은 1년생 花草(화초)에 비유되므로
甲(갑)은 계속적인 발전과 전진이 가능하지만 乙木(을목)은 겨울이 되면 시들어야 하므로
富(부)와 名譽(명예)가 한계가 있고 짧다.
甲木(갑목)에 비해 異道(이도)인 예능방면으로 가는 자가 많다.
* 壬水(임수)는 身旺(신왕)함을 원하고 반겨하는데 壬水(임수)가 약하면 가난하다.
더욱이 木火(목화)로만 구성되어 身弱(신약)한 경우에 乙木(을목)이 透干(투간)하면
乙木(을목)은 열매 없는 꽃이며 꽃은 사치와 통하므로 결실이 없고 사치와 방황만 하는 格(격)이므로
말년에 처량한 신세가 된다.
§. 乙木(을목)이 庚金(경금)을 보면 열매를 맺은 열매로 본다.
다만 바로 옆에 나타나면 乙庚合(을경합)이 되나 떨어져 나타난 경우에는
庚金(경금)이 굳어지게 하는 기운을 가져 열매를 갖는 格9격)이다.
庚金(경금)없는 乙木(을목)은 열매가 없다.
* 乙木(을목)은 꽃이니 사치스럽고 연약하고 바람에 잘 흔들게되어 속이 좁고,
꽃이므로 열매가 없으며 겨울에는 시들어야하니 말년에 처량한 신세가 되며 가난하게 되기도 한다.
* 丙火(병화)가 透干(투간)하면 인기가 좋고 화려하나 노후가 쓸쓸하다.
* 丙火(병화)가 나타난 상황에서 乙木(을목)은 화려하게 만발된 꽃이 피어있음을 의미하니
인물이 아름답고 인기가 좋으나 꽃은 금방 시들게 되므로 노후가 쓸쓸하다.
■ 壬(임) + 丙(병).
* 丙火(병화)가 있어 온도가 따뜻하면 봄 여름에는 초목을 잘 키울 수 있고
가을에는 결실을 잘 할 수 있고 겨울에는 保溫(보온)이 되니 丙火(병화)의 특성대로 온화한 덕망을 갖는다.
* 壬水(임수)가 丙火(병화)를 보면 자기 임무를 잘 수행할 수 있는 최상의 조건을 갖추어진 格(격)이다.
壬水(임수)를 증발하여 수분을 형성하고 비를 만들어 만물을 양육하는데 基礎(기초)가 된다.
■ 壬(임) + 丁(정).
* 丁壬合(정임합)이 되어 木(목)으로 化(화)한다.
* 陰(음)의 正體(정체)인 壬水(임수)와 陽(양)의 正體(정체)인 丁火(정화)가 만나면
여자와 남자가 만나는 형상이며 丁(정)과 壬(임)이 만나 오행의 시작이며
모든 생명체의 대표인 木(목)으로 변화함은 孕胎(잉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壬水(임수)와 丁火(정화)만 있으면 비록 나무가 있어도 合(합)을 탐하기만 하고
草木(초목)을 키울 생각을 하지 않고 合(합)하여 發芽(발아)하기만 추구하니 羈絆(기반)이 된다.
§. 壬水(임수)의 뿌리를 내리는 최적지는 亥水(해수)인데
亥水(해수)는 티없이 맑고 아주 깨끗한 최상의 물에 비유된다.
따라서 亥水(해수)에 뿌리내린 壬水(임수)는 맑고 깨끗한 수정이므로 陰(음)을 대표한다.
[木(목) + 亥(해) = 核(핵) : 생명체의 정체)
§. 丁火(정화)는 午火(오화)에 뿌리내리고 午火(오화)를 근원으로 하는 火(화)이다.
午火(오화)가 가장 왕성한 火氣(화기)를 가지므로 午火(오화)에 뿌리를 내린
丁火(정화)는 陽(양)의 대표이다.
* 丁壬合(정임합)은 바람둥이가 많다.
* 봄, 여름철의 丁壬合(정임합)은 合(합)이 이루어져 木(목)이 발생하기 좋은 계절이어서
바람둥이가 많고 女難(여난), 男難(남난)이 많다.
* 가을과 겨울은 木(목)이 자라지 못하므로 丁壬合(정임합)이 되어도 결실이 없어
빛 좋은 개살구 格(격)이니 사기꾼이나 부량아가 되기 쉽다.
* 가을은 金旺之節(금왕지절)이므로 木(목)이 생성되기 힘들어 丁壬合(정임합)이 잘 이루러지지 않는다.
* 계절이 어느때 인가를 먼저 구분한다.
봄의 丁壬合(정임합)은 木旺節(목왕절)이므로 合(합)이 잘 구성되니
비정상적인 싹을 발아하는 格(격)이며,
가을철의 丁壬合(정임합)은 가을이 金旺之節(금왕지절)이어
金氣(금기)가 왕성하여 발아된 싹을 칼로 자르거나,
혹은 서리가 내려 싹을 마르게 하거나 싹이 바위틈에 발아된 형상이므로
잡아가 되어 格局(격국)이 낮게되거나 合(합)이라도 쓸모가 없다.
O 壬 丁 辛
O 午 未 巳
* 여름철에 壬日柱(임일주)가 태어나 地支(지지)에 火氣(화기)만 있어 身弱(신약)하고
丁壬合(정임합)되며 木星(목성)으로 化(화)하였는데 辛金(신금)이 옆에 있어
자갈밭의 싹이 되어 잡아가 되었다. 雜格(잡격)이다.
따라서 평생 色(색)만 밝힌다.
* 극히 身弱(신약)한 壬水(임수)가 丁壬合(정임합)이 되면 情死(정사),
또는 腹上死(복상사)하는 수도 있다.
* 몸이 극히 약한데 色(색)만 밝히니 虛弱(허약)이 극도로 심하여 죽을 수도 있다.
■ 壬(임) + 戊, 己(무, 기).
* 壬水(임수)와 戊土(무토)는 떨어질 수 없는 사이이다.
그 이유는 壬水(임수)는 戊土(무토)사이에서 보호되고, 고이고,
흐르는 물이 壬水(임수)이기 때문이다.
§. 정상적인 임무에 쓰일 때 壬水(임수)의 역활.
1. 壬(임) + 庚(경) : 수로에 흐르는 물.
2. 壬(임) + 甲(갑) : 나무를 키우는 물.
3. 壬(임) + 戊(무) : 제방에 갖힌 물.
■ 壬(임) + 戊(무).
* 壬水(임수)가 戊土(무토)를 보면 戊土(무토)는 堤防(제방)의 의미를 갖는다.
* 당장에 쓰이지는 않아도 나중을 대비하는 格(격)이므로 貴(귀)하기는 하다.
정신은 바로 잡힌 경우이다.
戊土(무토)가 壬水(임수)보다 더 왕성하면 사용할 물도 부족한데 쓸모 없이
제방을 쌓아 노력도 낭비하고 물도 약화를 시키는 경우가 되므로 賤格(천격)이다.
戊土(무토)와 壬水(임수)의 세력이 균형을 갖추어야 貴格(귀격)이 된다.
* 壬水(임수)와 戊土(무토)사이에 庚金(경금)이 있다면 저수지를 탄탄하게 하여줄 돌, 자갈로 보거나
혹은 金(금)은 굳어지게 하는 본성이 있으므로 제방을 튼튼하게 하는 경우로 보아서
물이 파도를 치거나 홍수 등의 기세에도 무너지지 않는 제방이 되어 안정되어 있는 제방이 된다.
上格(상격)이다. 透干(투간)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地支(지지)에라도 暗藏(암장)되어야 좋다.
* 身旺(신왕)할때는 戊土(무토)가 제방을 쌓아 다음해 농사를 대비를 하든지
가물 때를 대비하는 경우이므로 매우 좋다.
* 身弱(신약)할때는 물이 부족한데 제방을 쌓아 물을 가두어버리는 格(격)이어서
제방을 쌓아도 제방이 無用之物(무용지물)이므로 헛수고를 한 셈이다.
결국 손해 만보고 되는 일이 없다.
* 身旺(신왕)할 때 戊土(무토)가 있어도 金(금)이 있어 튼튼하게 제방을 쌓아야하는데
만일 庚辛金(경신금)으로 굳어지게 하여 튼튼한 堤防(제방)을 쌓는 의미이다.
* 만일 戊土(무토)만 있는 경우라면 壬水(임수)가 왕성할 때 파도가 많이 치게되는 格(격)이며
水多土崩(수다토붕)의 위험이 있지만 이때 庚辛金(경신금)이 있다면 튼튼한 堤防(제방)에
고요하게 고요 있는 물로 비유 할 수 있다.
戊 壬 O O
申 戌 O O
* 堤防(제방)이 약해 무너질 위험이 있다. (흙으로 쌓은 제방).
만약 월령이 水(수)가되고 壬日柱(임일주)가 身旺(신왕)하여지는
水運(수운)이 올 때 제방이 무너진다. 위에 예보다 格(격)이 떨어진다.
* 水(수)가 왕성하여 위험한데 다시 水運(수운)이 오면 堤防(제방)이 터져
壬水(임수)를 막을 수가 없는 格(격)이므로 무법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 丙(병)과 甲(갑)이 더불어 있는 경우 身旺(신왕)하면 相生(상생)이 되어 堤防(제방)을 굳건하게 쌓아
다음 농사가 가뭄을 위해 壬水(임수)를 저장하는 유용함이 있어 좋으나 身弱(신약)하면 오히려
甲(갑)과 丙(병)이 相生(상생)하여 戊土(무토)가 왕성하여져 사용하기에도 적은 물을
堤防(제방)을 쌓아 가두는 헛 수고만 하게되니 손해만 보는 格(격)이다.
身旺(신왕)하면 富貴(부귀)한다.
■ 壬(임) + 己(기).
* 여름에는 젖은 흙을 맑은 물에 풀어놓은 格(격)이니 맑은 물을 흙탕물만 만들게된다.
己土濁壬(기토탁임)이 되어 精神異常(정신이상)이 오는 수도 있고
醜(추)하고 재산을 탕진하는 경향이 있다.
* 겨울에는 얼어붙은 논흙이므로 흙탕물이 되지는 않으나 格(격)이 낮다. 직장생활이 적격이다.
* 地支(지지)에 巳午未(사오미)가 있고 天干(천간)에 丙火(병화)가 透出(투출)하면
己土(기토)가 말라서 濁壬(탁임)이 덜되어 조금 낳다.
* 己土(기토)가 濁壬(탁임)을 만드는 계절은 3월부터 7월까지가 가장 심하다.[辰~未,申月(진~미,신월)]
■ 壬(임) + 庚, 辛(경, 신).
* 庚辛金(경신금)이 透干(투간)하여 金旺(금왕)한데 甲乙木(갑을목)이 또 있으면
壬水(임수)는 木(목)을 키우는 본분을 가지고 있는데 金(금)이 木(목)을 剋制(극제)하여
木(목)이 잘 자랄 수가 없는 환경이므로 잘 자라지 않는 나무에 결실을 얻을 수가 없는
경우처럼 성공하기가 힘이 든다.
* 庚辛金(경신금)은 인성이므로 庚辛金(경신금)이 透干(투간)하면 학자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木(목)이 透干(투간)하여 剋制(극제)를 받으면 결실이 없으므로 成功(성공)은 難望(난망)하다.
* 庚辛金(경신금)만 透干(투간)한 경우는 庚金(경금)이 水路(수로)의 역활을 한다.
이때 壬水(임수)는 석간수 또는 水路(수로)사이를 흐르는 물이다.
* 庚辛金(경신금)이 癸水(계수)일주에 透干(투간)이 되면 구름이 되어 水源(수원)의 역활을 한다.
壬水(임수)가 透干(투간)되면 壬水(임수)는 땅위의 물이므로 물을 보존하는 水路(수로)의 역활이 된다.
* 다시 戊土(무토)가 透干(투간)하면 堤防(제방)을 굳건하고 높게 쌓아올리는 格(격)이다.
* 己土(기토)가 透干(투간)하면 己土(기토)는 들의 흙이나 낮은 지대의 흙이므로
들판의 작은 堤防(제방)이 된다.
庚辛金(경신금)이 잇어 허약한 堤防(제방)은 아니고 단단하기는 하나 용량이 작은 堤防(제방)이다.
■ 壬(임) + 辛(신).
* 辛金(신금)은 완성된고 매끄로운 특성이 되어 水路(수로)가 매끄럽고 잘 다듬어져 있어서
壬水(임수)의 보존이 잘되고 흐름이 원활하여 庚金(경금)보다 더 좋다.
■ 壬(임) + 癸(계).
* 농사철인 봄, 여름철이면 비이며 地支(지지)에 水氣(수기)가 왕성하며 홍수가 되고
이런 경우에는 인륜을 파괴하는 일을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
* 겨울철이면 눈보라가 날리는 格(격)이다.
* 庚辛金(경신금)이 透干(투간)되면 金(금)은 백색, 맑음을 의미하므로 아주 맑은 물을 의미한다.
겨울철이라면 백설이 쌓인 위에 눈이 내리는 格(격)이다.
* 庚辛(경신)이 透干(투간)되었는데 己土(기토)가 있으면 흙먼지 투성이의 눈이 된다.
* 壬水(임수)가 癸水(계수)와 같이 투간된 경우 地支(지지)에 亥(해), 寅(인), 卯(묘)가 있으면
생명을 키우는 싹을 함유한 格(격)이므로 格(격)이 형성되고
亥(해), 寅(인), 卯(묘)가 없으면 생명의 싹이 없는 경우가 되어
壬水(임수)의 본분인 생명체를 키우는 역활을 할 수가 없으므로 破格(파격)이 된다.
§. 壬水(임수), 癸水(계수)일생은 사철 대우를 받는데
특히 봄, 여름, 가을의 낙엽을 볼 때까지 대접을 받는다.
특히 좋은 계절은 여름철이다.
§. 水日柱(수일주)는 인정이 많은 특성을 가지나 流動水(유동수)이어서
중심이 없이 잘 흔들리는 경향이 있다.
특히 身弱(신약)할 경우라면 더욱 심하다.
§. 겨울 壬日柱(임일주)는 추운 게절인데 본성이 차므로 인정이 없고 인기가 없으며
겨울은 어두운곳, 뒤쪽, 혹은 밤을 의미하기도 하므로 잡일이나 숨어서 하는 일을 하거나
밤에 활동하는 특성을 가져서 구조가 잘못되면 속이 검거나 도둑이 되는 경향이 있으나
水(수)의 뿌리가 튼튼한 계절이므로 사려는 깊다.
壬水(임수)가 생ㅁ명을 키우는 水(수)가 될 때에는 지적인 독특한 개성을 가진 자들이 많이 나오나
어느 때 라도 한 번은 고생을 심하게 하여야 하는 格(격0이다.
壬 癸 己 戊
子 亥 未 子
* 여름철의 물이나 길바닥에 水路(수로)가 없이 흐르는 물이다.
癸 癸 丁 己
丑 亥 丑 丑
* 겨울 癸日柱(계일주)가 癸(계)를 다시 보니 눈보라가 날리는 格(격)이 된다. 고생이 막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