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대화 엿듣고 맞춤형 광고 해줬나 독립매체 4040, 콕스 미디어그룹이 광고주에 보낸 자료 공개>
대화 듣고 실시간 구매 의사 소비자 표적화 해
구글·아마존·페이스북 오랫동안 사용해 온 듯
스마트 기기를 통해 대화를 엿듣고, 이를 근거로 맞춤형 광고가 실행되고 있다는 세간의 의심이 사실일 가능성이 커졌다.
기술 및 사이버 보안 관련 심층 취재를 전문으로 하는 독립매체 404는 지난달 26일 미국에 본사를 둔 대형 미디어그룹 ‘콕스 미디어 그룹(CMG)’의 디지털 광고 부서가 광고주들에게 보낸 프레젠테이션 자료 전문을 공개했다. ‘고객 대화를 분석해 정확한 잠재고객을 파악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해당 매체는 지난해 12월 이 내용을 보도했는데, 당시엔 자료 전문을 공개하지 않았다
‘음성과 기기에 달린 마이크의 힘’이라는 제목의 자료에서 콕스 미디어 그룹은 “스마트 기기는 인공지능(AI)을 사용해 대화를 들음으로써 실시간으로 고객 의도 데이터를 포착한다”며 “광고주는 이 음성 데이터를 행동 데이터와 결합해 구매 의사가 있는 소비자를 타게팅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콕스 미디어 그룹은 이 기능을 ‘액티브 리스닝(Active-Listening)’이라고 불렀다.
자료에는 구글·아마존·페이스북이 이 기능을 오랫동안 사용해왔다는 취지도 담겨있다. 콕스 미디어 그룹은 “우리는 이 프로그램을 처음 시작했던 11년 전부터 구글의 프리미엄 파트너였다”며 “아마존의 최초 미디어 파트너였고,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페이스북 마케팅 파트너가 된 4개 회사 중 하나”라고 자사를 소개했다. 이들 회사들이 콕스 미디어 그룹의 기술을 활용해 광고 성과를 개선해왔다는 뜻으로 보인다.
콕스 미디어 그룹은 “(광고주가 지역을 선정하면) 타겟 지역에서 액티브 리스닝이 시작되며, 470개 이상의 데이터 출처에서 구매자 행동이 감지된다. 기준에 맞는 소비자가 감지되면 각 잠재 고객의 과거 행동을 전반적으로 분석해 광고를 언제, 어디에 표시하면 가장 효과적일지 예측한다"고 설명했다. 자료가 공개되자 구글은 콕스 미디어 그룹을 자사 ‘파트너 프로그램’에서 삭제했다”고 밝혔다.
#액티브리스닝
#콕스미디어그룹(CMG)
#음성데이터를 사용해 잠재고객 파악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마케팅파트너사
<달러 약세, 미 증시 하락할 기미일까…예측 아직 일러>
달러 인덱스는 올해 2분기 106포인트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빠르게 떨어져 101포인트 수준으로 내려갔다. 근래 달러 인덱스가 하락한 주요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미국 경제의 둔화 가능성, 둘째 엔화 강세, 셋째 금리 인하 기대감 등이다. 엔화 캐리 트레이드가 청산되는 과정에서 엔화 강세를 촉발하여 달러 약세 압력을 가중했다. 또한, 9월에 예상되는 보험적 성격의 금리 인하도 달러 롱 플레이(환율 상승을 예상하며 실수요 없이 투기 매수에 나서는 행위)를 제한하여 달러 가치 하락에 기여했다.
달러 가치의 하락이 미국 증시의 하락을 예고하는 걸까? 이러한 판단은 아직 이르다고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 달러 인덱스의 하락은 미국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만 작용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엔화 강세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더욱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또한 위 논리를 정당화하려면 미국 외에 매력적인 대체 투자처가 등장해야 한다. 그러나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 기업의 시가총액 비중은 여전히 48%로 최고치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선행 지표에서도 미국과 신흥국 간 성장 모멘텀 차이는 여전히 크지 않다. 즉, 달러 자산을 매도하고 옮길 매력적인 새로운 시장이 아직 보이지 않으므로 ‘약달러=미국 주식 시장 하락의 전조’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마지막으로 미국 주식 시장과 달러 인덱스 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하면 두 변수 간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어렵다. S&P 500의 주당순이익(EPS)과 달러 인덱스를 1년간 비교한 결과 상관계수는 방향성 없이 횡보한다. S&P 500 주가수익비율(PER)과 달러 인덱스 간 10년 상관계수도 -0.18로 애매한 수치를 보인다. 달러 약세가 미국 증시 하락의 전조증상이라 해석하는 것은 시기상조다.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1998년 당시 달러가 약세를 보이기 시작했을 때, 미국 주식 시장은 지금과 달리 오히려 상승했다. S&P500 지수는 1998년 1월 960에서 12월 1190으로 24.3% 상승했다.
전통적인 이론에 따르면,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수출 비중이 높거나 미국 내수 시장에 집중된 기업들이 이익을 본다. 예를 들어, 애플과 같은 수출 중심 기업은 달러 약세로 제품 가격이 하락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반면, 월마트와 같이 미국 내수 시장에 집중된 기업은 해외 제품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그러나 2020년 이후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이러한 기업들은 이미 강달러 환경에 적응했다. 이로 인해 통화 가치 변동이 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
#달러인덱스 하락
#미국경제 둔화 가능성
#엔화강세
#금리인하기대감
* 달러가치하락과 미국증시하락의 상관관계는 절대적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