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心法要抄 심법요초/서산대사 휴정
초발심보살의 수행初發心菩薩修行1
1.대승인의수행
初發心菩薩修行
2상근대지가스스로깨은경계
上根大智自悟處
3사람은 모두본래부터 태평하다 人人本太平
4.당사자 스스로 수긍하여 깨닫는 경계 當人自肯悟處
5.부처님이 설한 삼구佛說三句
6.본래의 법에는본디 견해가없다 本法本無見간기
〚刊記〛〚부록〛
法本法無法,
서산대사 완허당 전법게
완허당임종게玩虛堂臨終偈
心法要抄 심법요초/ 2
1.참선문參禪門
2.念佛
3. 교외별전곡敎外別傳曲
心法要抄 심법요초 2
1.심법요초心法要抄
2.교학자의 병 敎學者病
3.선학자의 병 禪學者病
4.삼승학인의 병三乘學人病
5.참의자 叅意者,
6.서산대사'해탈시' -인생
-7 서산대사 임종시 (詩)
목 차
1. 한 물건
2. 부처님과 조사가 세상에 나오심
3. 불법의 방편
4. 굳이 이름 하건대
5. 삼처전심
6. 마음에서 얻으면
7.한 마디 하노니
8. 한마음법과 견성법
9. 교敎와 선禪
10. 활과 활줄
11. 먼저 참다운 가르침부터
12. 활구
13. 고양이 쥐 잡듯
14. 참선의 세 가지 요건
15. 개에게 불성이 없다?
16. 화두를 듦에 있어서의 병통
17. 조사관을 뜷어라.
18. 공부는 거문고 줄 고르듯
19. 도가 높을수록 마가 성하다
20. 마의 경계란?
21. 타성일편
22. 대저 참선하는 이는
23. 말을 배우는 무리들은
24. 칠통을 깨뜨려야
25. 눈 밝은 스승을 찾아라.
26. 다만 그대의 눈 바른 것만을 귀하게 여기네.
27. 굽히지도 높이지도 말라
28. 먼저 마음을 깨달아
29. 다만 범부의 생각을 없애라
30. 버리고 구함이 모두 더럽힘이다.
31. 번뇌를 끊어야 열반이다.
32. 한 생각도 생겨남이 없다.
33. 일어나는 그 곳이 원래 비어 있다.
34. 환을 여의면 곧 깨달음이다.
35. 생사와 열반이 본래 없는 것
36. 다시 열반을 따로 얻은 바가 없다.
37. 버릇은 한 번에 없어지지 않는다.
38. 이것이 마도이다.
39. 마음 계율을 깨뜨리지 말라
40. 계를 지켜야
41. 애욕을 끊어야
42. 걸림 없는 지혜
43. 선정에 들게 되면
44. 마음이 일어나지 않아야
45. 본래 그대로 열반이다.
46. 보시(布施)
47. 성내지 말라
48. 인욕
49. 마음을 지키는 일
50. 진언을 외우는 것은
51. 예배
52. 염불
53. 경을 듣는 일
54. 간경
55. 입만 배우지 말라
56. 외전
57. 출가하는 뜻
58. 덧없는 불꽃
59. 명리를 버리라60. 명리승
61. 가사 입은 도둑
62. 한 덩이의 밥
63. 시주받은 과보
64. 차라리 쇳물을 마시라
65. 시주를 받을 때 화살 받듯 하라
66. 칼 가는 숫돌
67. 가사 아래 사람의 몸을 잃음
68. 더러운 가죽 주머니
69. 참회(懺悔)
70. 하나의 바리때와 한 벌 옷
71. 무심도인
72. 보살과 마군
73. 임종 시에
74. 마지막 순간에
분별을 두지 말라
75. 학인의 병통
76. 종사의 병통
77. 장승의 노래
78. 마조의 일간
79. 선종의 다섯 갈래
80. 조동종
81. 운문종
82. 위앙종
83. 법안종
84. 임제종의 가풍
85. 조동종의 가풍
86. 운문종의 가풍
87. 위앙종의 가풍
88. 법안종의 가풍
89. 임제할 덕산방
90.부처와 조사보기를
원수 보 듯 하라
91. 거룩한 빛
카페 게시글
어록
心法要抄 심법요초-서산대사 휴정
보호스님
추천 0
조회 42
23.08.02 17:26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