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민족의 전통과 혼이 담긴 국악의 본고장 남원 그 곳에 국악의 성지가 있다. "
민족의 영산 지리산 자락 운봉에 위치하고 있는 국악의 성지는 우리 민족의 전통과 혼이 담긴 국악의 본 고장이요, 성지임을 널리 알리기 위해 국악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의 염원을 모아 조성하였다. 남원은 판소리 다섯마당 중 춘향가와 흥부가의 배경지가 될 만큼 예로부터 국악의 산실이었으며 오늘날 동편제 판소리를 정형화한 가왕 송흥록이 태어난 유서 깊은 곳이다. 국악은 우리 민족의 역사이고 세계가 인정한 문화유산이며 우리민족의 혼이 살아 숨쉬는 살아있는 역사이다.
동편제 소리의 발상지 이며 춘향가 흥부가의 배경지로서 국악의 역사가 보존 전승되어온 국악 본고장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판소리의 유네스코 세계문형문화유산 등록에 따른 국악의 보존·전승·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여 전통문화의 고급화·관광 상품화를 통한 세계화를 도모하기 위해 바로 이곳 남원 운봉에 ‘국악의 성지’가 설립된 것이다

국악의 본 고장 남원에서 판소리를 하시는 분의 설명을 들으며 남원시립국악단의 기악과 판소리를 들을 수가 있었다.
기악합주 “신뱃노래”
신뱃노래는 대금의 서용석 명인께서 남도가락을 바탕으로 새롭게 작곡한 신민요입니다.
본래 성악곡을 기악곡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가야금/은현주

거문고/김준엽

장고/이양규

대금/조현정

판소리 “춘향가 사랑가”
소리/채원영, 고수/이양규

민 요 - 성주풀이, 남원산성, 진도아리랑
민요는 통속민요와 토속민요로 나눌 수 있는데, 토속적인 민요는 우리네 삶의 현장에서 주로 불리어진 노동요가 많으며 재한된 어느 지방의 특징적인 가락을 갖고 있는 것으로 소박하고 향토적인 민요를 가리킨다. 이러한 민요들이 적업적인 소리꾼들에 의하여 다듬어지고 세련화되어 불리어지고 널리 전파된 노래가 통속민요이다. 한국 민요의 지방적 특성에 따라 대표적으로 남도민요, 경기민요, 서도민요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소리/ 박계숙, 채원영, 김선영, 조선하, 김은원)

무 용 - 교방살풀이
살풀이는 승무와 더불어서 예술성이 뛰어난 대표적인 민속무용의 하나로 1930년대에 이르러 한성준이 설립한 조선음악연구소(교방청)에서부터 잘 다듬어진 무대용의로 등장한 것이 바로 교방 살풀이 무로써 긴 천을 들고하는 살풀이 춤과는 달리 짧은 천을 들고 춤을 춘다.
(무용/이지현)

우리나라 최고의 명창 안숙선 선생님...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예능 보유자이며 판소리 명창이다. 1949년 전라북도 남원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예술적인 집안 분위기 속에서 자라났다. 대금 산조 인간문화재인 강백천이 어머니의 사촌이며, 외삼촌이 동편제 판소리 인간문화재 강도근, 이모는 가야금 명인인 강순영이다.
국악인 집안에서 자라난 안숙선은 아홉살 때부터 명인 주광덕으로부터 소리의 기초를 배우고 강도근에게서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 등 동편소리를 익혔으며, 강순영에게서 가야금 산조와 가야금 병창을 배웠다. 이때부터 전국의 각종 학생명창대회를 휩쓸었고 여러 공연에 참가해 남원에서는 재주 많은 소녀 명창으로 이름을 떨쳤다.
19세에 상경해 김소희에게 판소리 〈흥보가〉와 〈춘향가〉를 배우면서 본격적인 판소리 수업을 받았고, 이어 박봉술에게서 〈적벽가〉를, 정광수에게서 〈수궁가〉를, 성우향에게 〈강산제 심청가〉를 배우는 등 명창들로부터 판소리 다섯마당을 배워나갔다. 이후 1986년 판소리 완창발표회를 시작하면서부터 일반인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여 오정숙, 박동진만이 해낸 판소리 다섯마당을 이때부터 차례로 소화해 냈다. 또한 박귀희로부터 가야금 병창을 익혀 1989년 가야금 병창 준인간문화재가 되었고, 1997년 8월 16일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79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하면서 타고난 좋은 성음과 뛰어난 연기력으로 일약 창극 명인으로 자리잡은 그는 1997∼2000년 국립창극단 단장 겸 예술감독을 역임하였다. 1998년 용인대학교 국악과 대우교수가 되었고, 2000년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및 한국종합예술학교 전통예술원 성악과 교수가 되어 후학을 가르쳤다.
남원춘향제 전국명창경연대회 대통령상(1986), KBS 국악대상(1987), 제25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1993), 예술문화훈장(프랑스문화부, 1998) 제48회 서울시문화상(1999), 옥관문화훈장(1999) 등을 수상하였다.
주요 공연으로 판소리 다섯마당(1986), 유럽8개국 순회공연(1988) 춘향가 완창(1995, 1996), 가야금 병창 명인전(1995), 박귀희류 가야금 병창(1995), 만정 김소희 1주기 추모공연(1996), 안숙선·김덕수 듀오콘서트(1996), 제52회 프랑스 아비뇽페스티벌-한국의 밤(1998), 제1회 윤이상통일음악회(1998), 수궁가 완창(1999), 판소리 춘향가(2000), 판소리 적벽가 완창(2000) 등이 있으며, 창무극 《춘하추동》(1997), 연극 《태》(1997), 창극 《백범 김구》(1998), 음악극 《천명》(1998) 등의 공연도 하였다. 《안숙선 가야금병창》(1996), 《판소리 춘향가》(1997), 《적벽가》(1999)

국악의 성지 안에들어오니 여러 관악기와 현악기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 오는 것은 아쟁과 가야금이었다.

옥류금이라 한다. 이날 옥류금이란 현국악 현악기를 처음 보았다.

피리의 종류도 이토록 많다.
새피리, 두겨여서 쌍피리, 그리고 향피리...

피아노와의 합주와도 아주 잘 어울이는 해금이다...
해금의 가슴 저미는 소리는 가슴을 서슬프게도 만드는 묘한 재주가 있어
내가 가장 좋아하는 국악기의 종류이기도 하다.


국악의 성지 전시관 안에는 삼국시대부터 현대사 까지 국악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년대별로 잘 도시화 되어 한눈에도 들어와 국악을 조금이나마 이해하는에 도움을 얻을 수가 있었다.

우리의 옛 서민들은 농업요라는 한국의 민속요를 부르며 노통의 힘겨움을 같이 했다고 한다.

노동요 또한 일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 흥겹게 부르던 노래로 작업요라고도 한다.


이 곳에 오니 남원 국악의 성지가 한눈에 들어오는 듯 하다.

가야금 산조
5∼6개의 장단구성에 의한 악장으로 구분되며, 다른 악기로 연주하는 산조보다 먼저 발생하였고, 또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다. 19세기 말 고종 때 김창조(金昌祖)에 의하여 틀[型]이 짜여졌다고 하나 몇 가지 이설(異說)이 있다. 즉 김창조와 동년배인 한숙구(韓淑求)·심창래(沈昌來)·박팔괘(朴八卦) 등도 산조를 연주한 점으로 미루어 김창조산조를 효시로 볼 수 없다는 설이다.
그리고 산조가 발생하기 이전부터 시나위(또는 심방곡)와 판소리가 연주되었던 점으로 미루어 틀이 잡히기 전의 유사 산조는 김창조 이전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며, 김창조가 그 가락들의 틀을 짜서 오늘날과 같은 산조의 체계를 세웠다는 이론이 지배적이다. 김창조 이후 많은 가야금산조의 명인이 탄생하였는데, 이들은 각기 나름대로 가락을 지어서 보유자(保有者)의 이름을 붙여 ○○○제(制)·○○○류(流)로 가야금산조를 전하고 있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가야금산조의 계보를 보면, 이 중 널리 알려져 있는 한성기류(韓成基流)·최옥삼류(崔玉山流)·김병호류(金炳昊流)·강태홍류(姜太弘流)·안기옥류(安基玉流)·김종기류(金宗基流)·박상근류(朴相根流)·심상건류(沈相健流) 등이 있다.

거문고 산조
산조를 거문고로 탔을 때의 이름이다. 빠르기가 다른 4∼5개의 장단으로 구성되며 장단의 이름이 악장의 이름을 대신한다. 1896년(고종 33), 당시 20세였던 백낙준(白樂俊)이 남도(南道)의 무악(巫樂)인 시나위가락을 모방하여 지었다고 한다. 초기에는 봉건사상에 젖어 있는 일부층에 의하여 백악지장(百樂之長)인 거문고로 천악(賤樂)을 탄주한다는 심한 반발을 샀으나, 개화기의 물결을 타고 점차 그 음악적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이후 많은 거문고산조의 명인이 배출되었는데, 이들은 기존의 선율에 나름대로의 선율을 첨가하여 보유자의 이름을 붙여서 ○○○류(流)·○○○바디·○○○제(制)라는 이름으로 후세에 남기고 있다. 장단은 가야금산조와 마찬가지로 진양·중모리·자진모리가 중심이 되며, 중중모리·엇모리 등이 덧붙여지기도 한다. 휘모리장단 이하는 악기의 주법상 너무 빨라서 연주되지 않는다.

첫댓글 세세한 포스팅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이황이면 조금 깊이 알면 더 좋을 것같아서 네이버의 도움을 좀 받았습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