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훈민정음(訓民正音)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그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다. 광복 후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되었으며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또한 세종어제(世宗御製) 서문(序文)과 한글의 제작 원리가 담긴 『훈민정음(訓民正音)』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1997년 10월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등록되었다.
*유래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25년 곧 서기 1443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되었다.
한글은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것이 아니라 세종대왕이 주도하여 창의적으로 만든 문자인데 지극히 과학적이고 합리적이어서 세계 문자 역사상 그 짝을 찾을 수가 없다.
한글만큼 우수한 문자가 또 없다는 것을 세계가 모두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한글의 창제로 말미암아 우리는 문자가 없어서 남의 글자인 한자를 빌려다가 우리말을 중국말 문법에 맞추어 쓰던 불편을 벗어버리고 자유롭게 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따라서 오늘날과 같은 문화, 경제, 정치 등 각 분야에 걸친 발전을 이루어 세계 유수한 나라들과 어깨를 겨루게 되었다.
한글날은 이러한 한글의 창제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과 공로를 기리는 날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인
재미있는 어원-'일본식 한자어'
무심코 쓰고 있는 많은 낱말들이 일본식한자어임을 최근에야 알게 되었습니다. 이런 단어들은 생각보다 역사가 짧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지요..
일본에서조차 없던 말들이 메이지유신 때 쏟아지다시피 만들어졌습니다.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도 당연히 일제강점기 이후이니 그리 긴 역사라고 할 수 없는데도 수많은 단어들이 그 탄생국적이 일본이란 사실도 모른채 자연스레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된 연유를 생각해 보면 가장 큰 이유가 서양서적의 번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일본의 당시 사정으론 메이지유신 이후 서양문물을 급속히 받아들여야 했는데, 문학외에도 서양기술서적등을 번역해야했지만 일본어로는 그 뜻을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어 뜻글자인 한자로 표현함이 간단하고 편리했던 터라 없던 단어들을 급조하다보니 한꺼번에 많은 말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우리나라의 사정도 마찬가지라 여러 이유로 서양서적을 직접 번역하지 않고 일본에서 1차번역 한 서적을 우리 말로 번역하다보니 이미 사용한 일본식한자를 번역어로 사용하여 같은 한자권이다보니 널리 통용되고 우리말인 것처럼 쓰여 온 것이지요
현재 한국인, 중국인의 일상 생활에 사용하는 상당수의 주요 한자어(漢字語)는 메이지 유신 때 만들어진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사회(社會)'라는 단어는 일본인이 외국어를 한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만든 번역어(飜譯語)입니다.
서양 개념인 'society'에 해당하는 동양 한자권의 언어로 정착되었습니다.
회사(會社)는 사회를 거꾸로 뒤집은 것이지만 영어의 Company를 번역했습니다(단, 중국에선 공사(公司/gōngsī)로 번역했지요).
'철학(哲學)'도 마찬가지입니다. 서양 개념인 'philosophy'를 '철학'으로 번역한 것입니다.
한국인이 늘 사용하는 ‘개인’(個人)도 마찬가지....일본 학자들이 메이지 유신(明治維新)을 거치면서 영어의 ‘individual’을 한자(漢字)로 번역한 것입니다.
이처럼 당시 일본의 지식인들이 주력한 것은 서양의 근대적 개념을 일본어로 대체하는 일이었습니다.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같은 당대의 석학들은 1873년 메이로쿠샤(明六社)라는 학술 단체를 결성해서, 한국을 비롯한 동양의 근대 의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용어들을 만들어냈습니다.
현대적 의미의 ‘자유’(自由)라는 단어도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 일본인들이 서양 서적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만든 번역어(飜譯語)입니다.
영어의 liberty, freedom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던 ‘自由’를 근대적 의미로 전용한 것입니다.
메이지 시대 이전 일본에서는 ‘제멋대로’라는 의미로 사용된 ‘자유(自由)’가 많은데, 이로 인해 일본 사람들은 ‘자유(自由)’라는 단어에 대해 처음에는 좋지 않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처럼 일본인들이 외국어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한자(漢字)를 사용해 만든 단어는 '개인'(個人) 뿐만 아니라 '자유'(自由), '권리'(權利), '사진'(寫眞), '헌법'(憲法) 등 현대 한국인이 사용하는 수 많은 단어들이 메이지 유신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일상에서 흔하게 쓰고 있는 용어들이 일본식한자어임을 알고 우리 말로 변환하여 쓰고자 하는 노력과 정성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네이버자료 참고 편집)
국립국어원 ‘일본어 투 용어 순화 자료집’ 발간(3)
2006. 03. 15. 글쓴이: 말터
일본어 투 용어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일본식 한자어이다. 이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쓰였고 우리 한자음으로 바꾸어 읽어 온 터라 순 일본어에 비하여 거부감이 덜하다. 그러나 이들 가운데 일부는 일본어에서만 통용되는 용법으로 쓰여서 우리의 일반적인 한자 지식으로 이해하기가 어렵다.
‘가봉(假縫, →시침질)’, ‘거래선(去來先, →거래처)’, ‘견양[見樣, →본(보기)]’, ‘견출지(見出紙, →찾음표)’, ‘고참[古參, →선임(자)]’, ‘과물(果物, →과일)’, ‘구보(驅步, →달리기)’, ‘급사(給仕, →사환)’, ‘기라성(綺羅星, →빛나는 별)’, ‘기중(忌中, →상중)’, ‘노견(路肩, →갓길)’, ‘대금(代金, →값)’, ‘대절(貸切, →전세)’, ‘망년회(忘年會, →송년 모임)’, ‘매점(買占, →사재기)’, ‘보합세(保合勢, →주춤세)’, ‘복지(服地, →양복감)’, ‘사양(仕樣, →설명)’, ‘소사(小使, →사환)’, ‘수순(手順, →차례)’, ‘수입고(輸入高, →수입량)’, ‘수입(手入, →손질)’, ‘수출고(輸出高, →수출량)’, ‘십팔번(十八番, →단골 노래)’, ‘양생(養生, →굳히기)’, ‘용달(用達, →심부름)’, ‘익일(翌日, →이튿날)’, ‘제전(祭典, →잔치)’, ‘지입(持込, →갖고 들기)’, ‘지참(持參, →지니고 옴)’ ‘취조(取調, →문초)’, ‘택배(宅配, →집 배달)’, ‘하구언(河口堰, →강어귀 둑)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이러한 일본식 한자어는 적절히 선별하여 자연스러운 우리말로 다듬어 쓸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