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찌어찌하여 이곳을 알게 되었습니다 모두 그러시겠지만 여유만 되시면 유학이라도 보내고 싶은 심정 그러나 한국 학원축구의 현실은 세계축구와 너무 동떨어져 있는 현실 저도 현재 중1 학부모입니다 초등시절 모를 때는 올려뛰기 그리고 전국대회에서 성적이 나서 결승도 가고 주전으로 뛰는 것이 가슴설레이고 그것이 다인것으로 착각도했습니다. 그러나 경기 위주의 연습과 집단 가르침의 폐혜를 알게 되었고 여러모로 고민과 결단을 통해 조금 늦게 가더라도 다시 가자는 마음으로 기본기 위주의 교육을 1년이상 시켜왔습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난후 학교로 갔던 주변에서 저희 아들의 다라라진 모습과 실력을 보고 다시 돌아오는 그런 경험을 했습니다. 중 1-2학년 시기 정말 중요합니다 학원축구에 그시기에 아이들을 맡겨놓아서는 절대 않됩니다 성장을 위한답시고 훈련은 거의 하지 않고 그저 살만 찌울 뿐입니다 근력을 키우기 위한 운동은 하지 않고 게임위주이기 때문에 늘 부상을 달고 선수 생활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지금 이글을 보시는 분들 중에 공감이 가시는 분들이 계시면 쪽지를 주시면 서로가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 됩니다 현재 자신이 약간 들러리라고 생각되시거나 뭔가 조금만 도와주면 아이가 주전이 될것 같으신 분들 꼭 쪽지 주세요 말로 다 할수 없는 경험을 서로 나누기를 원합니다
아들이 축구를 좋아해서 말리고 말리다 뒤늦게 시작하게 되었네요..... 기본기도 근력도 모든게 부족한데 중1때는 성장해야된다고 실컷 놀려서 살찐돼지가 돼서.... 뻑하면 부상.... 아들아 즐기는 축구해라!!!! 그게 현명하고 아들을 사랑하는 부모상이라며 우쭐됐던 기간이 ...... 무지한 부모덕에 망가져가는 아들이 보였습니다.....과연 어디가 정답일까 .... 모든 부모들의 고민입니다... 볼드리블, 슛팅, 헤딩, 리프팅 등 무리하지 않고 반복훈련하므로 집중력, 컨트롤과 더불어 잔근육을 키워서 몸을 만듦...지루하지만 최소한 중학교때 마스트 해야되는 기본기술들입니다.... 시합에 나가 한골 넣고 승리하는 재미는 잠시 접어두고요,,,,
초중학생에겐 기본근력운동과 발란스(코디네이션)훈련과 볼감각훈련을 해야합니다 너무 과한 훈련이나 근력운동을 한다면 성장기에 좋지못하기 때문이죠.. 이런 부분을 1:1로 잘 가르쳐주시는 코치분에게 배우시면 좋지 않을까합니다 그래야지 정말 필요한 시기인 18~ 이상의 나이에 좋은 실력으로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합니다.
네 동감입니다 그래서 저도 이런 글을 올린것입니다 외국이 아닌 한국에서도 그런것을 하고있는 곳이 있어서 제아이가 1년동안 실제적으로 경험을 해서 확실한 데이타를 가지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관심있는 학부형님들 중에서 현재 6학년이나 중1 부모님들중에 생각이 있으신분들 연락 부탁드립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1년동안 훈련후 아이가 어찌 변했는지 저희 아들을 통해 보여드리겠습니다010-2236-3929 최소한 고등학교 이상부터는 최소한 장학생이나 유스팀으로 가는 것을 희망하시는 부모님들은 꼭한번 생각해보시고 연락주세요 그리고 교육비도 학원축구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운동을 늦게 시작한 중학교 1학년 아이를 둔 아빠인데요..100%공감입니다...저도 아이를 학원축구부에 보냈었는데...허송세월을 보낸 느낌입니다, 연습이라고 공한번차고 뒤로가서 한참 떠들고...또한번 공차고 또 뒤로가서....재미나 뛰어난 아이들 몇을 위한 운동이 아닌 제 아이의 미래를 위하여 저도 과감히 학원축구를 나와 기본기를 다지고 운동을 할 수 있는 몸(근력,기본기등)을 만들고 있습니다. 더 늦기전에 중학교기간동안 착실하게 만들어 아이의 미래에 대하여 최선을 다했노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학원에서 그렇고 그런 선수로 대충 고등학교 진학시키고 그 뒤의일은 다 자식의 책임으로 떠 넘기는 그런아빠가 되고싶진 않네요..
첫댓글 렛슨 하시나요? 광고성 글.같아서 여쭈어 봅니다. 쪽지 말고 전번을 올려 주세요
렛슨 선생님은 아니구요 학부모입니다 010-2236-3929
잘몰라서 그러는데 근력운동이나 웨이트를 자주하는것이 성장기에있는중학시절에 적절한운동인지요...키가작은데 웨이트하는것이(정도에차인있겠지만)불안해서요~~
적절한 운동은 아이에게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적절하지 못한것은 효과적이지않죠
작은 아이한데 아이의 신체에 맞지 않는 운동을 시키로 몹시 피곤해 합니다
그러므로 아이의 신체적을것을 먼저 고려를 하셔야 겠죠
아들이 축구를 좋아해서 말리고 말리다 뒤늦게 시작하게 되었네요..... 기본기도 근력도 모든게 부족한데 중1때는 성장해야된다고 실컷 놀려서 살찐돼지가 돼서.... 뻑하면 부상.... 아들아 즐기는 축구해라!!!! 그게 현명하고 아들을 사랑하는 부모상이라며 우쭐됐던 기간이 ...... 무지한 부모덕에 망가져가는 아들이 보였습니다.....과연 어디가 정답일까 .... 모든 부모들의 고민입니다... 볼드리블, 슛팅, 헤딩, 리프팅 등 무리하지 않고 반복훈련하므로 집중력, 컨트롤과 더불어 잔근육을 키워서 몸을 만듦...지루하지만 최소한 중학교때 마스트 해야되는 기본기술들입니다.... 시합에 나가 한골 넣고 승리하는 재미는 잠시 접어두고요,,,,
공감합니다. 중학생단계에 맞는 적절한 근력운동을 해야 몸이 균형있게 성장하고 부상도 예방할 수 있다고 봅니다!
학원이든 유~스든 클럽이든.... 개인렛슨 안받는 아이는 몇% 될까요... 우리아이도 안하면 안되겠더라고요.... 경쟁의식이 아니고 기본기 자체가 많이 떨어지니까요.... 현실태를 욕하고 싶진 않네요....모든학교가 그런건 아니니까요... 이게 다 우리 부모들의 무지의 결산물입니다....축구 만큼은 사교육 없는....시합의 노예가 아닌... 기본기부터 차근차근하면.....국가대표도 일본한테 무참이 쓰러지지 않을꺼라 자신하면서.....
학교에서 시합위주훈련때문에 기본기, 개인기교육이 부족하지만 불만 보단 개인적으로라도 뒤떨어 지지 않게 열심히 뒷바라지해야겠습니다
하늘자유님, 학원축구에 절대 아이를 맡기면 안된다는 의견에 전적으로 공감하기가 어렵네요. 학원축구에서나 클럽에서나 모두 노력해서 좋은 선수로 성장하기를 기대합니다.
초중학생에겐 기본근력운동과 발란스(코디네이션)훈련과 볼감각훈련을 해야합니다 너무 과한 훈련이나 근력운동을 한다면 성장기에 좋지못하기 때문이죠.. 이런 부분을 1:1로 잘 가르쳐주시는 코치분에게 배우시면 좋지 않을까합니다 그래야지 정말 필요한 시기인 18~ 이상의 나이에 좋은 실력으로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네 동감입니다 그래서 저도 이런 글을 올린것입니다 외국이 아닌 한국에서도 그런것을 하고있는 곳이 있어서 제아이가 1년동안 실제적으로 경험을 해서 확실한 데이타를 가지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관심있는 학부형님들 중에서 현재 6학년이나 중1 부모님들중에 생각이 있으신분들 연락 부탁드립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1년동안 훈련후 아이가 어찌 변했는지 저희 아들을 통해 보여드리겠습니다010-2236-3929 최소한 고등학교 이상부터는 최소한 장학생이나 유스팀으로 가는 것을 희망하시는 부모님들은 꼭한번 생각해보시고 연락주세요 그리고 교육비도 학원축구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지역은 어디신지요??
일산입니다 관심있으시면 연락한번주시고 와서 보시는게 가장확실하죠 직접 눈으로 비교해 보심이....
운동을 늦게 시작한 중학교 1학년 아이를 둔 아빠인데요..100%공감입니다...저도 아이를 학원축구부에 보냈었는데...허송세월을 보낸 느낌입니다, 연습이라고 공한번차고 뒤로가서 한참 떠들고...또한번 공차고 또 뒤로가서....재미나 뛰어난 아이들 몇을 위한 운동이 아닌 제 아이의 미래를 위하여 저도 과감히 학원축구를 나와 기본기를 다지고 운동을 할 수 있는 몸(근력,기본기등)을 만들고 있습니다. 더 늦기전에 중학교기간동안 착실하게 만들어 아이의 미래에 대하여 최선을 다했노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학원에서 그렇고 그런 선수로 대충 고등학교 진학시키고 그 뒤의일은 다 자식의 책임으로 떠 넘기는 그런아빠가 되고싶진 않네요..
참으로 답답 합니다
이게 우리 현실 입니다
마음으로 가슴으로 눈으로 보는 행동 이제 다시 시작 하는 용기에 박수을 보냅니다
대한축구협회에 연령별 대회를 건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