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화순군 청풍면
화학산(華鶴山) 해발(614m) . 개천산(開天山) 해발(479m) . 천태산(天台山) 해발(479m)
산행일:2024년 05월 12일 솔 산악회 산행
산행 코스:청용마을-포장임도-묘지-약수터(쉼터)-능선-묘지-화학산-헬기장-접팔재-(주능선)삼거리-
깃대봉-임도끝-(봉재)삼거리-개천산-홍굴재-천태산-홍굴재-거북이등-개천사 하산
거리 13km 산행 시간 5시간 소요 된다'
네비:전남 화순군 청풍면 청용리 234-1 "화학산 주차장"
*** 화학산으로 안내하는 표지석 ***
*** 산행 들머리 청용마을 ***
*** 화학산의 유래 ***
*** 약수터 (쉼터) ***
*** 화학산 ***
화학산은
전남 화순군 청풍면에
걸쳐 있으며 화학산 해발(614m)로
봉미산과 곰재 능선으로 호남정맥이 거쳐
가고 국사봉 북쪽으로 화학산 고지의 명산으로
청풍면의 진산으로 동쪽에는 청풍면 청룡리 서쪽에는
도암면 우치리가 인접하고 산 능선으로 면과의 경계지점을
이루고 있으며 북쪽에는 개천산 천태산 남쪽에는 장흥 가지산
이 위치하고 화학산은 풍수지리학상 지형이 큰 화학산 작은
화학산으로 한 자웅(雌雄)의 학(鶴)이 날개를 활짝 펴고
나는 형상을 하고 있는 화학귀소형(華鶴歸巢形)이라
하여 산의 이름을 '화학산' 이라 부른다고 한다.
*** 정상 주변 통신탑 ***
*** 전망대 ***
*** 풍력발전단지 전경 ***
*** 접팔재 이정표 ***
*** 나무의 몸매가 특급 ***
*** 등봉재 이정표 ***
*** 개천산 ***
*** 촛대바위 ***
*** 홍굴재 ***
개천산과
천태산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홍굴재
*** 천태산 ***
천태산은
전남 화순군 춘양면과
도암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으로 나주쪽에서 바라보면 붓
끝처럼 보인다 하여 나주 사람들은
필체가 좋다고 하며 천태산이 보이는
여러 마을에서는 이 산을 문필봉(文筆峯)
또는 필봉(筆峯)이라 부르며 자기 마을
에서 명필가가 배출된다고 믿고 있는
천태산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산 자락
에는 비자나무 숲이 유명하다.
*** 천태산의 거북이 상 ***
천태산
중턱에 있는
이 거북상은 머리를
천태산 정상으로 하고 있으며
거북이가 산 정상에 오르면 일본이
망한다 하여 일제시대에 일본군이 목과
발을 잘라버렸다고 하며 이는 도선국사가
천태산 정상에서 철마(鐵馬) 방아를 찧어
당나라와 대적했다는 전설과 함께 천태
산이 국태민안의 중심지가 되는 산이란
사실을 전설로 증명해 주고 있으며 이
거북이는 금자상(今玆像)이라
고도 한다.
*** 개천사 비자나무 숲에 대한 설명 ***
*** 개천사 ***
개천사는
전남 화순군 청풍면에
위치하고 통일신라 현덕왕 말기
(809-825년) 도의선사가 창건했다는
설과 통일신라 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있지만 모두 후대의 기록이라 확인하기
어렵고 조선시대 정유재란 때 불에 타 소실되었
다가 복구되었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용화사로 불렀
으며 천불전이 있었는데 1950년 한국전쟁으로 소실
되었다가 1963년에 주지 김태봉이 주민들의 협조로
대웅전과 요사채를 중건하였으며 1987년에는 당시
주지였던 희안이 주변에 흩어져 있던 다섯 개의 부
도를 모아 비자나무 숲 아래에 부도 밭을 조성하였
고 사찰의 전각으로는 대웅전 천불전 침수루 요사
채 등이 있으며 청련암 백련암 등의 세 암자를
거느리고 있는 개천사이다.
*** 개천사 ***
특히 개천사
계곡 주변으로는
1,000여 그루의 비자
나무가 300년 동안 큰 숲을
이루고 있어 (국가지정 천연기념물
483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네비:전남 화순군 춘양면 변천길 399 "개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