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빠알리 니까야를 읽어야 하는가
anuja-na-mi bhikkhave saka-ya niruttiya- buddhavacanam. pariya-pun.itum. ㅡㅡㅡ
이 문장을 리스 데이비드(Rhys David)와 올덴베르크(Odenberg)는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
형제들이여, 나는 깨달은 이들의 말을 각각 그 자신의 방언으로 배우도록 허락한다
(I allow you, O brethren, to learn the word of buddhas each in his own dialect).[2]
그러나 붓다고사의 주석을 참고하여 가이거(W. Geiger)는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
수행승들이여, 나는 깨달은 이의 말을 그 자신의 언어로
―즉 부처님이 사용한 언어인 마가디 어로― 배우도록 허락한다
(Ihr Bhikkhus, Ich verordne, das Buddhawort in seiner eigenen Sprache d.i.
in der vom Buddha gesprochenen s.prache, der Magadhi).[3]
ㅡㅡㅡㅡ
재해석
● anuja 안우자, 안우재, 아 누자
P) brother (), sister (),
s) born after (이후에 태어난), younger (), younger brother (),
아 누자 : 누자 = 오줌 누자 , 태어나다,
아 = 태양, 음양 조화 , 감탄사 아!
누 = 누이, 누부, 누에를 치던 여인 , 으로 추론하며
자 = 아들 子, 者 로 추정한다.
● 안우 an u 아누 = 아주작은, 원자,분, 순간,각서,등에 뜻이다.
쁘라즈나 경에서 “안 웉따라”와 다른 형태이며
알라야 비자 나나에서
★vija = 종자, 씨앗이라고 해석한 것을 보면
vi = 빛을 의미하며 자는 子,者를 의미 하는 것과 같다고 여긴다.
★ nuda 누다 = 총,배출 등이라고 해석 했듯이 , 겨 누다 , 오줌 누다 등으로 파생된다.
● -na 나 : 1 인칭 나 ,내, 아니다, 장소, 知
● -mi : mi, me ,ma 헤아리다, 측량, 계산 , (옷감 한)마, 생각,
● bhikkhave 빅카바, 비끄해베, 비끄하베 : 이 단어는 나오지 안는다.
위 해석자들에 의견을 참고하여
★bhikkhave에서 va 로 찿으면
사전에는 "bhikkhavacana 로 : 비끄해 바차나, 빅카해 바쳐나 ㅡ나오며
★bhikkha ; alms(의연금 ,구호품), food(음식),구걸,음식을 구걸하다 등
★ vacana 바차나, 바쳐나, 뵈차나 ,뵈찬아 :말,단어,말하기,속담.발표력,표현, 말씀을 바쳐,등이고
★bhikkha /have 로 추론 한다면,
surely (확실히, 설마, 안전하게), 과연 ,참으로.틀림없이
★bhikkha va 라면 : va : iva, eva :이바 ,에바 , ~처럼
~ 바 所 (일정한 곳이나, 지역, 자리 ,위치, 그런 바 ,저런 바 )
오직,다만, 단지,바로,심지어, 평평한, 한결같은
그런데 산스사전에는
★ bhiksaka 비끄 사까 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거지, 거지들, 걸인,탁발자 등이다.
★saka = 사까는 석가족을 의미하는 사끼야 ,새끼야 ,싹야 삭야 ,싹,싹아라고 발음한다.
즉 석가족에 탁발자 (수행자) 라고 추론되지만,
●saka-ya 사까 야 , 사까 여, 싹아 야 ,
saka 사까, 싹아
P)one's own (자신.자기) , relation (관계, 연관,연고),
one's own property (자신에 재산),
★vegetable (야채,식물, : 이 해석은 원 발음이 싹, 싹야 ,쌔끼(줄)이기에,
야채나 식물이라는 해석 했을 것으로 추론해 본다)
이 단어를 추론해 보았는데
p)s) 사전에서는 (saka 사까 와 sakka 삭까 )에 공통된 해석들이 잇는 것으로 봐서는
단일 해석이 아님을 유추할 수 있겟다.
즉 싹까(석가세존)를 의미하거나 색니족(석가족)을 의미 하겠다.
● ya 야, 여 , 너 , 간다, 등 어느,그리고 그, 그러나 그, 무엇, 어떤일,
도대체 무엇이, ~것은 무엇이든지
(충청도나, 전라도어에서 뒤에 붙이는 그래유, 그래야 등으로 비슷하다)
● niruttiya-니뤁띠야 : 니뤁띠 /야):
P)언어 ,어법,국어, 문헌학, 언어학
★S) nirukta 니뤀따, 니뤁따 ,nirukti ,niruktu,
세단어는 같은 해석들로 나온다.
uttered (utter; 말하다, 완전한,매우,심하게, 전혀),
pronounced (뚜렷한,명백한, 단호한),
expressed (표현하다,나타내다,발표하다,급행),
defined (정의된, 경계를 정한다,명시하다,특징이되다),
distinct (뚜렷한,단른 ,독특한),, interpreted (해석하다,통역하다,이해하다, 설명하다),
enjoined (명하다, 과하다, 금지하다), explicitle mentioned (명시적으로 언급된),
explanation (설명 ,해명, 해석), etymolgical (어원의 어원학상의 ),
explanation etymolgical
word derivation (단어유도, ~을 말로 나타내다, 단어를 이끌어냄, 등)
communication of an event that has taken place .
니룩띠, 따등은 니로다,니루다(진멸,소멸)과는 다르게
닐러,닐른다 = 일른다, (아뢰거나, 일러 바친다)는 뜻이다
● buddhavacanam.부다바차나 ,붇다 바쳐나
(이 단어 역시 깨달은 분에 말씀,으로 할 것인가 ,
보아서 아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할 것인가 ㅡ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하겠다) ,
다만 여기서는 주류에 대세를 따라
깨달은 분에 말씀 또는 부처에 말씀으로 해석 하겠다.
★ (buddha 붇다:
부드는 싹이 오른다, 부드부드 = 부글부글(거품)로도 해석되며
훈민정음에는 된 발음으로 “부톄“라고 기록되엇으며 해방 후 ”부쳐,부처“로 발음이 바뀌었다)
● pariya-빠리야 , 빨리야 ,빨리 가다
(pali : 빨리, 팔리(어)빨리 ; 폭 넓은 , 두루두루 라는 해석도 있다)
pariya 빨리야 : to go (가는 거요),
travel about (이리저리 여행하다(순하다)),
go round (돌아다니다, 돌아 가세요, 퍼지다),
through (~을 통과하여,~을 두루, 동안내내, 줄곧 ,관통하여),
to run through(도망치다가,통과하기 위해서),
protect (보호하다,지키다, 방어 막다, 수호), guard(경비원, 경계,보호하다, 막다,방어),
ramble (산책하다, 거닐다),
wander about (방황하다, 돌아다니다), shun (피하다, 차렷),
★ 이는 쁘라 즈나 경 서두에 나오는 단어인 "pra , para " 와 같은 뜻이 많다 ,
빨리 ,빨라,쁘라(빨리) :빨리 보호처로 가다
pa : 빠 ,파 빼 ,패 등 : 보호 , (아) 빠, 영양분, 음식 등등이다
● pun. 뿐, 뻔, 푼
S) to act piously (경건하게 행동하라, 신앙심 깊게 행동),
virtuously (유덕하게,고결하게, 절개있게),
● itum.( 찿을 수 없슴): 다만 이 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안타)
수행승들이여, 나는 깨달은 이의 말을 그 자신의 언어로
―즉 부처님이 사용한 언어인 마가디 어로― 배우도록 허락한다
ㅡ가이거ㅡ
ㅡㅡㅡㅡㅡㅡㅡ
소납 해석
★ anuja- na- mi bhikkhave
(형제자매여 ) (?) ( 헤아리니) (탁발승(처럼)
saka-ya niruttiya- buddhavacanam.
(싸까족 자신에게) (말하다(표현하다) ( 깨달은분에 말씀을)
자기자신에게 설명하다 깨달은 말씀을 (바쳐)
pariya- pun. itum.
(빨리 보호처로 가는) (신앙심 깊은 행동으로) (?)
ㅡㅡㅡㅡㅡ
불경은 픽션인가 논픽션인가
서구인들이나 한국이나 살을 너무 많이 붙이는 것은 똑같다.
그것도 없는 단어를 들이대느라 애쓴 흔적이 보인다.
삼가 도원 합장()
ㅡㅡㅡㅡㅡ중략 ㅡㅡㅡㅡㅡ
① imasmim. sati idam. hoti,
② imassuppada- idam uppajjati.
③ imasmim asati idam. na hoti,
④ imassa nirodha- idam. nirujjhati [5]
위 문장은 필자가 그대로 번역한다면 아래와 같아진다.
이것이 있을 때 이것이 있으며, 이것이 생겨나므로 이것이 생겨난다.
이것이 없을 때 이것이 없으며, 이것이 소멸하므로 이것이 소멸한다.
재해석
① imasmim. sati idam. hoti,
② imassuppada- idam uppajjati.
③ imasmim asati idam. na hoti,
④ imassa nirodha- idam. nirujjhati [5]
이 해석도 6~70 % 정도만 맞다 익히 잘 알다시피
sati 마음 챙김이라고 흔히 아는 단어이고
'memory , mindfulness, active state of mind , attention 등인데
"있을 때 " 라고 해석하였으며
hoti 역시 장차 ~가 되는, 미래의 ,존재, 있다, 생존 "이라는 있다를 비추어
있을때라고 사띠와는 전혀 맞지 안는 해석을 하엿다.
아사띠는 음식이라는 뜻인데 ㅡ
사띠를 부정하는" a" 는 마음챙김을 부정하거나 거부한는 뜻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