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대통령 권한 대행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 대해서
About the phone call between Acting President Han Deok-soo and U.S. President Trump
-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장 정승남(Jeong, Seung-Nam / Chairman, 21st Century English Teachers’ Association of Korea - 21st C.E.T.A.)
1. 한덕수 국무총리는 부잣집에서 태어나 명문 하버드 대학교에서 쉽게 공부를 하였고, 대한민국 최고위 공무원으로서 무수히 많은 영광과 명예와 권력을 누렸습니다.
Prime Minister Han Deok-soo was born into a rich family, studied easily at prestigious Harvard University, and enjoyed countless honors, and powers as Korea's highest civil servant.
2. 따라서, 영어 회화는 자유자재로 구사할 능력이 있겠으나,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 대행으로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영어 전화 통화할 수 있는 영어 회화 실력을 뽐내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비록 영어 회화를 잘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통역을 활용하여야 하고, 그 통역이 통역해 주는 그 짧은 시간에 머릿속으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생각과 주장, 원하는 논점, 전략 등을 정교하게 예측, 분석, 검증하고 대비하고, 매우 효율적이고 설득적이며 호소력 있는 전화 통화를 통해서 대한민국의 국익에 부합되는 지혜를 발휘했어야 합니다.
Therefore, he will be able to speak English conversation freely, but it is not important for the acting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show off his English conversation skills to speak directly with President Trump. Even if he is good at English conversation, he should use an interpreter. He should have carefully predicted, analyzed, verified, prepared Trump’s ideas, issues, and strategies, and demonstrated his own wisdom in Korea's national interest through efficient, persuasive and appealing phone calls.
3. 그러나, 한덕수 대통령 권한 대행은 이러한 효율적이고 설득적이며, 호소력 있는 전화 통화를 위한 지혜의 발휘보다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 기회가 주어졌다는 사실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는데 집중했습니다.
However, acting president Han Deok-soo focused on politically utilizing the fact that he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speak with U.S. President Trump rather than using his wisdom for such an efficient, persuasive, and appealing phone call.
국익을 도모할 만큼의 지식, 리더쉽, 미래에 대한 비전, 효율적인 전략, 국민 통합, 국가와 사회 질서 확립, 만신창이가 된 국민들의 찢어지는 가슴을 위로하고 마음의 평온과 안정을 도모하며, 사회적 경제적 안정을 꾀하는 데 몰두했어야 합니다.
It should have been devoted to promoting knowledge, leadership, vision for the future, effective strategy, national integration,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and social order, comforting the torn hearts of the devastated people, promoting peace and stability of mind, and seeking social and economic stability.
그럼 불구하고, 내란 동조 세력의 앞잡이가 되지 말아야 할 일만 서슴없이 행하는 태도와 자세는 참으로 부끄럽기 그지없습니다.
Nevertheless, it is truly shameful that the attitude of doing things that should not be the frontman of the rebellion sympathizers are truly shameful.
4. 따라서, 한덕수 국무총리는 대통령 권한 대행으로서, 단순한 영어 회화 실력을 뽐내고, 하버드 대학교 출신을 뽐낼 것이 아니라, 모든 국민이 존경하고, 우러러볼 정도의 지적 및 도덕적 능력, 뛰어난 리더쉽 발휘, 탁월한 사회적 정의감, 미래에 대한 비전 제시, 국민 누구나 이해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게 할 수 있는 미래의 비전과 정책 제시, 매우 효율적이고 실현가능한 국가적인 전략 사업 추구 등을 위해서 봉사하고 헌신하는 자세와 태도가 있어야 합니다.
Therefore, Prime Minister Han Duck-soo, as acting president, should not just show off his simple English conversation skills and show off his Harvard-educated former colleagues, but should also serve and dedicate himself to intellectual and moral abilities, to the extent that all people respect and admire him, to demonstrate leadership, to present an excellent sense of social justice, to present a vision for the future, to present a vision and policy for the future that can make all people understand and have hope for the future, and to pursue a national strategic project that is highly efficient and feasible.
한덕수 국무총리는 대통령 권한 대행은 화려한 학력과 직책의 허울 속에 국민의 마음을 멍들게 하고, 사회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정치를 혼탁하게 만들고, 사법 질서를 무너뜨리고, 무너져가는 국민 경제를 먼 산 불구경하듯 자기의 사익(私益) 추구에만 여념이 없었습니다.
Prime Minister Han, Deok-soo who is The acting presidential authority has been busy pursuing his own private interests as if he were to bruise the hearts of the people, confuse society, confuse politics, break down the judicial order, and neglect the crumbling national economy in the midst of a brilliant academic background and position.
늦었지만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반드시 반성하고, 자아를 성찰하여 바른 길로 나아가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역사의 죄인이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Although it is late, I sincerely hope that you will reflect on yourself and take the right path by reflecting on yourself as a person of the people. I hope you don't become a sinner of history.
--------------------------------------------------------------
'한덕수 통화' 트럼프 "한국 관세·방위비 원스톱 쇼핑"...한 대행이 동의?
방위비분담금, 알래스카 LNG 등 일괄 협상하나... 트럼프 과장? 한덕수 월권?
한덕수-트럼프 첫 전화 대화...28분간 진행
Acting President Han's call with Trump could point the way for Korea-U.S. trade talks
박희재2025. 4. 8. 22:01 연합뉴스
한덕수 대행, 조금 전 미 트럼프 대통령과 첫 통화
밤 9시 3분에 시작돼 31분 종료…28분간 진행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70여 일 만 첫 통화
'탑-다운' 선호하는 트럼프…실무협상 영향 있을까
https://youtu.be/mPzz8yprEGA?si=5irefihnFlY9S-y5
https://tv.kakao.com/v/454264571
Published: 09 Apr. 2025, 19:19 The Korea Joongang Daily / 중앙일보
Acting President and Prime Minister Han Duck-soo speaks during a phone call with U.S. President Donald Trump on April 8. [NEWS1]
Acting President and Prime Minister Han Duck-soo’s 28-minute phone call with U.S. President Donald Trump Tuesday night may mark a pivotal moment in setting the framework for Korea’s trade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In a meeting with fellow Republicans following the call with Han, Trump referred to the concept of “one-stop shopping,” which Korean trade officials interpret as a U.S. desire for Seoul to offer a package deal — including tariffs, defense spending and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 — to resolve the trade surplus with Washington. The United States also seemingly wants Korea to focus on investing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and Alaska liquefied natural gas (LNG).
The Tuesday night call is significant because key U.S. policy decisions are often shaped directly by Trump, according to trade officials. Until now, Korean negotiators, including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hn Duk-geun and Trade Minister Cheong In-kyo, have struggled to identify the core demands of the U.S. side.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preparing for negotiations from multiple angles, and with the support of summit-level diplomacy through this call, working-level talks aimed at lowering tariffs are expected to gain momentum,” said Park Sung-hoon, a professor emeritus at Korea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The timing of the call was coordinated to coincide with the Korean negotiation team’s trip to the United States.
“Their top team is on a plane to the United States, and things are looking good,” Trump remarked after the call in a post on his official Truth Social account.
Upon arrival, Cheong is scheduled to meet with his U.S. counterpart, Jamieson Greer of the U.S. Trade Representative (USTR), to accelerate the negotiations.
U.S. President Donald Trump signs an executive order at the White House in Washington on April 8. [AFP/YONHAP]
“The Alaska LNG project is an important issue, and shipbuilding — where Korea is already strongly competitive — is another area of high interest to the U.S. side,” Cheong told reporters at Dulles International Airport in Washington on Wednesday. “These sectors will be on the table.”
The Korean government’s stance is expected to shift, particularly regarding investment in the Alaska LNG project.
Unlike Taiwan, which has already signed letters of intent (LOIs) with the United States for LNG purchases and investment, Korea has remained hesitant. However, the massive scale of the project, estimated at $39 to 44 billion, and the absence of a sitting president in Korea have complicated decision-making.
Recent comments by U.S. Treasury Secretary Scott Bessent, who said the Alaska development "could serve as an alternative in the Korea-U.S. and Japan-U.S. tariff talks,” have elevated the issue to a central position in negotiations, prompting an accelerated review on the Korean side.
Trade Minister Cheong In-kyo arrives at Dulles International Airport in Washington on April 9. [YONHAP]
Nonetheless, assembling a package deal will require careful coordination across government ministries. To fend off U.S. demands, such as increased defense cost-sharing, Seoul may need to offer concessions in the form of expanded market access or removal of nontariff barriers — tasks complicated by divergent interests among government agencies.
“To execute a package deal, the chief negotiator must be given broad authority that spans across ministries,” said Heo Yoon, a professor at Sogang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But aligning ministries could prove difficult in the current climate of a snap presidential election.”
During a parliamentary session on Wednesday, Industry Minister Ahn confirmed that he plans to visit the United States soon.
“Once the trade minister returns from Washington, we will assess the content of the negotiations and conduct a cross-ministerial analysis,” he said.
Translated from the JoongAng Ilbo using generative AI and edited by Korea JoongAng Daily staff.
BY KIM WON [lim.jeongwon@joongang.co.kr]
---------------------------------------------------------
한덕수-트럼프 첫 전화 대화...28분간 진행
박희재2025. 4. 8. 22:01 연합뉴스
한덕수 대행, 조금 전 미 트럼프 대통령과 첫 통화
밤 9시 3분에 시작돼 31분 종료…28분간 진행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70여 일 만 첫 통화
'탑-다운' 선호하는 트럼프…실무협상 영향 있을까
https://tv.kakao.com/v/454264571
한덕수-트럼프 첫 전화 대화...28분간 진행
[앵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조금 전 통화를 진행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로는 처음인데, 우리 시간으로 내일 낮 1시부터, 미국의 25% 상호관세가 발효되는 만큼 관련 내용이 포함됐을지 주목됩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박희재 기자! 한덕수 대행이 조금 전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마쳤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조금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처음으로 진행한 통화를 마쳤습니다. 통화는 우리 시간으로 오늘(8일) ...
tv.kakao.com
[앵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조금 전 통화를 진행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로는 처음인데, 우리 시간으로 내일 낮 1시부터, 미국의 25% 상호관세가 발효되는 만큼 관련 내용이 포함됐을지 주목됩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박희재 기자!
한덕수 대행이 조금 전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마쳤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조금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처음으로 진행한 통화를 마쳤습니다.
통화는 우리 시간으로 오늘(8일) 밤 9시 3분에 시작돼, 31분에 종료됐습니다. 28분 정도 이뤄진 건데요.
한덕수 대행이 진행한 이번 통화는,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70여 일 만에 진행된 첫 통화입니다.
한국 시간으로 내일(9일) 낮 1시를 기점으로, 우리나라를 상대로 미국의 25% 상호관세 행정명령이 발효되는 것과 관련해 우려을 전달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교역 대상국들과 관세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관세 유예는 검토하지 않는다고도 덧붙였지만, 이번 통화에서 다소 진전된 내용이 포함될지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앞서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늘 아침, 3박4일 간의 방미길에 올랐죠.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정상 간에 큰 틀을 합의한 뒤 실무적인 논의를 이어간 이른바 '탑-다운' 협상 방식을 자주 해왔던 점을 고려했을 때,
한덕수 대행이 이번에 진행한 통화 내용이 정 본부장이 미국 현지에서 진행할 향후 협상에 주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확인되는 대로 전해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총리실에서 YTN 박희재입니다.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한덕수 통화' 트럼프 "한국 관세·방위비 원스톱 쇼핑"...한 대행이 동의?
안홍기2025. 4. 9. 07:33 오마이뉴스
방위비분담금, 알래스카 LNG 등 일괄 협상하나... 트럼프 과장? 한덕수 월권?
[안홍기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
ⓒ 국무총리실제공 |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고 있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 전화통화를 했다. 미국이 일방적으로 부과한 '상호'관세 협상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분담금, 알래스카 쳔연가스 개발 투자, 조선산업 투자 등을 한데 묶는 "원스톱 쇼핑" 협상을 예고했다.
한덕수 총리는 8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한·미동맹 강화 ▲무역불균형, 조선 산업, 알래스카 천연가스 개발 투자 등 경제협력 ▲북한 핵문제 ▲한·미·일 협력 등에 대해 협의했다. 총리실에 따르면 두 사람의 대화 시간은 28분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SNS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한 총리와 전화통화한 내용을 전했다. 그는 한 총리와 "훌륭한 통화를 했다"면서 "그들(한국)의 엄청나고 지속 불가능한 (대미) 무역 흑자, 관세, 조선 산업, 미국산 액화천연가스의 대량 구매, 알래스카 (LNG) 파이프라인 공동 투자 그리고 우리가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 방위에 대한 비용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고 썼다.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분담금을 크게 인상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수십억 달러의 군사 방위 비용 지급은 내 첫 임기 때 시작한 것이고 졸린 조 바이든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이 거래를 끝냈다. 모두에게 충격이었다"라고 했다. 그는 "지금 우리는 양국 모두에게 매우 훌륭한 거래의 틀과 가능성이 있으며 상황이 매우 좋다"며 "한국의 고위 협상팀이 미국을 향한 비행기에 탔고, 전망은 밝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많은 다른 나라들이 미국과 협상하려고 한다면서 "한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단순한 무역과 관세 문제를 넘어 다양한 주제들을 함께 협상 테이블에 올리고 있다. '원스톱 쇼핑'은 정말 아름답고 효율적인 방식이다!!"라고 했다. 미국이 일방적으로 부과한 '상호'관세를 지렛대로 다른 분야 현안까지 한꺼번에 타결하겠다는 것이고, 다른 나라에 앞서 한국을 본보기로 삼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관세와 방위비분담금 등 일괄 협상? 트럼프의 과장?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분담금 관련 언급은 틀린 내용이다. 방위비분담금은 1991년부터 시작됐다. 트럼프 대통령 첫 임기인 지난 2020년 미국은 연간 방위비분담금을 50억 달러로 올리라고 요구했는데, 이는 한꺼번에 5배 이상 올리라는 요구였다. 문재인 정부 때 맺은 11차 방위비분담금 협정은 2020~2025년 분담금 인상률을 한국의 국방비 증가율에 연동하는 것이었다.
2026~2030년 방위비분담금 인상률 결정 방식은 지난해 11월 맺은 12차 방위비분담금 협정으로 이미 정해져 있다. 한국은 윤석열 정부 때, 미국은 바이든 정부 때 맺은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은 이를 파기하고 방위비분담금을 크게 올려 받겠다는 것이다.
전 세계를 향한 일방적인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미국 전역에서 시위가 벌어진 것은 물론 여당인 공화당의원들과 대선 때 거액의 기부금을 낸 유력자들도 관세 문제에 대해서만큼은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상황.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미국의 관세부과에 맞대응하지 않고 협상하자고 매달린 일본, 한국 같은 경우를 내세워 자신의 전략이 먹혀들고 있다고 과시하기 위해 한 총리와 한 전화통화 내용을 과장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관세 문제와 방위비분담금 등 다른 문제까지 한 테이블에 올린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에 한 총리가 동의한 것이라면, 임명직에 불과한 한 총리가 '대응의 시급성'을 내세워 외교라는 대통령의 중대한 고유권한을 마구 행사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한 총리는 이미 '대통령 몫'의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권한대행이 지명해 월권을 했다는 지적도 받는 상황이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 소셜트루스에 대통령 권한대행 한덕수 국무총리와 전화통화한 사실을 알렸다. |
ⓒ TruthSocial |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 ㈜ 파우스트 칼리지
전 화 : (02)386-4802 / (02)384-3348
이메일 : faustcollege@naver.com / ceta211@naver.com
Cafe : http://cafe.daum.net/21ceta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Band : http://band.us/@ceta2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Blog : http://blog.naver.com/ceta21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Web-site : www.faustcollege.com (주)파우스트 칼리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