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사성어]三綱五常(삼강오상) 유교 도덕의 세 강령과 다섯 인륜
三綱五常(삼강오상)은 유교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 강령과 다섯 가지 인륜을 말한다.
삼강과 오상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한(漢) 무제(武帝) 때 동중서가 천존지비(天尊地卑)사상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을 구축했다. "오직 천자만이 하늘에서 명을 받고 천하는 천자에게서 명을 받는다[惟天子受命于天,天下受命于天子]"고 했다. 그는 또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입각하여 강상(綱常)이론을 확립했다. "하늘의 수는 우수이고 양이고 우수가 아니면 음이다[天數右陽而不右陰]" "군신 부자 부부의 의는 모두 음양의 도에서 취하니 군주는 양이되고 신하는 음이 되며 아버지는 양이 되고 아들은 음이 되며 남편은 양이 되고 아내는 음이 된다[君爲陽 臣爲陰 父爲陽 子爲陰 夫爲陽 婦爲陰]." 후한(後漢) 장제(章帝)가 백호관(白虎觀)회의를 소집하여 '삼강'설을 정식으로 채택하였다. 이것은 글자 그대로 임금과 신하, 어버이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이다. 공자(孔子)의 사상이 세상속에 퍼져 국가의 지도이념으로 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다. 이후 이 삼강오상은 확고한 유교 도덕으로 굳어져 중국은 물론 우리나라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參考]三綱五倫(삼강오륜)
삼강은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을 말하며 이것은 글자 그대로 임금과 신하, 어버이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이다. 오륜은 오상(五常) 또는 오전(五典)이라고도 한다. 이는 《맹자(孟子)》에 나오는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의 5가지로,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道)는 친애(親愛)에 있으며,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의리에 있고, 부부 사이에는 서로 침범치 못할 인륜(人倫)의 구별이 있으며,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하며, 벗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뜻한다. 삼강오륜은 원래 중국 전한(前漢) 때의 거유(巨儒) 동중서(董仲舒)가 공맹(孔孟)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三綱五常說)을 논한 데서 유래되어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 도덕이다.
출처:전남일보 정유철 기자의 한자이야기.NAVER한자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