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5호
보유자; 모필장 필원 이인훈 毛筆長 筆園 李仁勳 선생의
자택공방을 찾아서 아름다운 '붓' 을 전해올립니다.
대구광역시 달서구 구마로 36길 20(본동) 청구그린맨션209/707
삼우당 필방 TEL 053)654 - 4003


1代 이달호 / 2代 이상재 / 3代 이인훈(선친으로부터 전수 1960~)
2004.6.10.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5호 모필장 지정
2005. APEC 2005 KOREA 5개 국어로 번역 각국 보도
2005. 故 노무현 대통령 소장
2006. 前 전두환 대통령 소장
2006. 남북 전통 공예 교류전 출품 전시
2007. MBC 생방송 전국시대
2007. 영화 못말리는 결혼 협찬
2007. MBC 드라마 태왕사신기 협찬
2008. 2008년도 국립 국어원 출판 - 민족 생활어 조사.4
2008. 문화재청 일본 주일 한국대사관 기증 (전시회 출품작)
2008. 영화 미인도 협찬
2008. SBS 드라마 바람의 화원 협찬
2008. 배용준 중국 "장이머우"감독에게 선사
2009. 영화 인사동 스캔들 협찬
2009. 前 이명박 대통령 일본총리에게 선사
2010. 부천 세계 무형문화유산 엑스포 시연
2010. 덕수궁 무형문화재 작품 전시출품
2012. 前 이명박 대통령 소장
2014. 대전, 대구 무형문화재 교류전 전시회 출품
2016.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제전

대구 상동 보현암 주지 선진스님께서 필요한 붓을 구매하러
직접 이인훈선생님의 댁을 방문하면서 아름다운 작품들을 사진에 담아 올립니다.
선진스님께서는 전통불복장의식전수자로서 평소 많은 붓을 사용하시며
주로 경면주사로 범서를 많이 쓰시는 까닭에 붓이 많이 소모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붓의 역사
붓은 서화書畵에 사용하는 도구로써, 문방사우文房四友의 하나이며
짐승의 털을 모아 나무관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진晉나라의 장화張華가 쓴
<박물지博物志>에는 BC3세기에 몽염夢염 이 만들었다고 되어있으나 이것은
문헌분석과 출토유물에 의해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은대殷代의 갑골甲骨가운데
붓으로 쓴 듯한 것이 출토되었고, 갑골문과 금문金文가운데 붓을 뜻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글자들이 있고, 신석기 시대말인 용산龍山과 앙소仰韶의 채색토기에 붓이 아니면
묘사할 수 없는 그림이 있는 것으로 보아 BC2500년 이전부터 붓을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1932년 평양 정백리貞柏里 제121호분에서 털 부분만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중앙에 심을 넣고 주위를 털로 싼 것으로 중국의 쥐옌에서 출토된 BC 1세기의 붓과
비슷하다. 1988년 경상남도 창원 다호리多戶里에서 완전한 형태의 붓 5자루가 발견되었다.
첫댓글 귀한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