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 름(凛,凜)자는 얼음 빙(冫)자 변에 줄 품(稟,禀)자를 했습니다. 얼음 빙(冫)자를 했으니 차갑겠지요. 줄 품(稟,禀)자는 회의 글자입니다. 줄 품(稟,禀)자는 덮는다는 뜻이 있는 돼지 해(亠)자 아래에 돌 회(回)자를 하고 또 벼 화(禾)자를 했습니다. 돌 회(回)자는 쌓아 놓았다는 표시이고 벼 화(禾)자는 곡식을 뜻합니다. 줄 품(稟,禀)자는 곡식(禾)을 많이(回) 준다(亠)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늠신판(凜新版) 늠열(凜冽) 늠호(凜乎) 늠연(凜然) 늠름(凜凜) 늠률(凜慄)
능가할 릉(凌)자는 얼음 빙(冫)자 변에 언덕 릉(夌)자를 했습니다. 언덕 릉(夌)자는 언덕을 기어오르는 표시입니다. 얼음(冫) 언덕(夌)까지도 오르는 것은 실로 어려움을 능가(凌)하는 일입니다. 능가(凌)한다는 말은 한계를 넘어선다는 말입니다. 능란(凌亂) 능운(凌云) 능가(凌駕) 능운(凌雲) 능욕(凌辱) 능이(陵夷) 이소능장(以小凌長)
모 릉(稜)자는 의부(義符)로 벼 화(禾)자에 성부(聲符)로 언덕 릉(夌)자를 했습니다. 언덕 릉(夌)자는 흙 토(土)자 아래에 여덟 팔(八)자를 하고 그 밑에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땅(土)이 언덕처럼 생긴 글자 여덟 팔(八)자로 비탈진 아래에서 위로 천천히 걸어 올라간다(夊)는 표시입니다. 능장(稜杖) 능골(稜骨) 능각(稜角) 능선(稜線) 암능(岩稜) 산릉(山稜) 측릉(側稜) 능위(稜威)
비단 릉(綾)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언덕 릉(夌)자를 했습니다. 언덕 릉(夌)자는 흙 토(土)자 아래에 여덟 팔(八)자를 하고 그 밑에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땅(土)이 언덕처럼 생긴 글자 여덟 팔(八)자로 비탈진 아래에서 위로 천천히 걸어 올라간다(夊)는 표시입니다. 능가(綾佳) 능성(綾城) 능자(綾子) 동향릉(同向綾) 능문(綾文) 능라(綾羅) 능견(綾絹) 능금(綾衾)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