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름 릉(菱)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언덕 릉(夌)자를 했습니다. 언덕 릉(夌)자는 흙 토(土)자 아래에 여덟 팔(八)자를 하고 그 밑에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땅(土)이 언덕처럼 생긴 글자 여덟 팔(八)자로 비탈진 아래에서 위로 천천히 걸어 올라간다(夊)는 표시입니다. 능인(菱仁) 능즙(菱汁) 능산(凌山) 능천(菱川) 능실(菱實) 삼개릉(三蓋菱) 능화(菱花) 능형(菱形)
모 릉(楞,棱)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언덕 릉(夌)자를 했습니다. 모 릉(楞)자는 불교에서만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모 릉(棱)자가 본자(本字)입니다. 언덕 릉(夌)자는 버섯 록(圥)자 아래에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버섯 록(圥)자는 버섯이 아니라, 땅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능가(楞伽) 능엄경(楞嚴經) 측파릉(側巴楞) 색릉격(色楞格)
큰 언덕 릉(陵)자는 의부(義符)로 언덕 부(阜,阝)자에 성부(聲符)로 언덕 릉(夌)자를 했습니다. 언덕 릉(夌)자는 흙 토(土)자를 하고 글자의 아래에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언덕은 흙을 쌓아 올린 곳이며, 걸어 올라가기에 힘이 든다는 표시를 한 것입니다. 능원(陵園) 능향(陵享) 능위(陵位) 능참봉(陵參奉) 영릉(寧陵) 영릉(零陵) 영릉(英陵)
속될 리(俚)자는 사람 인(人,亻)변에 마을 리(里)자를 했습니다. 다스릴 리(理), 속 리(裏,裡), 잉어 리(鯉), 삵 리(狸)자 들은 리(里)자가 들어 있어서 ‘리’로 읽습니다. 마을 리(里)자는 사람이 사는 주거지를 말합니다. 마을 리(里)자는 흙 토(土)자 위에 밭 전(田)자를 해서 구획 정리를 해서 집을 지은 거리를 뜻합니다. 이속(俚俗) 이부(俚夫) 이부(俚婦) 이곡(俚曲) 이가(俚歌) 이천(俚淺) 이언(俚言) 이어(俚語)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