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영유아 성교육 경험
핵가족화와 맞벌이 부모가 증가함에 따라 보육기관에서 영유아 보육이 증가하고 있다. 보육교사는 영유아 성장발달 단계와 교육적 환경 조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영유아의 중요한 대안 애착의 대상인 보육교사의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 성역할 고정관념을 갖기 쉬운 영유아의 정신적, 신체적 성장이 빨라지고 있어 영유아의 성정체감과 올바른 성역할 개념을 정립하고 성폭력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영유아기에 성교육을 제공하는 조기 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양질의 성교육은 성 발달, 생물학적 건강, 자기 조절과 안전, 대인관계, 정체성, 의사소통기술,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탄력성, 의사결정, 사회적 성, 도덕/윤리적 가치관과 같은 측면들을 모두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
보육현장에서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고 적극적인 역할과 실천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보육교사들은 성교육 실행에 대한 어려움과 자신감 결여를 호소하고 있어[8,9] 성교육의 질과 효과가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박상욱, 손행미, 김주현, 박혜진, 변해선, 장미숲, 허혜지, 고도경. (2022). 보육교사의 영유아 성교육 경험. 대한질적연구학회지, 7(2), 152-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