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계층 : 가족층
한라산 정상은 만년설처럼 두터운 눈 속에 파묻혀 있고 바닷가에 쉼 없이 불어대는 해풍에서는 섬뜩
한 한기가 느껴지는 2월이다. 하지만 남제주군 대정읍 일대의 드넓은 들녘에서는 때 이른 봄 기운이
또렷이 느껴진다. 제주도의 봄을 알리는 전령사인 수선화가 한창이기 때문이다.
수선화는 대도시의 화원이나 가정집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관상용으로 개량된 서양
수선화이다. 애초부터 우리 땅에서 스스로 나고 자란 야생 수선화를 보려면 남해안의 거문도나 제주
도를 찾아가야 한다. 특히 제주도에는 때깔은 소박하면서도 꽃향기가 아주 진한 야생 수선화를 어디
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사계리 해안도로에 핀 수선화(사진제공 : 여행작가 양영훈)
제주도에서도 야생 수선화가 가장 흔한 곳은 추사 김정희 (1786~1856)가 9년 동안 유배 생활을 했던
남제주군 대정읍의 들녘이다. 수많은 자동차들이 분주히 오가는 도로변에도 수선화가 있고, 바닷가
의 양지바른 언덕에도 피어 있다. 또한 마을 안의 돌담 밑과 고샅길뿐만 아니라 들녘의 밭둑과 무덤
가에서도 수선화가 피고 진다.
기나긴 유배생활에서 비롯된 절망감과 고독으로 인해 적잖이 힘겨웠을 추사는 수선화를 매우 어여삐
여겼다. 오늘날까지 전해오는 추사의 글 가운데에는 수선화를 예찬하는 내용이 여럿 있다. 그 중 권
돈인이라는 친구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수선화는 정말 천하의 구경거리이다. 중국의 강남은 어떠
한지 알 수 없지만, 여기는 방방곡곡 손바닥만한 땅이라도 수선화 없는 데가 없다” 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추사는 소담스레 꽃을 피운 수선화를 두고 “희게 퍼진 구름 같고 새로 내린 봄눈 같다”
고 표현하기도 했다.
사계리 해안에서 바라본 형제섬 해돋이(사진제공 : 여행작가 양영훈)
그러나 추사와는 달리, 현지 주민들에게 있어서 수선화는 별로 달갑지 않은 식물이었다. 제주도 방
언으로 수선화는 “말마농”이라 불린다. 말 그대로 해석하면 “말이 먹는 마늘”이지만, 진짜 속뜻
은 “아무 짝에도 쓸모 없는 마늘”이라는 뜻이다. 야생 수선화는 번식력이 강해서 한번 밭에 뿌리
를 내리면 다른 농작물의 생장을 가로막을 정도로 무성하게 퍼져 나가기 때문이다. 좁고 척박한 밭
에 온 식구들의 생계가 달려 있는 농부들에게 수선화는 눈에 띄는 대로 뽑아 버려야 할 잡초에 불과
했던 것이다. 실제로 대정들녘의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다 보면, 뿌리째 뽑혀서 밭가에 나뒹구는 수선
화가 어렵지 않게 발견된다.
요즘에는 일부러 수선화를 심어 놓은 곳도 군데군데 눈에 띈다. 도로변의 작은 공원이나 유명관광지
의 화단, 민가 정원에 청초하고 단아한 모양의 야생수선화가 화사하게 피어 있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드넓은 대정들녘 중에서도 대정향교와 산방산 사이의 도로변과 밭가, 송악산~사계리 해안도로변, 대
정읍 상모리의 알뜨르비행장터 등지에서 야생 수선화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알뜨르 비행장터의 격납고 잔해(사진제공 : 여행작가 양영훈)
수선화가 핀 대정들녘에는 추사적거지, 대정읍성, 대정향교, 알뜨르비행장터, 일오동굴, 백조일손지
묘 등 제주도의 역사와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유적이 많다. 그 가운데 추사적거지는 대정읍 안성리에
자리잡고 있다.
명문가의 자손으로 태어나 승승장구하던 추사 김정희가 졸지에 유배객이 되어 제주도에 당도한 것은
1840년(헌종6) 9월 27일이었다. 당시 집권세력이었던 안동 김씨 일파가 10년 전에 종결된‘윤상도의
옥사’를 다시 들춰내서 추사를 중죄인으로 옭아맨 것이다.
처음에 포교 송계순의 집에 머물던 추사는 얼마 뒤 강도순의 집으로 옮겼다. 이 곳에서 추사는 후학
을 양성하는 일에 진력했을 뿐만 아니라, 유명한 〈세한도〉와 추사체의 완성시켰다. 그리고 마침내
제주도에 유배된 지 꼬박 7년 3개월, 햇수로는 9년 만인 1848년 12월에 유배에서 풀려났다. 현재 추
사적거지에는 당시의 초가가 옛 모습 그대로 복원돼 있다.
추사적거지 옆에는 옛날 대정현의 관아가 자리했던 대정읍성의 일부가 남아 있다. 왜구의 침입을 막
기 위해 조선 태종 17년에 처음 세워진 석성이다. 대정읍성의 동문터 밖에는‘濟州大靜三義士碑(제
주대정삼의사비)'라는 비석이 있다. 신축년(1901)의 농민항쟁을 이끈 세 지도자, 즉 이재수,오대현,
강우백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추사적거지에서 빤히 바라보이는 단산(바굼지오름)의 남쪽 기슭에는 대정향교가 자리잡고 있다. 구
조와 기능은 여느 향교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주변의 풍광과 분위기가 퍽 독특하다. 향교 앞의 드
넓은 들녘 너머로는 눈이 시도록 푸른 바다와 형제섬, 송악산 등이 고스란히 눈에 들어온다.
송악산 해안의 일오동굴(사진제공: 여행작가 양영훈)
제주도의 서남단 바닷가에 우뚝 솟은 송악산(104m)은 가파도와 마라도, 산방산과 용머리해안, 한라
산 정상까지도 한눈에 들어올 만큼 조망이 빼어난 오름이다. 그리고 송악산 북쪽의 들녘은 일제시대
에 오무라 해군항공대의‘알뜨르비행장’이 들어섰던 곳이다. 지금도 들녘 곳곳에는 당시 건립된 비
행기격납고의 잔해가 흉물스럽게 남아 있다. 송악산 기슭의 해안 절벽 아래에는 일본군이 군수품과
어뢰정을 숨겨두기 위해 파놓은 인공동굴도 많다. 모두 15개여서 ‘일오동굴’로도 불리는데, 얼마
전 인기리에 방송됐던 TV드라마 <대장금> 의 촬영지로 알려진 이후 관광객들의 발길이 줄을 잇는다.
그 밖에도 송악산~사계리 해안도로는 제주도에서 가장 아름답고 운치 있는 해안 드라이브 코스 중의
하나로 손꼽히는 길이다.
<관련 여행정보>
○ 관련 인터넷 웹사이트: 남제주군청(www.namcheju.net )
○ 문의전화
남제주군청 관광진흥과(064)730-1720
남제주군청 관광지관리사무소(064)730-1541
남제주군 대정읍사무소(064)794-2301
추사적거지기념관(064)794-3089
○ 대중교통 정보
- 버 스
*06:00~21:25까지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서부관광도로행(제주→동광→보성→대정) 버스 이용.
추사적거지 입구에서 하차.
*06:00~21:00까지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서회선일주도로행(제주→애월→한림→신창→대정→
화순→중문→서귀포) 버스 이용. 대정(모슬포)에서 하차.
* 문의처 : 제주종합버스터미널(064)753-1153~4)
○ 자가운전 정보
제주공항 - 신제주 - 서부관광도로(95번국도) - 동광사거리 - 대정 방면 - 추사적거지 입구
○ 식당 정보
- 해녀식당(모슬포항 입구, 생선회와 회덮밥, 064-794-3597)
- 항구식당(모슬포항 입구, 자리물회, 064-794-2254)
- 산방식당(대정읍내, 밀냉면과 수육, 064-794-2165)
- 남경미락(사계리, 생선회, 064-794-0055)
- 진미식당(사계리 해안도로변, 생선회, 064-794-3639)
- 형제식당(사계리 해안도로변, 갈치조림, 064-792-0092)
○ 숙박정보
- 제주BB펜션(064)792-5670, 라파도휴양펜션(064)792-1331,
- 산방산휴양펜션(064)794-3100, 산야별장리조트(064)794-9999,
- 통나무하멜빌(064)792-4479, 미르빌펜션(064)792-2918,
- 바닷가하우스펜션(064)794-0966, 라메르펜션(064)792-3434,
- 파도소리펜션(064)792-8222, 실버스타모텔(064)794-6400,
- 한남호텔(064)794-3431
○ 주변명소 정보
- 산방산, 용머리해안, 하멜기념관, 마라도, 안덕계곡, 서광다원, 제주조각공원, 분재예술원,
소인국테마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