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물 만(晩)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에 성부(聲符)로 벗어날 면(免)자를 했습니다. 면할 면(免)자는 아기가 엄마 배 속에서 나오는 출산(出産)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저물 만(晩), 해산할 만(娩), 의혹할 만(悗)자들은 면할 면(免)자가 들어 있어서 ‘만’으로 읽습니다. 일만(日晩) 만야(晩夜) 만모(晩暮) 만종(晩種) 만생(晩生) 만귀(晩歸)
찰 만(満,滿)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평평할 만(㒼)자를 했습니다. 평평할 만(㒼)자는 물이 가득 담겨진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물은 담겨 있으면 평평하게 되기 때문에 평평하다는 뜻을 표시하게 되었습니다. 만복(滿腹) 만원(滿員) 비만(肥滿) 비만(痞滿) 불만(不滿) 만목(滿目)
일만 만(萬)자는 전갈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일만이라는 수가 전갈처럼 무섭다는 말입니다. 일만 만(萬)자의 갑골문자는 꼬리를 치켜든 것까지 전갈을 꼭 닮은 글자입니다. 만원(萬圓) 만인(萬人) 만사(萬事) 만국(萬國)
바를 말(抹)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끝 말(末)자를 했습니다. 끝 말(末)자는 나무 목(木)자에서 나무의 끝 부분에 한 일(一)자로 표시를 해서 나무의 끝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말장(抹仗) 말불개(抹不開) 말도(抹刀) 말거(抹去) 말장(抹墻) 말두(抹頭) 말자(抹子) 말소(抹消)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