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반역자 이완용
【"무슨 낯으로 이 길을 떠나가나", 동아일보 1926. 2.13】
1926년 2월11일, 매국노 이완용이 사망했다. 서슬퍼런 일제치하였지만, 당시 동아일보는 ‘부음논설’을 1면 머리로 게재한다. 논설의 제목은 ‘무슨 낫츠로(낯으로) 이 길을 떠나가나’였다.
“누가 팔지 못할 것을 팔아서 능히 누리지 못할 것을 누린 자냐. …살아서 누린 것이 얼마나 대단하엿든지 이제부터는 바들(받을) 일, …어허! 부둥켰든 재물은 그만하면 내노핫지(내놓지)! 앙랄(악랄)하든 이 책벌을 인제부터는 영원히 바다야지!”
2월13일자 이 논설은 일제의 검열에 걸려 삭제된 채 발행 배포됐다(사진). 하지만 이 ‘매국노의 졸기’는 결코 사라지지 않은 채 길이 남게 됐다. ‘구문(口文)후작(侯爵)’, 즉 ‘나라를 팔아넘긴’ 대가로 작위를 얻은 매국노라는 오명을 남기며…. 사실 언론 자유를 만끽한다는 요즘도 죽은 자의 일생을 제대로 정리·평가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죽은 자를 향한 추모’를 미덕으로 여기는 풍토 때문이다. 부음기사, 하여튼 잘 써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무슨 낯으로
이 길을 떠나가나
1
그도 갔다. 그도 필경 붙들려갔다. 보호순사(保護巡査)의 겹겹 파수(把守)와 전비전벽(錢扉磚壁)의 견고한 엄호(掩護)도 저승차사의 달겨듬 하나는 어찌하지를 못하였으며 드러난 칼과 보이지 않는 몽둥이가 우박같이 주집(注集)하는 중에서도 이내 꼼짝하지를 아니하던 그 달아진 동자(瞳子)도 염왕(閻王)의 패초(牌招) 앞에는 아주 공손(恭遜)하게 감겨지지 않지를 못하였고나. 이 때이었다. 너를 위(爲)하여 준비(準備)하였던 것이 이 때이었다.
아무리 몸부림하고 앙탈하여도 꿀꺽 드리 마시지 아니치 못할 것이 이 날의 이 독배(毒杯)이다.
너의 시렁이 빠지도록 무거히 실린 관기훈장(官記勳章)과 너의 고앙이 꺼지도록 들어잠긴 금은재백(金銀財帛)도 이 때 너를 도움에 털끝만한 소용이 없음을 다른 사람이 아닌 네가 촐촐히 샅샅이 미감(味感)하게 될 마당이 이제야 다닥쳤다.
만(萬)을 반절(半截)한 오직 덕형(德馨)과 천(千)을 양만(兩萬)한 많은 생맥(生脈)을 귀떨어진 쇠쪼각으로 바꿀 때에는 그런 것이나마 천사만사(千斯萬斯) 누릴 줄 알았지마는 이제 와서는 모두 다 허사(虛事)임을 깨닫고 굳어가는 혀를 깨물 그 때가 왔다. 모든 것이 다 몽환(夢幻)같고 포영(泡影)겉건마는 오직 하나 추치오욕(醜恥惡辱)만이 만고(萬古)의 현실(現實)로 떨어짐을 깨닫게 된 이 때의 너의 심내(心內)야 그래 어떠하냐.
2
학부(學部)의 구실만 치르고 말았서도 하는 생각도 나지. 아니, 애당초 대가(大家)의 양자(養子)로 들어가지 말고 시골서 땅이나 파다가 말았더라면 하는 생각도 나지. 깨끗한 몸과 편안한 마음으로 마지막의 눈을 감음에는 너의 어저께까지 옳게 알던 것이 하나도 오늘의 고뇌전민(苦惱煎悶)케 하지 않는 것이 없음을 새삼스러이 기막혀 하지 아니치 못할 것이다. 아까까지도 깜박거리면서 자기변호(自己辯護)할 말이나 생각하고 자기위안(自己慰安)할 길이나 찾았었지마는 60여생의 완운미무(頑雲迷霧)가 다 거쳐지고 천량(天良)의 월륜(月輪)만이 둥구러이 낭조(朗照)하는 이 마당에서 보지 말자 하여도 자꾸만 눈에 들어오는 더러운 뼉다귀 부대를 데미다 보고야 안차고 달아진 네 눈에선들 걷잡을 수 없는 뜨거운 눈물이 어찌 아니나 쏟아질 것이냐.
이제는 나막신 친구의 알랑거리는 빛도 너의 눈에서 떠날 것이며 한 구덩이 여우들끼리의 서로 위로하던 말도 너의 귀에서 사라질 것이다. 이 눈이 감기면서 떠지는 새 눈의 앞에는 다만 이의(理義)와 오직 법도(法度)의 삼엄위숙(森嚴威肅)한 세계(世界)가 나설 것이다.
이 때까지 궁구(窮究)하기를, 나는 죽으면 열종(列宗)과 광왕(光王)과 깨끗한 조상(祖上)네들에게 대면(對面)하지 아니할 딴 저승으로 살짝 도망해 가리라 하였을지라도 염부(閻府)의 네 대접이 어디서와 같을리 없으매 너를 위(爲)하여 딴 길을 갈 리가 있을 것이냐. 계정(桂庭)의 높은 대문 앞도 지나지 아니치 못하며 포은(圃隱)의 빛난 동네 속으로도 나가지 아니치 못하리니 그 때마다 퍼다 붓는 모닥불이 네 몸을 안팎으로 태우고 또 태울 일이 딱하지 아니하냐. 그리하고 환영(歡迎)의 기(旗)라도 들고 나올 듯한 송삼(宋三) 조사(趙四)도 풍(鄷)에는 휴가(休暇)가 없으매 찾아도 보이지 아니함이 그 중(中)에도 못내 섭섭 씁쓸하겠지.
3
사람의 현사(顯思)가 무서운 것 아니요 귀신의 음의(陰議)만 두려운 것 아니다. 이것저것을 면(免)하기도 하는 것이지마는 회간윤교(檜姦倫巧)도 면하지 못한 것은 구경(究竟)의 일사(一死)요, 일사이후(一死以後) 영원(永遠)한 공벌(公罰)이다. 무섭고 두려운 것이 무엇이냐 하면 갈수록 불고 더하여 그칠 줄을 모르는 이 영원(永遠)한 형징(刑懲)의 아픔이다. 이렇게 살아서의 미안(美眼) 가찬(佳饌) 호거(好居) 선식(善飾)이 얼마나 유연(柔輭)이 체(體)에 적(適)하고 순당(順當)이 심(心)에 칭(稱)하였을지라도 그것은 꿈같은 시대의 일이다. 영원(永遠)한 업보(業報)에 제 몸에 얽매임과 항구(恒久)한 타매후세(唾罵後世)에 떨어져 감에 비(比)하여서도 그것이 달고 맛갈스러울수는 없다. 목숨은 짧은데 의(義)는 길며 사람은 몰라도 법(法)은 엄(嚴)하다.
누가 불의(不義)의 부귀(富貴)로써 능(能)히 신후(身後)를 유윤(裕潤)케 한 자(者)—냐. 누가 팔지 못할 것을 팔아서 능(能)히 누리지 못할 것을 누린 자(者)—냐. 서로영(棲露嶺)의 꼭지만큼 악왕묘(岳王墓)를 위(爲)하여 아름다운 향기(香氣)를 뽑는 일변(一邊)에 서호유객(西湖遊客)의 편리(便利)가 왼통 무추상(繆醜像)을 향(向)하여 더러운 냄새를 끼얹는 것만이 어찌 충간(忠姦)의 현보(顯報)라 하랴. 보이지 않는 천하(天下)의 오예(汚穢)가 형상(形相)없는 추상(醜相)을 벌책(罰責)함은 일찍 일각(一刻)의 관완(寬緩)이 없으리니 살아서 누린 것이 얼마나 대단하였는지 이제부터 받을 일, 이것이 진실로 기막히기 아니하랴. 문서는 헛것을 하였지마는 그 괴로운 갚음은 영원(永遠)한 진실(眞實)임을 오늘 이 마당에서야 깨닫지 못하였으랴. 어허, 부둥켰던 그 재물(財物)은 그만하면 내놓았지! 앙탈하던 이 책벌(責罰)을 이제부터는 영원(永遠)히 받아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