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차같은경우에는 철도청 인버터차량 얄려드립니다. 일산, 안산선은 전부 내장재 개조를 한 상태며, 분당선이나 1호선 같은 경우에는 1호선:501~542:내장재까지 개조, 543~564:의자, 바닥재만 개조(부분개조),565~592,601~607:완전 불연제작 분당선:247,248,250,255~269,273~276:내장재까지 개조,282~287:부분개조
혹시 질문자님께서 의도하신게 이거일지 모르지만요,훼놀⇒페놀입니다, 페놀-열경화성플라스틱으로 열을 가해도 녹지 않고요,장점은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페놀은 철도공사 차량중 로윈에서 내장재 교체를 한 차량이 사용한 것으로 보여집니다.(확실하지는 않습니다.)그리고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이고요,모양이 매우 미려한게 장점이고요,열에 매우 약하고 타게 되면 유독가스가 나오는게 단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이 내장재는 내장재교체로 인해서 내장재 미교체차량에서만 볼수 있습니다.
Al-혹시 알루미늄을 말씀하시는 건가요?알루미늄은 잘 모르겠고 철판 내장재는 있습니다.철판-전철의 내장재에 사용할땐 세라믹 도료를 입혀서 사용합니다.이 내장재의 특징,장점은 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철로 되어있으므로)그리고 이 내장재는 주로 서울메트로,서울도시철도공사 차량에서 사용합니다.또 추가로 특징 하나가 더 있는데요,철이므로 딱딱하다는 점입니다.그리고 철판내장재는 서울메트로,서울도시철도공사 말고 어디서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첫댓글 흠냐;; HSR은 특수 알루미늄을 쓴다고 들었는데 특장점은 무게가 가벼워 속도를 내는대 도움이 되구요;; KTX는 강철이라고 들었습니다;
아... 그건 차체 재질입니다.
전동차같은경우에는 철도청 인버터차량 얄려드립니다. 일산, 안산선은 전부 내장재 개조를 한 상태며, 분당선이나 1호선 같은 경우에는 1호선:501~542:내장재까지 개조, 543~564:의자, 바닥재만 개조(부분개조),565~592,601~607:완전 불연제작 분당선:247,248,250,255~269,273~276:내장재까지 개조,282~287:부분개조
혹시 질문자님께서 의도하신게 이거일지 모르지만요,훼놀⇒페놀입니다, 페놀-열경화성플라스틱으로 열을 가해도 녹지 않고요,장점은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페놀은 철도공사 차량중 로윈에서 내장재 교체를 한 차량이 사용한 것으로 보여집니다.(확실하지는 않습니다.)그리고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이고요,모양이 매우 미려한게 장점이고요,열에 매우 약하고 타게 되면 유독가스가 나오는게 단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이 내장재는 내장재교체로 인해서 내장재 미교체차량에서만 볼수 있습니다.
Al-혹시 알루미늄을 말씀하시는 건가요?알루미늄은 잘 모르겠고 철판 내장재는 있습니다.철판-전철의 내장재에 사용할땐 세라믹 도료를 입혀서 사용합니다.이 내장재의 특징,장점은 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철로 되어있으므로)그리고 이 내장재는 주로 서울메트로,서울도시철도공사 차량에서 사용합니다.또 추가로 특징 하나가 더 있는데요,철이므로 딱딱하다는 점입니다.그리고 철판내장재는 서울메트로,서울도시철도공사 말고 어디서 쓰는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