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북지역의 시안 인촨을 중심으로 중국 민간항공 및 통용항공산업이 중점 육성중임
- 현지 항공산업 수요가 있는 장비 부품 소재 솔루션 관련 협력 모색 필요
□ 중국 민간항공 산업 개요
<C919 대형여객기>
*자료원: 바이두 검색
o 중국 민항 여객 화물 시장 현황 및 전망
- 중국민항여객운송량은 2016년에는 약 3.22억 명으로 전년대비 10.9% 증가함. 2017년 5.4억명에서 2021년 8.3억 명에 달하여 평균 11.0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중국민항화물운송량은 2016년 419만톤으로, 전년대비 4.5% 증가함. 2017년 670만톤에서 2021년 812만 톤에 달하여 향후 5년 간 평균 4.92%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중국민항여객수송량 (단위: 억명)
중국민항화물운송량 (단위: 만톤)
*자료원: 중국산업뉴스망 공개자료 정리
o 민항공항 현황
- 중국민항 공항은 총 216곳으로, 년간승객수송규모 1000만명 이상인 공항은 28곳임.
- 중국민용항공국(약칭 민항국民航局)에 따르면,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쓰촨 청위지구成渝地区 등 7개 공항의 여객수송 시장점유율이 전국의 38%를 차지함.
- 중국 산업뉴스망의 <2016-2022년 중국민항시장조사 및 미래전망예측보고>에서는 중국 민항공항은 꾸준히 증가하는 발전속도만큼 아래 세 가지 과제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함.
① 민항 산업의 급속한 신규 수요 증가로 공중구역(空域), 토지 등 공간자원이 점차 한계 직면 ② 도시계획건설과 공항 공간유지 사이의 상호입장충돌, 환경 및 안전확보 췌손 야기 ③ 공항 용량 확대, 비행기 수량 증가에 대응할 공항수용능력 부족, 항공편 지연 등 문제 |
o 항공사 현황
- 2017년 말 기준 중국 민항기 총수량은 3261대이며, 그 중 남방항공, 동방항공, 에어차이나(중국국제항공) 등 3대 항공사를 포함한 7개사가 각각 100대 이상을 보유하고 있음.
2017년 100대 이상 항공기 보유 민항기업 현황
*자료원: 국가통계국, 중국산업보고망 정리
o 중국내 주요 항공기 현황
- 시안옌량(阎良)국가항공하이테크산업기지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민항산업은 시안(西安)과 상하이(上海) 등이 주력 중점도시의 역할을 하고 있고 중국 항공기제조는 아래 3 기종을 중심으로 발전될 전망임
① C919 : 현재 중국 여객기중 가 대표적인 기종으로 약 100여개 특허 기술을 보유함. ② 新舟(MA)700 : 시페이(西飞)사가 독자 기술로 제조한 기종으로, 현재 중앙아시아 등 16개 국가와 교역거래중임. ③ ARJ-21 : 2016년 중국 국내산 첫 제트식 지선 여객기로 정식으로 상업 운항에 투입됨. |
- 관계자에 따르면, 항공산업은 매년 정부 주력 순위 3위이내 산업으로, 국가 차원에서의 국산화 제조 정책에 따라, 산업 잠재력이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됨.
<ARJ21 비행기> < 터보프롭비행기涡轮螺旋桨飞机>
*자료원 : 바이두 검색
□ 산시성(陕西省) 항공 산업
o 관중평원도시 항공교통허브 구축
- 국가발전개혁위가 2018년초 발표한 <관중평원도시발전계획>에서 시안 등 관중지역 도시들의 산업 발전 방안과 함께 항공교통 인프라와 제조업 수행방안을 언급함.
- 시안은 시안셴양국제공항, 시안북역西安北客站, 시안국제항무구西安国际港务区 등 3개의 인프라를 바탕으로 실크로드경제벨트의 국제성 종합교통허브 구축을 추진
- 시안셴양공항의 국제항공허브 구축과 함께, 바오지宝鸡、톈수이天水、핑량平凉、화산华山 등 민용 지선 공항 프로젝트 업무를 개시하고 통용(通用) 공항 건설을 추진
o 산시성 항공산업 경쟁력 및 인프라
- 인민망보도 및 섬서성유관연구원 자료에 의하면, 산시성은 항공우주 영역의 과학기술실력과 제조경쟁력에서, 위성서비스 및 제조업, 지면설비제조업을 중심으로 전국 선두권에 위치함
- 2018년 4월 말까지, 항공우주산업의 특허 총 수량은 56643항 중 산시성이 4306항으로, 이는 전국총수의 7.6%에 해당되며, 통신네비게이션의 경쟁력이 강하여 특허수가 전국의 30% 이상임.
- 그 외에 지면시설부품 측정테스트, 속도거리 측정, 제어시스템, 세라믹재료 등 특허수가 전국의 10%에 달함
- 연구개발인프라에 있어, 항공국가중점랩 6개, 국방중점랩 7개, 국가전문랩 4개, 성급 중점랩 20개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급 항공기술발전의 중심지임.
- 2017년 4월 *5개 기관 기업이 공동으로 섬서항공항천동력연구원을 설립, 항공우주동력 분야 과학기술 사업화를 추진 예정임.
* 관련기업 : 중국항발서안항공엔진유한공사,중국항발서안항공동력제어과기유한공사,서북공업대
- 시안시 옌량(阎良)구는 국가급 항공산업기지 및 국방전략중심구로서 항공자원 최적화와 산업발전 전략 거점 역할을 수행 중임.
o 정부의 항공산업 발전 정책 방향
- <산시성 13차5개년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계획> 중 항공산업 육성 방안
- 대형비행기, 항공엔진 등을 중심으로, 대중형 운송기 신형터보프롭 지선비행기, 통용비행기, 민용무인기, 항공엔진, 기체탑재 시스템 관건부품 전용 설비 등 연구제작과 산업화 중점 추진, - 진일보하게 항공산업체인망을 완비, 글로벌 최대 터보프롭지선비행기 연구제작 생산기지 구축 - 运20 및 新舟700 연구제작과 新舟60/600 시리즈화 발전을 추진하고, 运8/运9 기종 시리즈 비행기의 업그레이드 개조, 무인기 연구제작과 산업화 추진 - C919/C929、ARJ21、AG600 등 중대형 기종의 부품장비 협력을 확대 - 비행기 시험 테스트, 유지보수 개조, 공무기 운영, 항공임대차, 보세물류, 항공소재 공급, 기술서비스 및 전문양성훈련 등 항공서비스업 발전 가속화 - 통항(通用航空)공항 고정운영기지 건설 추진, 통항비행네트웍 완비, 비행훈련양성, 항공전시회, 항공관광, 긴급구조, 비행기 파종조림, 농업재배보호등 통항산업 을 중점 발전시킴 |
- 2018년초 시안시의 정부업무보고중, 항공산업 발전 부분
항공 우주기지와 *유관 기업 및 연구기관을 통해, ARJ21과 MA700지선여객기, C919대형여객기 부품, 무인기, 북두네비게이션, 공업로봇 등의 연구개발생산을 완수하고, 항공우주산업의 글로벌 역량 및 영향력을 보유하도록 발전노력 *기업명 : 中航西飞集团、中航一飞院、中航试飞院、航天五院西安分院、航天六院 등 |
- 관중평원도시발전계획중 항공산업
- (경쟁력보유분야) 고급장비제조, 항공우주, 차세대 정보기술, 신소재, 에너지화학공업 등에서, 산업체인의 취약점 및 기술 지체 분야를 개선, 핵심기술 연구개발을 강화, 선진기술 성과응용 촉진, 산업 체질의 고급화와 업그레이드를 도모 -> 항공산업은 항공 동력 및 신소재 등 취약분야를 중점육성, 총체적 설계생산능력 제고 - (군민军民융합분야) 군민간 기술 전환, 민간부문 부품 생산과 협력에 참여 -> 항공산업은 대형비행기, 항공엔진, 신소재 분야 기업을 중점 지원하고 항공산업클러스터를 조성 추진 |
- 민항국과 섬서성간 전략적 협력 좌담회(11월7일)
산시성 후허핑(胡和平)서기와 류궈중(刘国中)성장이 좌담회에 참가, 아래의 협력방안 논의. - 시안국제항공허브를 공동 건설, 일대일로 연선국가와의 항공허브를 조성. - 공항건설 운영의 품질을 제고, 공항운영환경 최적화, 府谷、宝鸡、定边 신설공항의 전반기 츠로젝트를 추진하고 榆林 공항 확장개선, 延安、安康 공항을 이전 건설 지선공항 운영을 지원 - 항공산업 기지를 건설하고 화물 운송공사를 설립해 시안 통용항공 산업시범구를 추진 - 통용항공종합서비스플랫폼 건설, 통용 공항과 FSS(Flight service station) 계획 건설 강화 - 산시성 내 통용항공기업이 의료구호, 단거리수송, 통항 전역 여행, 무인기 물류 배송, 응급 구조 등 민생서비스 영역의 시범사업추진 지원 자료원: 중국민항망(中国民航网) |
□ 닝샤 자치구(宁夏自治区) 인촨시 통용항공(通用航空)산업 발전
<통용항공기>
*자료원: 环球网
o 중국의 통용항공 (General Aviation) 현황
- 통용항공通用航空은 민용항공기를 사용 공공항공운수 이외에 항공활동을 수행, 예를 들어 공업,농업,임업,어업과 건축업 등의 작업비행이나 의료위생 응급재난구호 기상탐측 해양감측 과학실험 문화체육 활동등에 활용됨 (바이두 참고)
- 2017년말 현재 중국 전체 통용공항(임시 이착륙장) 수는 약 301 곳이며, 업체 수는 365개, 항공기는 2984대로,비행 시간은 83.75만 시간이며, 종사인원 수는 1.3만 명임
- “13.5”(2016-2020)기간 중국 통용공항 총수와 비행작업시간은 30-50%의 성장이 전망되며, 통용공항 수는 500개까지 증가되고, 기체 제조 시장은 2000억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
o 닝샤 회족자치구는 중국 서북지역에서 통용항공 산업을 중점으로 하고 있음.
- 닝샤 정부는 <통용항공발전규획(2013-2020년)>과 <닝샤통용항공산업발전촉진 실시의견>을 제정하여, 통용항공을 고급장비제조산업으로 정책지원을 추진중임
- 자치구 정부는 현재 2곳의 통용공항(인촨월아호银川月牙湖, 염지盐池)이외에도 2020년까지 홍스바오红寺堡, 퉁신同心, 롱더隆德 공항을 건설하고, 시지西吉 하이위엔海原 징위엔泾源 칭통샤青铜峡 공항의 전반기 프로젝트를 추진중
- 현재 3개 통항운영기업(西部(银川)通用航空有限公司、宁夏浩天通用航空有限公司、宁夏翼扬通用航空有限公司) 을 보유하고 있고, 2017년 통항비행시간은 972시간임
- 현재 인촨시 통항산업의 미비점은 전체 산업발전수준이 아직 정체되어 산업규모가 작고, 중국의 저공 항공구역 개방이 늦고, 통영항공 기초인프라시설이 미비하며, 전문기술 운영관리 시장개방 인재 등이 전반적으로 부족하고, 투자유치 프로젝트 진행도 아직 순조롭지 않음.
- 인촨시는 <인촨시통항산업발전규획(2018-2030년)>을 통해, 통항분야 핵심산업으로 통용항공제조, 항공관광, 항공운송과 함께 항공의료구호 항공교육 통항단거리운송 등을 육성하고 있고 동반협력산업으로 통항유지보수 전시회무역 임대차 등을 추진중에 있음 <인촨시 통항산업 구조>
*자료원 인촨시통항산업발전규획(2018-2030년)
□ 주요 수입 동향
o 중국의 수출입국가 현항 (HS품목:880310) , 당월/누계: 누계, 단위: 천불, %)
순위 | 국가명 | 2016년 | 2017년 (12월) | ||
수출액 | 수입액 | 수출액 | 수입액 | ||
| 총계 | 17936 | 20,716 | 16,835 | 21,225 |
1 | 미국 | 3,341 | 3,186 | 7,993 | 10,980 |
2 | 영국 | 2.719 | 245 | 2,818 | 229 |
3 | 홍콩 | 9,347 | 0 | 2,423 | 0 |
4 | 수단 | 303 | 0 | 1,516 | 0 |
5 | 독일 | 736 | 770 | 703 | 524 |
6 | 프랑스 | 607 | 15.740 | 308 | 7,191 |
7 | 네덜란드 | 28 | 0 | 111 | 0 |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KITA)
o 중국의 수출입국가 현항 (HS품목: 854430, 당월/누계: 누계, 단위: 천불, %)
순위 | 국가명 | 2016년 | 2017년 (12월) | ||
수출액 | 수입액 | 수출액 | 수입액 | ||
| 총계 | 2,885,588 | 304,469 | 2,822,284 | 384,700 |
1 | 한국 | 1,313,571 | 59,713 | 1,385,898 | 46,825 |
2 | 일본 | 855,776 | 36,525 | 782,757 | 45,232 |
3 | 미국 | 466,923 | 12,065 | 393,744 | 21,555 |
4 | 대만 | 53,180 | 919 | 54,636 | 789 |
5 | 캐나다 | 40,930 | 303 | 35,096 | 344 |
6 | 브라질 | 15,336 | 25 | 19,239 | 445 |
7 | 멕시코 | 10,629 | 15,678 | 17,443 | 25,495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 중국 통관 참고사항
o HS code
품목 | HS code | 통관 사항 |
항공기 부품 (추진기, 수평 회전 날개 등) | 8803.1000
| - 관세율: 1% - 부가가치세 16% - 계량단위: kg - 해관감독관리조건 : 없음 |
점화용 및 그 밖의 배선 장치 (차량, 선박, 항공기용) | 8544.3020 90 | - 관세율: 10% - 부가가치세 16% - 계량단위: kg - 해관감독관리조건 : A |
항공기 엔진 (출력파워 298kw 미만/초과) | 8407.1010 8407.1020 | - 관세율: 2% - 부가가치세 16% - 계량단위: 대/kw - 해관감독관리조건 : 6 |
항공기용 타이어 | 4011.3000 | - 관세율: 1% - 부가가치세 16% - 계량단위: kg - 해관감독관리조건 : 없음 |
합판안전유리 (차량, 선박, 항공기용) | 7007.2110 | - 관세율: 2% - 부가가치세 16% - 계량단위: kg - 해관감독관리조건 : 없음 |
* 해관감독관리조건 : 수출입 화물을 세관 감독관리에 맡기기 전 필요한 준비 자료
*자료원 : 세계HS정보시스템, 中国海关, 海关白叟, 중국상무부
유형 | 관리조건 명칭 | 서명 발급 기구 |
A | 화물 수입 통관신고서 (入境货物通关单) | 국가품질감독검측검역기구 (国家质量监督检验检疫机构) |
6 | 낙후기계 전자제품 수입 금지 (旧机电产品禁止进口) | 제품코드 뒤에 코드번호가 있어야 함 (产品编码后有此代码的,其旧产品禁止进口) |
*자료원 : 海关白叟
o 전 세계 2위 규모의 중국항공산업은 민간항공의 여객 수송 중심으로 규모확대 발전을 지속중임
- 일대일로 연선국가 및 서북 교통중추로서 산시성 시안과 닝샤자치구 인촨시를 중심으로 서북항공산업 발전기지로 육성 중임
o 산시성 시안은 중국항공산업의 발전에서 핵심역할을 하고 있는 도시임
- 항공산업경쟁력과 연구개발인프라를 바탕으로 향후, 공항신설 교통망연계등 항공물류인프라 확충을 추진하고 대중형비행기 항공엔진 신소재 시스템핵심부품 설비 무인기 공업로봇 등에 연구제작과 사업화를 추진할 예정임
o 닝샤 자치구 인촨은 통용공항수 확대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항공제조 항공관광 스포츠 단기통항운송 항공의료구호 등을 중점분야로 하여, 통용항공산업체인을 발전시켜 농림어업 및 관광서비스 등에 활용할 예정임
o 시안 옌량(阎良)국가항공하이테크산업기지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향후 항공산업 발전에 있어 한국기업과의 기술협력 가능성이 높으며, 우리 기업은 연구개발 부문에서의 틈새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고 함
- 국내기업은 민간항공 전반 및 통용항공산업에서의 소재 부품 설비 솔루션에 대해 현지 협력수요을 발굴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산시성인민정부, 중국해관, 중국상무부, 국가통계국, 관중평원도시군발전계획, 인촨시통항산업발전규획(2018-2030년), 산시성 13차5개년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계획, 인민망 중국산업보고망, 중국산업뉴스망, 중국민항망, 신화망, 중국 바이두 검색자료,한국무역협회(KITA), KOTRA 시안무역관 정리자료 종합
중국 서북지역 항공산업 발전현황 및 전망-전체-kotra 해외시장뉴스.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