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6.20이후 적용 자세한사항은 공지확인하시라예
출처: 그 남자는 왜 이상해졌을까?
박사과정 공부를 할 때니 10년도 더 된 일이다.
이화여대에 가서 강의를 들은 적이 있었다.
딱히 다른 뜻이 있어서는 아니고 그렇지 않고서는 학점을 채우는 것이 버거웠기 때문이다.
사회학과는 워낙 인기가 없는 학문이라 대학원 과목이 다양하게 개설되지 않는다. 특히 박사과정은 더 심각했다.
그 덕에(?) 학교 간 학점 교류가 활발하다. 그래서 일주일에 한 번 이화여대로 향했다.
강의의 구성원은 이랬다.
나와 같은 타 학교 학생이 네 명이었고 이화여대 대학원생이 여덟 명이었다.
사회학과 네 명, 그리고 여성학과 네 명이었다.
그날의 주제는 '여성과 노동'이었다.
여성이 자본주의 노동시장에서 어떤 차별을 받아왔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어떤 정책들이 필요한지를 확인하는 시간이었다.
'사회학'이라는 학문적 특징 그리고 '여대'라는 공간적 특수성. 게다가 '여성학 전공자'들도 있어서인지 논의는 일방적이었다.
많은 학생들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차별받는 여성들에게 공감을 표했고 (격한 표현을 쓰자면) 입에 거품을 물고 한국 사회의 '남성 중심' 노동시장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렇게 열한 명이 '같은'이야기를 하니 나는 무엇인가 '다른' 이야기를 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받았다.
그래서 내 차례가 오자, 나는 이렇게 '아무 생각 없이' 말했다.
"뭐, 그래도 여성 차별, 여성 차별 그러지만 어쨌든 초등학교 여교사가 신붓감 1순위 아닙니까?"
지금 생각해도 이 말이 그때 '여성과 노동'이라는 강의와 무슨 연관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나는 당당했고 한 치의 망설임이 없었다.
아마, 그 날의 토론이 본능적으로 불편했나 보다.
모두가 '여성들은 불평등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일방적으로 외치는 것에 '꼭 그런 것만은 아니지 않은가'라는 맥락을 전달하기 위해 엉뚱한 말을 '굳이' 했으니 말이다.
아니, 더 솔직히 말하자면 엉뚱한지도 몰랐다.
오히려
"1등 신붓감은 예쁜 여자 선생님, 2등 신붓감은 못생긴 여자 선생님, 3등 신붓감은 이혼한 여자 선생님, 4등 신붓감은 애 딸린 여자 선생님"
이라는 시중에 떠도는 전문을 다 사용하지 않으면서 나름대로 배려심을 발휘했다고 자부했다.
쓸데없이 당당하면 화를 자초하게 된다.
만약 다른 곳에서 내가 동일한 반응을 했다면 그 '화'가 내게 미치는 시간이 조금 걸렸을 수도 있지만 '여성학 박사과정'학생들과 함께 강의를 듣는 '이화여대'에서는 달랐다.
저 말을 내뱉는 순간 강의실 분위기는 한순간에 썰렁해졌다.
다만 '나만' 그 이유를 알지 못했을 뿐이다.
나와 함께 강의를 들으러 간 친구들은 고개를 푹 숙이고 '이제 사달이 났다'는 표정을 지었다.
이화여대 사회학과 분들은 몹시 불쾌하다는 표정으로 나를 쳐다봤다.
그리고 여성학과 분들은 '극도로' 불쾌하다는 표정으로 나를 째려봤다.
그리고 나는 여전히 당당했다.
잘못한 것이 없는데 뭐가 문제냐는 표정으로 결국
"제가 틀린 말이라도 했나요?"
라는 말까지 내뱉었다.
그때 누군가의 한숨과 동시에 연필이 책상에 강하게 내리꽂히는 소리가 들렸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말이 강의실에 순식간에 울려퍼졌다.
사회학 공부한다는 사람이 지금 그걸 말이라고 하시는 거에요?
그래서 뭐 어쨌다는 거죠?
초등학교 여교사가 신붓감 1순위니까 여자는 뭐 사회적으로 혜택이라도 받고 있다는 말인가요?
그게 바로 고질적인 한국의 문제잖아요.
한국에서 남자들이 얼마나 지배적으로 여자의 노동을 규제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설문 조사와 그 결과를 마치 합리적인 것마냥 소개를 하면 어떡해요?
이건 뭐, 직장에서 여자들보고 회식 끝까지 안 남았다고 뭐라고 그러다가
또 그런 여자를 죽어도 '아내'로는 맞이할 수 없다면서 뒤통수치는 남자랑 마찬가지잖아요.
그때까지만 해도 나는 분위기 파악을 못 해서 발끈하고 싶었다.
다행히 교수가 '중재를 해서' (아마 그러지 않았으면 내가 매장당할 거라 판단했을 것이다) 논쟁은 더 이상 번지지 않았다.
강의가 끝나자 다들 '오늘 정말 어이없는 소리를 들었다'는 식의 표정으로 보통 때보다 훨씬 빨리 강의실에서 나가버린다.
꼴 보기 싫은 누군가가 있어서 그러는 것 같았다.
친구와 함께 길을 나섰다.
학교를 나오면서 나는 '내가 무엇을 잘못했는지'를 물었고 그때서야 내 생각이 터무니없이 짧았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물론 이 상식은 누구든지 알 만한 이야기다.
다만 '대구에서 태어나 자란 남자인' 내가 몰랐을 뿐이다.
이렇듯 한국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남자로' 산다는 것은 무서운 일이다.
나는 그냥 자연스럽게 물결치듯이 한국의 남자로 살았을 뿐이었기에, '이런 논리가 그런 곳에서 통할까에 대한 고민 없이' 말을 내뱉고 말았던 것이다.
이 이야기를 직장 생활을 하는 평범한 친구에게 한 적이 있었다.
내가 이화여대에 가서 여교사 신붓감 어쩌고 말을 하다가 완전 망신을 당했다고 이야기하자 그 친구는 도통 '왜 그게 문제가 되는지' 모르겠다는 표정을 짓는다.
그 날 강의실에서 보였던 나의 표정과 같아 보였다.
그래서 나는
"거기 이화여대잖아.
그리고 여성학 공부하는 사람들도 많았고.
그런 곳에서 여교사가 신붓감 1순위라고 말하면서 마치 여성들은 직업 선택에 따라 굉장한 배려를 받는다는 식으로 말했는데 문제가 안 되겠어?"
라고 친구를 다그쳤다.
친구는 여전히 의아하다는 표정이다.
곰곰히 생각한 그는 이렇게 말한다.
"왜? 초등학교 여교사가 신붓감 1순위가 아니었어?
그럼 뭐지? 은행원인가?
아닌데, 은행원은 야근 많이 한다고 내 친구들이 별로 안 좋아하는 것 같던데..."
자, 남자들의 뇌 구조는 이렇다.
--------------------------
그 남자는 왜 이상해졌을까? (오찬호 저) 라는 책의 일부 내용이야!
경상도 한국 남자인 저자가 페미니스트가 되는 과정, 그리고 한남 패는게 주된 내용이야
한남 뚜들뚜들하는거 존잼이니까 여시들 꼭 읽어봐 ㅋㅋㅋㅋㅋ
10년 전이면 2006년쯤인데 이때부터 이대학생들..
걸크..bb
진짜 저건 지능문제 아니야? 좀만 생각해보면 답 나오는데
남자들은 남자라는 이유 때문에 너무 편하게 살아서
살며 지능개발 할 기회가 없음
캬 역시 이대^^7
이걸 읽어야돼...말아야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