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같은 차이름(모델명)무슨뜻일까요?
자동차 이름에 'L330(그랜저)'307CC(푸조)'530i(BMW)'SLK(벤츠)'….
이런 암호같은 모델명의 뜻은 뭘까요?
자동차의 뒤 트렁크나 옆면에 적힌 알파벳과 숫자들.
알쏭달쏭하고 암호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는 자동차 업체들이 차량의 종류나 기능을 함축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그 표시안에 차의 역사도 담는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상품 기획 단계에서 차량의 특성과
기능을 가미해 이름을 만든다"고 설명했다.
◆숫자를 보면 차가 보인다=
그랜저 L330, 렉서스 LS430 등에서처럼
숫자 330, 430은 배기량이 3300㏄, 4300㏄라는 것을 의미한다.
배기량은 엔진 안에 있는 피스톤이 폭발의 힘을 빌려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이동하면서 소비하는 가스의 부피다.
이 숫자가 클수록 차의 힘이 좋아진다.
아우디는 A8.A6.A4 등으로 차를 구분했다.
숫자가 클수록 배기량이 큰 차다. 스포츠카에는 TT라는 명칭이 붙는데
이는 영국의 섬에서 열리는 투어리스트 트로피(Tourist Trophy)란
경주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차의 크기와 영역, 배기량을 함께 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BMW 530i는 중형 세단(5)이면서
배기량 3000㏄(30)의 가솔린(i) 차량이란 뜻이다.
BMW는 7-5-3-1로 차종을 표시한다. 3은 콤팩트 세단, 7은 대형 럭셔리 세단, 5는
그 중간급이고 국내에 시판되지 않는 소형차는 1시리즈다.
i는 연료분사 방식(injection)이며 가솔린 엔진이란 의미가 있다.
르노삼성차는 SM7-SM5-SM3로 차량를 구분했다.
7은 배기량 2300~3500cc, 5는 2000cc, 3은 1500~1600cc급의 차다.
푸조는 가운데 '0'을 넣은 세 자리 숫자로 차 이름을 짓는다.
0 앞의 숫자는 차의 크기로 숫자가 클수록 차량의 모델도 크다.
0 뒤의 숫자는 버전이다. 푸조 206이면 소형차(2)의 6세대 버전을 뜻한다.
숫자 뒤에 붙는 영문은 차종을 뜻한다.
307CC의 CC는 쿠페-카브리올레의 줄임말이다. 하드탑(금속지붕) 컨버터블로
탑을 닫으면 쿠페로, 열면 카브리올레(컨버터블)로 변한다는 뜻을 함축했다.
◆늘어나는 L.D.X= 최근 차 이름에 많이 쓰이는 알파벳 이니셜은 뭘까.
L.D.X다.
대개 L은 고급 모델을 의미하는 럭셔리(Luxury),
D는 디젤 엔진,
X는 다용도 기능을 하는 차를 가리킨다.
업계 관계자는 "럭셔리라는 표현이 너무 남용되는 경향도 있다"고 꼬집었다.
HDi는 고압 직분사(High Pressure Direct Injection)라는
디젤 엔진의 연료 분사 방식을 표시한 것이다.
X는 크로스-컨트리, 크로스오버, 익스트림 등
여러 가지 단어를 축약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이나 다목적 차량 등에 많이 붙는다.
BMW.볼보 등에 X가 붙는 차는 SUV다.
렉서스 RX시리즈는'Rugged 4X4(울퉁불퉁한 길을 달리는 4륜구동)'라는
뜻을 가진 SUV다.
현대 투싼이나 싼타페 모델은 크로스-컨트리를 의미하는 X를 사용했다.
또 엑설런트라는 의미로 고급형 차를 나타낼 때도 있다.
벤츠의 M(Mobile) 시리즈는 SUV다.
힘있게 움직인다는 뜻을 담았다.
벤츠는 C(Compact), E(Executive), S(Super Salon)로
소형.중형.대형을 나눴다.
2인승 로드스터인 SLK는 '스포티하고 경쾌하고 작다'는 의미의 독일어를 줄인 말이다.
K7, K9처럼 알파벳과 숫자가 조합된 작명법을
"알파뉴메릭(alphanumeric)"방식이라고들 얘기하는데,
도대체 알파뉴메릭이 무엇이길래 기아자동차가 모델 네임 짓는데
이렇게 노력한 것인지...
지금부터 자동차 모델명에 얽힌 비하인드를 나, 케니가 소개할 기회를 주겠습니까?
수입차 브랜드가 선택한 알파뉴메릭, 그속에 담긴 의미는?
기아와 같은 한국 자동차 브랜드의 네이밍 이전, 이미 해외 자동차 업계에선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하는 알파뉴메릭 작명법이 싸이의 강남스타일만큼이나
대세였습니다. (it's Alphanumeric style!)
알파뉴메릭을 활용한 해외 자동차 브랜드로는 BMW,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푸조, 렉서스 등이 있죠.
그 중 몇몇 자동차 브랜드들의 뉴메릭 스타일을 소개할게요.
아우디(Audi)
아우디는 과거 숫자만을 표기하던 방식에서 새로이 알파뉴메릭을 적용한 브랜드입니다.
Audi의 A를 붙이는 세단 모델, 고성능모델을 일컫는 Soverign Performance의 S,
그리고 슈퍼카 수준의 모델에게는 RS, 즉 Racing Sports를 붙입니다.
SUV 모델들은 4륜구동의 의미로 이탈리아어 Quattro의 Q를 붙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알파벳으로 종류를 구분하고,
숫자는 짝수 - 일반적인 세단(A4, A6, A8)에, 홀수는 해치백이나
스포티한 모델(A1, A3, A5)에 넘버링하는 것으로 차의 모델 명을 지어 왔어요.
다시 말하자면, A1과 A3가 해치백, A5는 쿠페로 홀수가 붙는 모델은
정통 세단이 아닌 겁니다.
A7은 아닌데? 라고 한다면,
세단이지만 홀수를 붙은 A7도 독특한 스타일을 선보였었죠.
아우디는 이를 5도어 쿠페라고 정의했습니다.
전체적인 외형은 쿠페에 가까우면서 트렁크가 해치백처럼 열려 5도어라는 라는 겁니다.
Audi A7과 가장 비슷한 모델로는 메르세데스-벤츠 CLS를 들 수도 있는데,
CLS는 4도어 쿠페를 표방하고 있어서 스타일이 쿠페를 닮은 것은 비슷하지만
정식 트렁크를 갖추고 있는 것이 차이입니다.
지난 7월 7일 국내 출시된 아우디 A7은 중형 세단 A6 플랫폼을 베이스로 개발됐으며,
강렬한 개성과 A8에 버금가는 럭셔리함을 함께 가지고 있는 A6와 A8의
중간 모델입니다.
참, 그리고 아우디의 2인승 스포츠카 TT는 위의 알파뉴메릭과 상관 없이 영국에서
개최되는 투어리스트 트로피(Tourist Trophy)에서 유래합니다.
BMW
BMW는 세단의 경우 3-5-7시리즈 등으로,
차체 크기에 따라 숫자로 분류하고 마지막 두 자리에는 배기량을,
맨 뒤 영문 스펠링은 엔진 형식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자면, BMW 320d = BMW + 3시리즈 + 배기량 2,000cc의 + Disel(디젤)엔진
이라는 식입니다.
BMW 320i는 2000cc, 가솔린 엔진을 장착한 콤팩트 세단을,
530d는 3000cc 디젤엔진을 장착한 BMW의 중간급 세단을 의미합니다.
Z4의 'Z'는 2인승을 의미하는 독일어 약자이며, X5에서 X는 '4륜구동'을 뜻하죠.
M3, M5의 M은 모터스포츠 차량 및 인디비주얼 차량만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BMW 그룹 내의 별도 자회사,
'BMW M GmbH'가 만들어내는 모터스포츠 차량을 나타내요.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 benz)
메르세데스 벤츠는 M, C, E, S, SLK, CLS 등 각 클래스 별로 영문 이니셜을 사용합니다.
세단 모델인 C는 소형(Compact), E는 중형(Executive),
SUV 모델인 M은 역동성(Mobile)을 의미합니다.
S 클래스는 Sonderklasse, 즉 Special Class라고 볼 수 있습니다.
2인승 로드스터 SLK는 ‘스포티하고 경쾌하고 작은(Sporty, Light, Short)의
독일어 이니셜인 Sportlich Leight Kurz의 이니셜을 따온 것입니다.
이 이니셜 뒤에 붙은 280, 350, 500, 600 등은 배기량이에요.
이런 식으로 하나씩 정리하게 되면 Mercedes Benz의 모델명이 정리됩니다.
케니가 빠뜨린 클래스가 있을 지도 모르겠어. 워낙 다양해서 말이지....

세계 자동차 브랜드의 대세에 따라 우리도 알파뉴메릭!

이러한 글로벌 브랜드의 추세에 따라 한국의 자동차 브랜드에서도 알파뉴메릭을 활용한 네이밍이 눈에 띄는군요.)

자동차 뒷편의 Y20, LE, SLX.. 무슨뜻일까?
2014년 10월 08일 (수) 18:17:46 박태준 기자 alan@top-rider.com
Y20, LE, SLX... 자동차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한번쯤 자동차 뒤 트렁크에 적힌 영어와 숫자의 조합에 궁금함을
느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바로 이 알 수 없는 영어와 숫자의 조합의 정체는 '트림'.
트림은 사람으로 따지자면 일종의 항렬과도 같은데,
똑같은 모델이라도 세부 성능과 사양에 따라 각기 다른 이름이 부여된다.
차의 모델명과 마찬가지로 특허청에 상표로 등록된다.
중고차 사이트 카즈(http://www.carz.co.kr)에서
'알고 보면 어렵지 않은' 트림의 법칙을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트림을 명명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쓰이는데,
프로젝트명을 활용하는 방법, 또는 자동차의 특징을 나타내주는 영문 단어의
앞 글자를 조합하는 방법이 있다.
뒤에 붙는 16, 24, 380등의 숫자는 배기량을 뜻한다.
1600cc는 16, 3800cc는 380으로 줄여서 표시되는 식이다.

한편 자동차 업계에서는 기본 트림 외에도 추가 사양에 따라 차종을 한 단계 더 세분화하는 방법을 쓴다.
예를 들어 NF쏘나타 N20 트림의 경우 여성층을 겨냥한 '엘레강스 스페셜'을,
모닝은 'SLX 뷰티'라는 이름을 붙임으로써 기본 트림명에 '엘레강스'나
'뷰티'등 여성성을 강조하는 단어를 더한 하위 트림을 선보인 바 있다.
카즈 관계자는 "대부분 차량의 트림명은 차급이나 컨셉, 겨냥한 고객층의 특징을
담은 단어로 만들어진다"고 전하며, "무엇보다 특징을 한번에 나타내줄 수 있는 단어,
기억하기 쉬운 단어로 구성하는데 초점을 맞춘 조합이 많다"고 밝혔다.



첫댓글 고운정보 잘보고 머물다 갑니다
오늘도 아름답고 행복한 밤이 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