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9명이 사망한 교통사고의 운전자가 68세 로 밝혀지면서 고령운전자에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작년의 65세 이상 운전자들의 사고는 전체 교통사고의 20%로 전년의 18%보다 증가했습니다.
한편, 자동차사고의 근본원인은 운전자의 나이가 아니라 막무가내로 운전하는 운전자들이는 의견도 있습니다.
고령운전자들에대한 인지능력테스트를 강화하고 면허갱신주기를 단축하면 어떨까요?
Calls for more stringent measures on older drivers reignite following deadly car crash
치명적인 자동차 사고 이후 고령운전자에 대한 엄격한 조치요구 재점화
By Jung Da-hyun 정다현 기자
Posted: 2024-07-07 16:24 Updated: 2024-07-07 17:03
Korea Times
Concerns mount over hateful discourse concerning older drivers
고령 운전자에 대한 혐오스러운 담론에 대한 우려증가
Public opinion is reigniting over the need for stricter measures for older drivers after a 68-year-old man involved in a deadly car crash near Seoul City Hall, which claimed nine lives, was identified.
9명의 목숨을 앗아간 서울시청 인근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교통사고에 연루된 68세 남성의 신원이 확인되면서 고령 운전자에 대한 보다 엄격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재점화되고 있다.
However, there are growing concerns that this debate could deteriorate into indiscriminate criticism or personal attacks on older drivers.
하지만 이번 논쟁이 고령 운전자에 대한 무차별적인 비판이나 인신공격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Even before last week's tragedy, how to deal with older drivers — specifically, encouraging older drivers to return their licenses — has been a hot-button issue as the number of drivers aged 65 or older is increasing steadily amid the nation's aging population.
지난 주의 비극 이전에도,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에서 65세 이상의 운전자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고령 운전자들의 면허반납을 장려하는 것은, 고령 운전자들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하는 것이 핫 버튼 이슈가 되어 왔다.
Just two days after the fatal car crash, a taxi driven by a man in his 70s crashed into the National Medical Center building, Wednesday, where an altar had been set up for one of the victims of the City Hall car crash, injuring three people, one seriously.
치명적인 차량 추돌 사고가 발생한 지 불과 이틀 뒤인 19일 70대 남성이 몰던 택시가 시청 차량 추돌 사고 희생자 중 한 명을 위한 제단이 마련된 국립중앙의료원 건물을 들이받아 3명이 경상, 1명이 중상을 입었다.
On Saturday, another incident occurred near Seoul Station, where a car driven by a man in his 80s struck pedestrians while attempting a U-turn, injuring two people. The vehicle continued for about 20 meters after hitting the first pedestrian before striking another and stopped after crashing into a wall.
토요일 서울역 인근에서 80대 남성이 몰던 승용차가 유턴을 시도하다 보행자를 들이받아 2명이 다쳤다. 차량은 앞서 가던 보행자를 들이받은 뒤 20여m를 이어가다 벽에 부딪힌 뒤 멈췄다.
A car driven by a man in his 80s is seen stopped after hitting a wall following a collision with two pedestrians in Yongsan District, Seoul, Saturday. Courtesy of Yongsan Fire Station
토요일 서울 용산구에서 80대 남성이 몰던 승용차가 보행자 2명을 추돌한 뒤 벽을 들이받고 멈춰 서 있다. 용산소방서 제공
According to data from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39,614 traffic accidents involving drivers aged 65 or older occurred last year, the highest number recorded since statistics began being collected in 1992. These incidents accounted for 20 percent of all traffic accidents, up from 17.6 percent the previous year.
도로교통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운전자들이 관련된 39,614건의 교통사고가 작년에 발생했는데, 이는 1992년에 통계가 수집되기 시작한 이래로 기록된 가장 높은 숫자이다. 이 사고들은 전체 교통사고의 20%를 차지했는데, 이는 전년의 17.6%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The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also reported, Sunday, that the accident rate for drivers aged 65 or older was 4.57 percent. Compared to 4.04 percent for drivers under 65, it indicates that older drivers are responsible for 13 percent more accidents.
보험개발원도 6일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사고율이 4.57%라고 발표했다. 65세 미만 운전자의 사고율이 4.04%인 것과 비교하면 고령 운전자의 사고율이 13% 더 높은 것이다.
Furthermore, accidents involving older drivers tend to result in a higher number of victims and a greater proportion of serious injuries. The average number of victims in accidents caused by drivers under 65 was 1.96, while for divers aged 65 or more, the figure was 2.63.
더욱이, 고령 운전자와 관련된 사고는 더 많은 희생자 수와 더 많은 중상자 비율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65세 미만 운전자에 의한 사고의 평균 희생자 수는 1.96명인 반면, 65세 이상의 경우 2.63명으로 나타났다.
Following a series of similar accidents, discussions are reigniting over the need to further tighten measures for older drivers, such as strengthening aptitude tests, mandating the return of driver’s licenses for those over the age of 70, and encouraging older drivers to have their cars fitted with an automated emergency braking system (AEBS).
비슷한 사고가 잇따르자 적성검사 강화, 70세 이상 운전면허 반납 의무화, 고령 운전자에게 자동긴급제동장치(AEBS)를 장착하도록 유도하는 등 고령 운전자에 대한 대책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논의가 재점화되고 있다.
Currently, the government requires drivers aged 75 and older to renew their driver's licenses every three years, including mandatory cognitive ability tests and traffic safety education. Additionally, the government recommends traffic safety education for drivers aged 65 and older.
현재, 정부는 75세 이상의 운전자들에게 의무적인 인지능력 테스트와 교통 안전 교육을 포함하여, 3년마다 운전면허를 갱신할 것을 요구한다. 게다가, 정부는 65세 이상의 운전자들에게 교통 안전 교육을 권고한다.
However, some point out that the renewed discussion on what qualifies one as being an older driver could lead to derogatory language and even hate toward older adults.
하지만 고령 운전자로서의 자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재논의는 자칫 비하적인 언어와 심지어 고령 운전자에 대한 혐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Online comments regarding the car crash near city hall have displayed similar sentiments, such as "Please deprive old folks of their licenses."
시청 인근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와 관련한 온라인 댓글에는 "노인들의 면허를 박탈해 달라"는 등의 비슷한 정서가 나타나고 있다.
Some comments have gone as far as to compare the value of the lives of older drivers with young drivers, with one stating, "An elderly man nearing the end of his life killed nine people in their prime. Even if he were reincarnated 10 times, it wouldn't be enough to compensate."
"말년을 앞둔 노인이 한창 나이에 9명을 숨지게 했다,"는 등 고령 운전자와 젊은 운전자의 삶의 가치를 비교하는 댓글이 이어지고 있다. "열 번 환생했다고 해도 보상하기엔 역부족일 것,"이라는 것이다.
Jung Jae-hoon, a professor of social welfare at Seoul Women's University, criticized the public for recklessly blaming older adults.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노인들을 함부로 탓하는 국민을 비판했다.
"Blaming the recent accidents on all older drivers is just scapegoating," he said.
그는 "최근 모든 고령 운전자들의 사고를 비난하는 것은 희생양이 될 뿐"이라고 말했다.
He also shared a personal experience to better explain that age is not the fundamental problem.
그는 또한 나이가 근본적인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했다.
"When standing at a crosswalk, I often see young drivers behaving recklessly. The fundamental problem is not age but inadequate traffic safety education," Jung said.
정씨는 "횡단보도에 서 있으면 젊은 운전자들이 막무가내로 행동하는 모습을 자주 본다"며 "근본적인 문제는 나이가 아니라 교통안전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The fundamental problem lies in the nation's lax driver's license issuance process and inadequate post-traffic safety education. It is not fair to arbitrarily restrict driving qualifications for older individuals."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나라의 허술한 운전면허증 발급 절차와 부적절한 교통안전 사후교육에 있다. 고령자의 운전자격을 자의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형평에 맞지 않는다."
#Olderdrivers고령운전자 #Strictermeasures엄격한조치 #Deadlycarcrash치명적인차량추돌사고 #Publicopinion여론 #Licensereturn면허반납 #Trafficaccidents교통사고 #Agingpopulation고령화 #Cognitiveabilitytests인지능력테스트 #Automatedemergencybrakingsystem자동긴급제동시스템 #Trafficsafetyeducation교통안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