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과 입춘첩에대해
올 임진년 입춘은 양력 2월 4일이다.
해마다 입춘절(立春節)이 되면 동지(冬至) 이후 음의 기운을 지니던 대지가 양의 기운을 갖기 시작하며
모든 사물이 왕성히 생동하기 시작한다. 입춘은 봄으로 접어드는 절후이며, 음력으로는 섣달에
들기도 하고 정월에 들기도 하며,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들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다. 정월은 새해에 첫번째 드는 달이고, 입춘은 대체로 정월에 첫번째로
드는 절기이다.
입춘 전날이 절분(節分)인데 이것은 철의 마지막이라는 뜻이다. 이날 밤을 해넘이라고 부르고,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서 귀신을 쫓고 새해를 맞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입춘을 마치
연초(年初)처럼 보며, 봄이 시작되는 계절이지만 아직 추위가 강하다. "입춘추위"라는 말이 있는데
마음으로는 봄이라 여겨지지만 계절은 아직 겨울인지라 가시지 않은 찬 기운이 속히 봄의
따사로움으로 변하기를 기대하는 심정에서 연유된 말이라 생각된다. 입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가르며, 초후(初候)에는 동풍이 불어서 언땅을 녹이고, 중후(中候)에는 겨울잠 자던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말후(末候)에는 물고기가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고 하였다.
입춘일은 농사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첫번째 절기이기 때문에 보리뿌리를 뽑아보고 농사의
흉풍을 가려보는 농사점을 행한다. 또,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아서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오는 곡식이 그해 풍작이 된다고 한다. 입춘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로서,
이날 여러가지 민속적인 행사가 행해지는데 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춘첩자] 옛날 대궐에서는 설날에 내전 기둥과 난간에다 문신들이 지은 연상시(延祥詩) 중에서
좋은 것을 뽑아 써 붙였는데, 이것을 춘첩자(春帖子)라고 한다.
춘첩자는 입춘첩(立春帖), 춘첩(春帖), 입춘축(立春祝)등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사대부 집에서는 흔히 입춘첩을 새로 지어 붙이거나 옛날 사람들의 아름다운 글귀를 따다가 썼으며
서민들도 새 봄을 새롭게 맞이한다는 각오로 입춘첩을 써 붙이는 풍속이 있었다.
현대인들도 세시풍속을 모두 지킨다는 것은 어려우나 입춘축 붙이는 일은, 한 해를 의미있게
보내고자하는 기원을 담은 행사이기 때문에 행하면 좋을 것 같고 자녀교육을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라 본다. 붙이는 곳은 좌우 대문짝이 좋으나 현대인의 가옥은 대문이 없는 경우도
많으므로 현관문이나 기둥에 붙여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쓰는 방법은 흰 종이에 붓글씨가 좋겠다.
중국에서는 붉은 바탕에 금빛 글씨로 쓰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붉은색은 행운을,
금색은 부와 번영을 상징하며 액운을 막을 수 있다고 믿는다 한다.
[帖(첩) - 두루말이.주련(세로로 내려쓴 댓구).문서 ]
[입춘수] 입춘(立春) 전후에 받아 둔 빗물이 입춘수(立春水)다. 이 물로 술을 빚어 마시면
아들 낳고 싶은 서방님의 기운을 왕성하게 해준다고 알았다. 아울러 가을 풀섶에 맺힌 이슬을
털어 모은 물이 추로수(秋露水)인데 이 물로 엿을 고아 먹으면 백병을 예방한다고 알았다.
[아홉 차리]지방에 따라 입춘(立春)날이나 대보름 전 날에 베푸는 "아홉 차리"라는 민속이 있었다.
가난하지만 근면하고 끈기 있게 살라는 교훈적인 세시민속이다. 이날은 각자 소임에 따라 아홉 번씩
부지런하게 일을 되풀이하면 한해 동안 복을 받고 그렇지 않으면 화를 받느다고 믿었다.
글방에 다니는 아이면 천자문(天字文)을 아홉 번 읽고, 나무꾼은 아홉 짐의 나무를 하며,
노인이면 아홉 발의 새끼를 꼰다. 계집아이들은 나물 아홉 바구니를, 아낙들은 빨래 아홉 가지를,
길쌈을 해도 아홉 바디를 삼고 실 꾸리를 감더라도 아홉 꾸리를 감는다. 심지어는 밥을 먹어도 아홉 번,
매를 맞더라도 아홉 번을 맞았다. 굳이 아홉 번이라 함은 많이 했다는 의미이며 우리 조상들의 숫자
개념상 최고의 陽數(양수)이기 때문이다.
[적선공덕행(積善功德行)] 입춘날이나 대보름날 전야에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착한 일을
꼭 해야 연중 액(厄)을 면한다는 적선공덕(積善功德)의 복지(福祉)민속도 있었다.
이를테면 밤중에 몰래 냇물에 가 건너 다닐 징검다리를 놓는다든지 가파른 고갯길을 깎아
놓는다든지 다리 밑 동냥움막 앞에 밥 한 솥 지어 갖다 놓는다든지 행려병자가 누워있는
원(院) 문전에 약탕 끓여 몰래 놓고 온다든지 한다.
입춘축의 여러 가지 예 |
龍虎 |
용(은 복을 부르고)호랑이(는 재앙을 몰아낸다) |
壽如山富如海 |
산처럼 수하고바다처럼 부하게 |
去千災 來百福 |
모든 재앙 물러가고모든 복 들어오리 |
立春大吉建陽多慶 |
입춘이 되니 크게 길할 것이요 따스한 기운이 도니 경사가 많으리라. |
立春大吉民國多慶 |
입춘이 되니 크게 길할 것이요백성들의 나라엔 경사가 많으리라 |
龍輸五福虎逐三災 |
용은 오복을 들여오고 호랑이는 재앙을 쫓아낸다. |
國泰民安家給人足 |
나라는 태평하고 백성은 편안하며집집마다 풍족하고 사람마다 넉넉하리. |
雨順風調時和豊年 |
절기가 순조로우니 화평하고 풍성한 세월이 되겠네 |
堯之日月舜之乾坤 |
요임금,순임금 때 처럼 모든 것이 평화롭게 |
千災雪消萬福雲興 |
모든 재앙 눈처럼 녹아 없어지고많은 복 구름처럼 일어나리 |
天下太平春四方無一事 |
온 세상 태평한 봄이요사방 어느 곳에도 탈 없기를 |
天上近三陽 人間五福來 |
하늘은 삼양에 가깝고 사람에겐 오복이 오리니 |
鳳鳴南山月麟遊北岳風 |
봉는 남산의 달 아래 울고 기린은 북악의 바람에서 노닌다 |
父母千年壽子孫萬歲榮 |
부모님 오래 사시고 자손은 길이 영화를 누리리라. |
掃地黃金出開門萬福來 |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문을 열면 많은 복이 들어온다. |
春風和一家淑氣擁重門 |
봄 바람이 일가를 화애롭게 하고숙기가 중문을 옹호한다 |
禍逐夏雲興災從春雪消 |
화를 쫒아내니 여름 구름처럼 일어나고재앙은 봄의 눈처럼 녹아서 없어지네 |
瑞日重門啓春光福地來 |
상서로운 태양이 중문을 열고봄 빛이 복된 땅에 오도다 |
門迎春夏秋冬福 戶納東西南北財 |
문으로는 사시사철 복을 받아들이고집으로는 사방으로 재물을 들여온다 |
立春大吉吉無窮建陽多慶慶有餘 |
입춘대길하니 길함이 무궁하고건양다경하니 경사가 많으리라 |
和氣自生君子宅春光先到吉人家 |
화애로운 기운 스스로 생기니 군자의 집이요봄 빛이 먼저오니 길인의 집이로다 |
天增歲月人增壽春滿乾坤福滿家 |
하늘은 세월을 늘리는데 사람은 수명을 늘리고봄은 온 천지에 꽉 찼는데 복은 집집마다 가득하네 |
時時掃地黃金出日日開門萬福來 |
때때로 마당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날마다 문을 열면 만복이 들어온다 |
堂上父母千年壽膝下子孫萬歲榮 |
집의 부모 오래 사시고슬하의 자녀 오래도록 번영하네 |
春滿乾坤福滿家和氣自生君子宅 |
봄은 천지에 차고 복은 집안에 가득한데온화한 기운 스스로 생기니 군자의 집이로다. |
和氣自生君子宅春光先到吉人家 |
화기가 스스로 생기니 군자의 집이요봄 빛이 먼저 오니 길인의 집이로다. |
春光映物生長促瑞氣滿家福祿連 |
봄 빛이 사물을 비추이니 생장을 재촉하고상서로운 기운이 집에 가득하니 복록이 이어지네 |
不老草生父母國無窮花發子孫枝 |
불로초 자라는 부모님의 나라요무궁화 만발하는 자손들의 가지로다 |
雲開萬國同看月花發千家共得春 |
온 세상에 구름 걷히니 달을 보는 것 같고꽃이 모든 집에 피니 함께 봄을 얻었네 |
長生不老神仙府與天同壽道人家 |
장생불로하니 신선의 마을이요오래 살 수 있으니 도인의 집이로다 |
積善堂前無限樂長春花下有餘香 |
선을 쌓은 집 앞에 즐거움이 끝 없고봄 꽃 아래엔 향기가 넉넉하네 |
兄友弟恭喜滿家夫和婦順敬如賓 |
형은 우애롭고 동생은 공손하니 기쁨이 집에 가득하고남편은 화애롭고 아내는 유순하여 서로 손님 같이 공경하네 |
吉地祥光開泰運重門旭日耀陽春 |
길한 곳의 상서로운 햇빛 큰 운수를 열고중문에 해가 솟으니 밝고 따스한 봄이라 |
身健功成有福人春到門前增富貴 |
몸이 건강하고 공을 이루니 유복한 사람이라봄이 문 앞에 찾아오니 부귀가 더하겠네 |

|